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eaner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HCNG 엔진용 연료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Fuel Supply System for HCNG Engine)

  • 이성원;임기훈;박철웅;최영;김창기;이장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46-153
    • /
    • 2013
  • CNG buses has contributed to improve air quality in cities. Bu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next emission regulations such as EURO-VI without the help of additional post-processing device. Hydorgen has higher flame speed and lower combustion temperature that make it thermal efficiency increase with leaner operation. Using hydrogen natural gas blend (HCNG) fuel is promising technology which can reduce $NO_x$ and $CO_2$ emissions for a natural gas vehicle. However, fuel flow rate of HCNG should be increased since hydrogen's energy density per volume is much smaller than natural gas.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uel supply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were evaluated in a heavy duty natural gas eng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tential of fuel pressure regulator and fuel metering valve had enough capacity with HCNG. Employed mixer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xture.

다수 부분 예혼합 화염의 화염날림 유속 확대 (Nozzle configurations for partially premixed interacting jet flame to enhance blowout limits)

  • 이병준;김진현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4년도 제29회 KOSCI SYMPOSIUM 논문집
    • /
    • pp.79-84
    • /
    • 2004
  • For the non-premixed interacting jet flames, it has been reported that if eight small nozzles are arranged along the circle of 40 $^{\sim}$ 72 times the diameter of single jet, the flames are not extinguished over 2oom/s.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extended to the partially premixed cases to reduce both flame temperature and NOx emission. Nine nozzles were used- eight was evenly locat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maginary circle and one at the geometric centre. The space between nozzles, S, the equivalence ratio, ${\Phi}$, the exit velocity and the role of the jet from the centre nozzle were considered. Normally, flame was lifted and flame base was located inside the imaginary circle made by the nozzle. As nozzles went away from each other, blowout velocit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The maximum blowout velocity diminished with the addition of air to the fuel stream. When the fuel and/or oxidizer were not fed through the centre nozzle, the maximum blowout velocity obtained by varying Sand ${\Phi}$ was around 160m/s. Optimum nozzle separation distance at which peak blowout velocity obtained also decreased with ${\Phi}$ decrease. Flame base became leaner as approaching to the blowout. It seemed that lots of air was supplied to the flame stabilizing region by the entrainment and partially premixing. To approve this idea and to enhance the blowout velocity, fuel was supplied to the centre region. With the small amount of fuel through the centre nozzle, partially premixed flame could be sustained till sonic velocities. It seemed that the stabilizing mechanism in partially premixed interacting flame was different from that of non-premixed case because one was stabilized by the fuel supply through the centre nozzle but the other destabilized.

  • PDF

The Longitudinal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_Esteem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Choi, Chiwon;Kim, Hyung-Hee;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59-166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및 삶의 내적목표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 패널 4차년에서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모형은 실증자료에 더 적합한 선형모델을 최종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및 각각의 분산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의존적 변수는 교사관계 4차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변수들은 모두 초기치 와 변화율 및 각각의 변량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인공지능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ing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AI)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내재적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준과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수집을 위한 인지적 학습보조(Agency)의 단계,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을 분해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고 카테고리화 과정을 수행하는 추상화(Abstracting)의 단계, 추상화과정을 수행한 정제된 데이터를 토대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모델링(Modeling)단계의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 평가요소로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인식, 학습, 행동, 결과에 대한 인지적영역에 대한 평가가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지식, 역량, 태도의 영역에 대하여 측정을 하게 됨으로써 AI교육에 대한 학습의 내재적인 인지영역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프레임 워크가 설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의 맥락에 따른 개별화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AI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수학 수업 자료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Us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 이수민;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05-230
    • /
    • 2014
  • 구성주의를 반영한 대표적인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이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구성주의 관점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유무형의 제 요소들(지식관, 학습자관, 교사의 역할, 평가, 수업 형식, 학습, 수업 자료 등)이 융합되어야 한다. 그 중 수업 자료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음을 전제로 개발되어야 하고, 지식의 통합성, 다양성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개방형 속성을 지닌 자료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객관적 인식론을 적용할 때 갖던 특징과는 다른 특징들을 지녀야 하므로, 수업 자료가 그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1-2 학년군 수학(3)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이 처음 도입된 단원 중 수와 연산 영역에 해당되는 <1. 세 자리수>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주의 수학교실 2학년의 <3. 자릿값의 이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웹기반 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인터랙티브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Leaner-Centered Interactive Design for Web-Based Instruction)

  • 방수영;배용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83-886
    • /
    • 2007
  • 본 연구는 웹기반 교육 체제에서의 학습자가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터랙션을 컨텐츠적 측면과 연관지어 분석해 봄으로서 궁극적으로 학습자에게 보다 만족스러운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웹기반 교육 사이트의 설계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웹기반 교육과 인터랙션에의 개념 및 의의를 고찰하여 웹기반 교육 설계원리들이 실제 웹기반 교육사이트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상호작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기존 수업의 어떤 요소를 충분히 활용하고 어떤 요소를 보강하여야 할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웹기반 교육사이트들은 사회적측면의 인터랙션보다는 시스템측면의 인터랙션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기반한 컬러, 텍스트, 이미지 등 시스템 '각각의 디자인 요소'들과의 인터랙션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 성향 진단 시스템의 개선 (Improvement of Learner's learning Style Diagnosis System using Visualization Method)

  • 윤태복;최미애;이지형;김용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3호
    • /
    • pp.226-230
    • /
    • 2009
  • 지능형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고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학습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학습자 모델링 작업이 우선시 되며, 이 모델 생성을 위해서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게 된다. 하지만, 수집된 데이터가 학습자의 일관되지 못한 행위나 비예측 학습 성향을 포함하고 있다면, 생성된 모델을 신뢰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에게서 수집된 데이터를 시각화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정상 데이터를 선별한다. 실험에서는 홈 인테리어 컨텐츠 기반에 학습자의 학습 행위에 대한 학습 성향을 진단하기 위한 DOLLS-HI를 이용하여, 수집된 학습자의 데이터에서 비정상 데이터를 분류하고 학습 성향 진단을 위한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모델은 비정상 데이터 분류전과 비교하여 신뢰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에 관한 소고 (On Student's Immersion i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1-52
    • /
    • 2008
  • 학생들의 수업 중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학습자의 흥미, 교사의 칭찬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습자의 사고를 존중하고 가치롭게 여기는 교사의 태도 및 교실 분위기이다. 학습자의 사고를 존중하고 가치롭게 여진 수 있는 교실 풍토는 수업 내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지 수업의 동기 유발 측면에서 수업 도입부에 일시적으로 행해지는 수업 행위가 아니다 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인들 중에서도 본 고에서는 아동관, 수업자료, 교사의 발문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 모든 논의의 중심에는 학습자 중심 수업의 기본 전제인 '학습자는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인격체'란 점이 반영되어 있다.

  • PDF

공학교육의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중요도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for Instruction Objectives and Education Methods)

  • 임동근;우상호;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43-6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교육목표에 맞는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의 질 개선에 있어서 현재 재학 중인 공과대학의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목표에 따른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의 중요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공과대학생이고, 표본은 유층 임의표집으로 종합대학 5개교를 3개 계열로 분류하여 표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엔지니어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질 교육을 위해서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해 태도 견해의 학습이 다른 교수목표에 비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성화된 전문가 및 자율적 자기발전을 추구하는 자질 교육을 위해서 기능 작업의 학습이 다른 교수목표에 비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공학교육의 교수목표와 방법의 중요도 수준은 변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영역에서 3점(중요함)과 4점(매우 중요함) 사이에 분포되었다.

PC 기반의 플루트 연주 자율학습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PC based flute performance learning software)

  • 김재영;이정철;전희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95-105
    • /
    • 2013
  • 음악교육은 창의력, 사회성,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다. 효율적인 음악교육을 위해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 속도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의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과 콘텐츠 내용을 기술하는 디스크립터 파일을 사용하여 일반 PC환경에서 PC MIDI를 이용한 자기주도플루트 연주 학습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가 디스크립터 파일을 직접 변경할 수 있어서 악기 연주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PC기반 플루트 연주 학습 소프트웨어를 구현함으로써 구현의 효율성을 보였으며 악기 초보자가 플루트 연주 학습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