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lated issues of marital satisfaction scale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Type Marital Satisfaction Scale. Especially definitional ambiguity, unit of analysis theory of marital satisfaction and issues about measurement and cultural implication are reviewed. Also a section deals with suggestions that c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Korean Type Marital Satisfaction Sc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attitude as a basis building in marital stability . A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marital satisfaction scale, which was adapted and reproducted from Dyadic Adjustment Scale(DAS) developed by Spanier and Divorce attitud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 refer to preceding study connected with a cause of divorce. The subjects were 354 married women dwelling in Seou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mean ,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the tendency to high marital satisfaction group rather more than low marital satisfaction group and to permissional attitude group rather more than negative attitude group about divorce attitude. 2) There was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number of children, wives's educational level, parents marriage happines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length of marriage, family income, wives employments status, marriage pattern. 3) There was partially difference in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by wives educational level, family income. Bo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by the other factors. 4)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correlates with marital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s 283 significantly of .001 level. The more satisfaction wife feels about her own matrimony. the more negative a attitude she has toward divorce. This menas that attitude toward divorce depends upon their matrimony. 5) The four type of marital stability are as follows; high marital stability type, high subjective unstability type, high objective unstability type, high marital unstability type.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sychological type and marital satisfaction, divorce proneness, positive affect, and conflict regulation in couple visiting a clinic. Methods: Couples (n=62) who visited "M" couple clinic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09 using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Marital Status Inventory, Positive Affect Inventory, and Conflict Regulation Inventory. Results: The coup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conflict regulation according to similarities between spouses in MBTI types. However,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vorce proneness of husband according to a similarity in the Sensing/Intuition indicator.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vorce proneness, positive affect, and conflict regulation between the couples for ISTJ (Introversion, Sensing, Thinking, Judging) or ESTJ (Extraversion, Sensing, Thinking, Judging) types compared to other couples. Conclusion: When nurses counsel couples, they should understand tha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ype between spouses affects their marital relationship. In addition, nurses should educate coupl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ccording to the couple's types and help them to understand each other, especially for couples where one spouse is the ISTJ/ESTJ type. These interventions will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and prevent the divorce in these cou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 is properly applicable to Korean couples and further to be devoted to the designed of a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Korea. The scale employed in this study was a Korean adaptation of the M.S.S., which originally included 73 items but was reduced to 48 through a study of its validity by Bowden. This scale was administered to 420 couples. One kindergarten, two elementary schools, one middle school, and four high schools, all of them located in Seoul or its satellite cities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rough item analysis, 85.4% of the total items showed a high index of discrimination, i.e, of more than +.40, which all was significant discrimination (P<0.001) excluding two items. 2)Factor analysis, which was oriented toward combining factors proper to theory, showed that the M.S.S. consisted of 6 factors and its total variance was 50.18%. The 6 factors were marital satisfaction (factor 1), marital social psychological companionship (factor 2), obstacles to marriage (factor 3), dissatisfaction of marital relationship (factor 4), attitude of the reasonable marital relationship (factor 5), and cognition of married life (factor 6), 3)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M.S.S. was 0.951 and the reliability of the total items after excluding two through item analysis 0.956 and 0.949 respectively, which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4) The marital satisfaction examined by the M.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education , income,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number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family type. From these results, it will be concluded that the M.S.S is a reliable and valid psychological scale for examining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coup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can not be generalized to all Korean couples because the subjects was sampled from Seoul or satellite cities. 2)The 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was oriented toward combining factors proper to theory.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factors because the components of the M.S.S. was more or less abstract. Thus, from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follow for developing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proper to Korean couples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1) The subjects must be sampled form urban as well as rural areas 2)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is oriented toward finding out factors of the M.S.S. Thus, it is needed to analyze the factor validity or construct validity by multitrait - multimethod of the scale with mor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3)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arital satisfaction shows difference according to coup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besides objective demographic variables. 4) More research is needed before the M.S.S. con be adapted into a turely useful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Korea.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by gender and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statu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marital satisfaction on each type of satisfaction. Method: Social statistics survey data collec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1998 were used for the secondary analysis in the study.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12 items such as task, promotion, placement, wage, benefits, future in the work, working environment, human relationship. and working hours.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7 items, including satisfaction with general family life,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 and parent-in-law, relationship with brothers and sisters,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economic living status. These are measured by 5-point Likert scale.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more than 60% of women were working as part-time employees. Their education levels were lower than men. Men were satisfied significantly more in their jobs than women. Men also ha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e employment status had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second important factor among women and men. As for the age, while older men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younger women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28.04% of the variance in the job satisfaction for men and 33.86% for women were accounted for by the following variables: the younger age. the higher education.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22.15% of the varia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for men and 21.19% for women were accounted for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genders, and that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d each other. Employment status was the most predictive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Married women had an unstable employment status such as part-time position. The stability of employment could be considered as a strategy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for both sexes. The reason that women had lower marital satisfaction than men will have to be further investigated.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double-income couples, in the Kyeongnam Area, Korea.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family stres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ouble-income couples was 2.90 and 2.97,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economic level,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husband, and having a housework-helper,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wife. 2)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ouble-income couples was 3.84 and 3.82,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husband, and the educational level, job type,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wife. 3) There was a close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lame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the husband and wife of double-income couples.
이 연구는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맞벌이교사 289명이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22점으로서 결혼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맞벌이 기혼교사들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유무, 가족형태, 가사조력자,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2. 맞벌이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3.88점으로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가정의 월수입정도,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결혼만족도 둥으로 나타났다. 3.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건강성도 높아져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의 불가분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양호하며 가족건강성도 높아서 직장과 가정생활을 잘 양립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이 좀 더 강화되어 학생들에게 더 나은 삶의 본보기가 될 필요가 있다하겠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mily stress, coping strategy, and job satisfaction in dual-earner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dual-earner couples,300 people, in the Kyeongnam Area, Korea.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family stres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was 2.74 and 2.98,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most stressful event arose from their role as parents caring for their children.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religion and the type of expended family in dual-earner couples' husband, and the age of the first child, job, economic level, conjugal period,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ual-earner couples' wife. 2) The coping strategy of family stres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was 3.41 and 3.45,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Among the strategies, the 'cognitive restructuring' scored highest.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religion, the degree of educational level, job,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dual-eamer couples' husband, and economic level, the type of expended family,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dual-earner couples' wife. 3)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was 3.72 and 3.89,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of the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was self-esteem and cognitive restructuring strategy, respectively.
연구배경 및 목적: 결혼은 인생의 주요 사건 중의 하나로, 개인의 행복과 인생의 의미의 근원이며 결혼 생활의 적응은 개인의 대인 관계 및 정신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예측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개인의 성격은 결혼의 안정, 만족, 행복을 달성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성격 차원은 부부간의 적응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기혼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자료, DAS, EPQ, BDI 및 STAI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고 Pearson의 적률 상관을 통해 각 자료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불안과 우울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부 적응도와 성격 차원과의 관련을 보았다. 결 과: 연령과 결혼 기간이 증가할수록 애정 표현과 응집도는 감소하였다. 학력의 증가에 따라 전체 부부 적응도와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가족 소득의 증가에 따라 전체 부부 적응도 및 만족도, 일치도, 응집도가 증가하였다. 부부만 사는 가족은 전체 결혼 적응도, 만족도, 응집도에서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그리고 기타가족이 포함된 확대 가족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병적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전체 부부 적응도, 일치도, 만족도, 애정 표현, 응집도가 감소했으며 신경증적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전체 부부 적응도, 만족도, 일치도, 애정 표현이 감소하였다. 외향성과 허위성은 전체 부부 적응도 및 하부 요인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우울과 불안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정신병적 경향성이 전체 부부 적응도, 만족도, 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연령, 결혼 기간, 학력, 소득, 가족형태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및 정신병적 경향성, 신경증적 경향성의 성격 차원이 부부 적응도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적 경향성은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 상태를 매개로 하여 부부 적응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개인의 성격은 부부간의 적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결혼 문제를 다룰 때 치료자는 개인의 성격 측면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정상 대조군과 정신과 질환군 간, 그리고 부부간에서는 성격 차원에 따른 부부 적응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egrees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use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n attempt to provide clinical nurses basic data to develop strategies releasing work stres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367 clinical nurses working in 9 hospitals nation-wide from May 1, to June 30, 1998. A structured questio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Kim and Koo's work stress scale, Lee's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and a 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use of the SAS computer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 - ${\alph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work stress for the subjects was 4.34(SD=0.64). The highest scored reasons for work stress were 'inadequate com pensation' 4.93(SD=0.86),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4.70(SD=0.92) and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superior authorities' 4.63(SD=0.97). The lowest scored reasons were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inferior staff' 3.72(SD=1.02), 'inadequate mechanical environment' 3.72(SD=1.11) and 'interpersonal problems' 3.85 (SD=1.06), The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hospital type (F=4.00, p=0.0082). 2. The clinical nurses used compromise(45.1%) as the best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e second was collaboration(32.8%), the third accomodation(14.2%), the forth avoidance(4.2%) and the fifth competition(3.6%). 3. The item score of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3.00(SD=0.43), The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F=5.67, p=0.0000), marital status(t= -1.89, p=0.0511), academic career(F=5.84, 0.0001), official position (F=7.38, p=0.0001), and work career(F=6.33, p=0.0001).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r= -0.34, p=0.0000).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work stress was very high in clinical nurses. They use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o releas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Therefore, adequate stress management for clinical nurses will provide them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and hence lead to more qualitified nursing car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