• Title/Summary/Keyword: L-(+)-lactic acid

Search Result 1,6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tibacterial Effect of Eucalyptus Oil, Tea Tree Oil, Grapefruit Seed Extract, Potassium Sorbate, and Lactic Acid for the development of Feminine Cleansers

  • Yuk, Young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2호
    • /
    • pp.82-92
    • /
    • 2021
  • Purpos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microbes in the vagina decrease due to th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high recurrence rate of female vaginitis due to this suggests that a new treatment is needed. Methods: In the experiment, we detected that 10% potassium sorbate solution, 1% eucalyptus oil solution, 1% tea tree oil solution, 400 µL/10 mL grapefruit seed extract solution, 100% lactic acid, 10% acetic acid solution, and 10% lactic acid solution were prepared and used. After adjusting the pH to 4, 5, and 6 with lactic acid and acetic acid in the mixed culture medium, each bacterium was inoculated into the medium and incubated for 72 h at 35℃. Incubate and 0 h each. 24 h. 48 h. The number of bacteria was measured after 72 h. Results: In the mixed culture test between lactic acid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lactic acid bacteria showed good results at pH 5-5.5. Potassium sorbate, which has varying antibacterial activity based on the pH, killed pathogenic bacteria and allowed lactic acid bacteria to survive at pH 5.5. Conclusion: The formulation ratio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feminine cleanser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ntibacterial agents.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the future.

Breeding of L(+)-Lactic Acid Producing Strain by Low-Energy Ion Implantation

  • Ge, Chun-Mei;Gu, Shao-Bin;Zhou, Xiu-Hong;Yao, Jian-Ming;Pan, Ren-Rui;Yu, Zeng-L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363-366
    • /
    • 2004
  • In order to obtain an industrial strain with higher L(+)-lactic acid yield, the wild type strain Rhizopus oryzae PW352 was mutated by means of Nitrogen ions implantation (l5 Kev, $7.8 \times 10^{14} - 2.08 \times 10^{15} ions/Cm^2$ and two mutants RE3303 and RF9052 were isolated. After 36 h shake-flask cultivation, the concentration of L(+)-lactic acid reached 131-136 g/l, the conversion rate of glucose was as high as 86%-90% and the productivity was 3.61 g/l.h. It was almost a 75% increase in lactic acid production compared with the wild type strain. Maximum fermentation temperature of RF9052 was increased to $45^{\circ}C$ from original $36^{\circ}C$. At the same time, the preferred range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f RF9052 was broadened compared with PW352.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로 처리한 냉장돼지 고기 등심의 2-Thiobarbituric Acid, Color 및 육즙유출의 평가 (2-Thiobarbituric Acid, Color and Drip Loss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Loins Treated with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

  • 김광현;김창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2001
  •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actococcus lactis subsp. J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circ}C$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circ}C$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circ}C$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유산균 발효에 의한 소청룡탕의 발효 전 후 성분 변화 연구 (Analysis of Constituents in Socheongryong-tang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양민철;김동선;정상원;마진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15-121
    • /
    • 201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constituents in Socheongryong-tang (CY) and its fermentations (FCY) with 10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Methods : Ten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casei 127, L. acidophilus 128, L. casei 129, L. plantarum 144, L. amylophilus 161, L. curvatus 166, L. delbruekil subsp. lactis 442, L. casei 693, B. breve 744, and B. thermophilum 748, were used for the fermentation of Socheongryong-tang. The increased and decreased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using HPLC/DAD and various liquid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using NMR and MS. These compound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an HPLC/DAD system. Results : The increased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to be liquiritigenin (1) and cinnamyl alcohol (2), and the decreased constituent was determined to be liquiritin (3). Liquiritigenin (1) and cinnamyl alcohol (2) were increased in all of the FCYs, while liquiritin (3) was decreased. The fermentation of the ten lactic acid bacteria demonstrated that the decomposable rate of these three compounds in FCYs were different. Socheongryong-tang fermented by L. plantarum 144 and L. amylophilus 161 showed the most remarkable changes. Conclusions : CY could be increased antibacterial, neuroprotective, or antiinflammatory effect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with L. plantarum and L. amylophilus, considering their known biological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quality control parameters for FCY.

젖산과 옥살산을 이용한 폐 이차 리튬이온 전지 양극 활물질로부터 희유금속들의 회수 (Recovery of Rare Metals from the Waste Secondary Lithium Ion Battery Cathode Active Materials Using Lactic Acid and Oxalic acid)

  • 김연정;한지선;최식영;오인경;홍용표;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46-452
    • /
    • 2019
  • 젖산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양극활물질에 있는 Co, Mn, Ni을 침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양극활물질을 젖산으로 침출 시켰을 때, 젖산의 농도는 1N과 4 N 이상에서 보다는 2 N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양극활물질을 단계적으로 젖산 용액에 첨가 하였을 때, 최대 용해도는 2 N의 젖산 용액에서 1 L 당 30 g이었다. 젖산 용액에 옥살산을 첨가하였고 희유금속들은 1 L 당 4 g에서 가장 경제적인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양극활물질로부터 희유금속들을 회수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무게비로 옥살산과 양극활물질이 7 : 1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가하여, 옥살산에 의해서 생성된 침전물은 Co, Ni, Mn 3성분이 결합되어 있는 다핵 결정성 물질이었다.

젖산 발효제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내산성 비교 (Comparative Tests on the Acid Tolerance of Some Lactic-Acid-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Lactic Fermented Products)

  • 심재헌;오세종;김상교;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104
    • /
    • 1995
  • 유제품 30여종과 야채발효 제품 2종에서 Lactobacillus casei ssp.(5 strains), Lactobacillus acidophilus(2 strains),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6 strains), Lactobacillus plantarum(3 strains),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11 strains), and Streptococcus faecalis(2 strains)를 각각 분리하여 이들의 내산성과 담즙산 내성을 평가하였다. 초기생균수를 고려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내산성을 비교한 결과, L. casei에 속하는 균주들의 내산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L. bulgaricus와 균주들은 가장 낮은 내산성을 보였다(p<0.05). 담즙산 내성은 L. casei, L. plantarum, L. acidophilus, S. feacalis 균주들의 경우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L. bulgaridus와 S. thermophilus 그룹에 속하는 균주들의 담즙산 내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김치부재료의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효과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and lactic acid bacteria)

  • 강선이;한명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38-843
    • /
    • 2005
  • When ingredients of Kimchi were mixed and stored in $18^{\circ}C$,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selectively grown up. Herefore, to understand why lactic acid bacteria were selectively cultured in Kimchi,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imchi ingredients against some pathogens and Kinlchi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Kimchi mixed with all ingredien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all tested pathogens: S. typhimurium, S. sonnei, and E. coli. Kimchi without green onion, garlic or ginger inhibited the growth of S. typhimurium, but did not E. coli and S. sonnei. However, Kimchi without red pepper powder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all tested pathogens. All ingredients of Kimchi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L. plantarum and L. mesenteroid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imchi ingredients can synergistically inhibit the growth of pathogens and Kimchi may be a selectiv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하향주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gju Nuruk)

  • 박치덕;정희경;박환희;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3
    • /
    • 2007
  •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간균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을 각각 L. plantarum L-3, L. sakei L-10 그리고 L. curvantus L-8, 11, 12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L-3이 배양 초기 pH 4.0일 때 0.78%의 산도를 나타내어 나머지 4균주에 비해 약 10배정도 높은 산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5균주는 모두 $30^{\circ}C$에서 가장 산생성능이 우수하였고, L. sakei L-10을 제외한 모든 균주는 $45^{\circ}C$에서 생육이 정지되었으나, L. sakei L-10은 $40^{\circ}C$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리고 에탄을 농도가 6%일 때 산의 생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L. curvatus L-8, 11, 12는 8% 에탄올에서 거의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낮았으며, L. plantarum L-3과 L sakei L-10은 10% 에탄올에서 생육이 정지되었다.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김치 유래 젖산균의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from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Properties of Soymilk)

  • 이란숙;정경희;최웅규;조장원;김경임;김영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72-1877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대의 배추김치로부터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주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0.01% bromocresol green이 첨가된 MRS 한천 배지에서 clear zone의 size 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젖산 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선발 후 탄수화물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으로 L. plantarum Gk04, Ped. pentosaceus Gk07, L. brevis Gk35 및 L. curvatus Gk36이 동정되었으며 특히 99%의 상동성을 갖는 L. curvatus Gk36을 두유발효를 위한 최종균주로 사용하였다. L. curvatus Gk36과 시판 균주 L. actobacillus에 의한 두유 발효 결과 pH는 L. actobacillus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균수 및 산도 측정 결과 두 균주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L. curvatus Gk36 균주는 두유발효 등 발효제품 제조를 위한 젖산균 균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용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생성과 항산화활성 효과 (Flavonoid produ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effe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of deer antler extract)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99-408
    • /
    • 2022
  • 녹용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녹용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중 증식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녹용 추출물 기질에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한 결과, 측정된 유산균 수는 2.04~5.00×107이었다. 한편, 녹용 추출물에 프로테아제(Baciullus amyloliquefaciens culture: Ma×azyme NNP DS)를 첨가하여 함유된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해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수는 2.84107~2.21108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4.82~6.26g/mL이었으며, 프로테아제 효소와 젖산발효 반응 후 14.27~20.58g/mL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1.52~2.21 g/ml이었고, 프로테아제 반응 및 발효 후에는 5.59 ~ 8.11 mg/mL로 증가하였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7.03~22.75%였으나, protease 반응과 발효 후에는 32.82~42.90%로 현저히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