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3초

소비자 위해지수를 이용한 5종 과일 중 잔류농약 안전성평가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Five Fruits by Dietary Risk Index)

  • 이제봉;홍수명;권혜영;유아선;홍순성;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6-341
    • /
    • 2014
  •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일 중 농약의 잔류특성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에 대한 농약잔류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의 검출량과 위해성지수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는 2-5지역의 주산단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시료 중 잔류농약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과의 경우 acetamiprid 등 18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총 위해지수가 0.55로 위해우려 수준은 아니었으나 조사한 과일 중 가장 높았다. 감귤의 경우는 carbendazim 등 17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위해지수는 0.37이었다. 복숭아, 포도 및 배는 각각 12, 10, 8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위해지수는 0.066, 0.025, 0.008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 중의 잔류농약에 의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Zinc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ults from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 Lee, Soo-Lim;Kwak, Eun-Hee;Yoon, Jin-Sook;Kwon, Chong-Suk;Beattie, John H.;Kwun, In-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74-182
    • /
    • 2004
  • The zinc intake and status of South Koreans from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zinc nutritional status in different regional areas in South Korea. The dietary habits of 721 healthy adult subjects (271 from rural, 240 from urban, 210 from metropolitan city) with an age range 30 ∼ 64 (mean age 54$\pm$18) were assessed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Mean daily Zn intake for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areas was 6.5 mg, 7.3 mg, and 11.4 mg (p<0.05), respectively, which was 54%,61% and 95% of the Korean RDA for man (12 mg/d). Mean phytate: zinc molar ratios for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city were 41, 34, and 30, respectively (p < 0.05), which were higher than the cutoff level of 20 for poor zinc status. The zinc intake and phytate: Zn molar ratio in the rural area were 0.5 and 1.3-fold compared to those of the metropolitan city, which can cause poor zinc nutriture in the rural area. Most of the zinc biomarkers were lower in the rural area than in the metropolitan city (p < 0.05) (mean rural and metropolitan values for plasma Zn: 80.8 $\mu\textrm{g}$/dL and 119.8 $\mu\textrm{g}$/dL, respectively; RBC Zn: 7.8 $\mu\textrm{g}$/dL and 8.8 $\mu\textrm{g}$/dL, respectively;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87 mU/mL and 100.4 mU/mL, respectively). It seems that a lower zinc intake in the rural area decreased zinc biomarker levels, such as plasma and RBC zinc, and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caused the poor zinc nutritional status in this area. Most of the zinc biomarkers, such as RBC zinc and urinary and plasma zinc levels, in the subjects from the three localiti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even when zinc intake of rural and urban subjects was low. The exception was plasma ALP activity in the rural area, which wa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us, marked zinc deficiency in these subjects were not observed, however, the potential for marginal zinc de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the rural area, because of the low zinc intake and the biomarker levels for marginal zinc deficiency.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알콜성음료 섭취에 따른 다량무기질 섭취량 평가: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Macromineral intake in non-alcoholic beverag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9))

  • 김성단;문현경;박주성;이용철;신기영;조한빈;김복순;김정헌;채영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1호
    • /
    • pp.50-60
    • /
    • 2013
  • 본 연구는 단위 체중 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의 추정식이섭취량을 산출하여 평가하고자, 음료, 액상커피 및 액상차의 다량무기질의 실측치와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 (조사 1일 전 식품섭취내용,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6,082명 전체의 비알콜성음료의 평균소비자와 극단소비자의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을 파악하기위하여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와 비알콜성음료를 섭취한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의 섭취량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I)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량무기질인 나트륨, 칼슘, 인의 위해성평가는 추정식이섭취량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목표섭취량 (2.0 g/day) 및 상한섭취량 (칼슘: 2,500 mg/day, 인: 3,000~3,500 mg/day)을 비교하여 %Goal, %UL값으로 위해성 평가를 하였다. 이 때 위해도 평가방법은 평균과 95th percentile을 이용하는 단일값평가와 point value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변수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PDFs)를 이용한 Monte Carlo simulation을 실시하여 확률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cenario I의 비알콜성 음료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섭취량은 $74.4{\pm}2.2$, 404.7 g/day로 극단섭취자는 평균섭취자에 비해 5.4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Scenario II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섭취량은 $265.4{\pm}5.8$, 662.0 g/day로, 극단섭취자는 평균섭취자에 비해 2.5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또한 Scenario II의 평균섭취자는 scenario I의 평균섭취자에 비해 3.6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으며, scenario II의 극단섭취자는 scenario I의 극단섭취자에 비해 1.6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2) 비알콜성음료에 존재하는 다량무기질의 분포는 마그네슘을 제외하고 대부분 왼쪽으로 기울어진 분포를 나타내었다. 비알콜성음료 섭취량 분포는 scenario I에서는 대부분 Logistic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scenario II 경우에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Max Extreme분포가 되었다. 3) Scenario I에서 확률평가한 다량무기질의 평균 EDI는 나트륨 7.93, 칼슘 10.92, 인 6.73, 칼륨 23.41, 마그네슘 1.11 mg/day였으며, 95th percentile EDI는 나트륨 28.02, 칼슘 44.86, 인 27.43, 칼륨 98.14, 마그네슘 3.87 mg/day이였다. 다량무기질은 목표섭취량이 설정되어있는 나트륨과 상한섭취량이 설정되어있는 칼슘 및 인에 대해서만 위해성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확률평가한 나트륨의 평균 % Goal은 0.39,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0.43, 0.19이며, 나트륨의 95th percentile %Goal은 2.56, 칼슘 및 인의 95th percentile %UL은 각각 3.71, 1.60이였다. Scenario II에서 확률평가한 다량 무기질의 평균 EDI는 나트륨 19.10, 칼슘 25.77, 인 15.83, 칼륨 56.56, 마그네슘 2.68 mg/day이였으며, 95th percentile EDI는 나트륨 62.67, 칼슘 101.95, 인 62.09, 칼륨 227.92, 마그네슘 8.67 mg/day였다. 확률평가한 나트륨의 평균 %Goal은 0.95,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1.03, 0.45이였으며, 나트륨의 95th percentile %Goal은 3.12,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4.08, 1.75였다. 4) 비알콜성음료 섭취를 통한 다량무기질 중 나트륨, 칼슘, 인의 노출수준은 목표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enario I II에서 나트륨, 칼슘, 인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Goal 및 %UL은 모두 5 이내로 낮은 수준이였다.

식생활 간소화를 위한 표준식단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tandard menu, (for restrant))

  • 장명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29
    • /
    • 1971
  • Korean foods sold restrant and hotel accompaines so many kinds of side dishes. The menues never considered on the nutritional standpoint nor the volume that can be eaten by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plify and improve the menu of Korean foods sold in restrant. To find out the problem and the method of the betterment Korean food sold in restrant. The survey study was made for 100 restrants in Seoul city. Ther average number of side dish of the restrant food was 23. The average amount number of the side dish was 31 and smallest number was 4. The average amount of food served was 979 grams and the average number of food taken by people was 698 grams. The average percentage of intake of food was 62%. Protein Content of the foods sold restrant was from 54% to 240% over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Protein intake also exceeded from 19% to 147%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ge of the customers were surveyed to set up the standard amount of the nutrients. About 68% of the customers were from 30 to 40 years of age in the day time (lunch), whereas about 72% were from 20 to 30 years of age in the evening (supper).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study, two nutritional standard were decided to be used. One is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ences of 25 years of man (reference man), and the other is that of 45 years of man. The actual standards are as follows : Standard 1 (25 years of man) Calories-900~1000Cal Protein-25-30g Vegetables-200~250g (include yellow, green vegetable), Amount of food-about 800g Standard 2 (45 years of man) Calories-700~800Cal Protein-25~30g Vegetables-150~200g (include yellow, green vegetable) Amount of food-700g The kinds of food recommended to be sold in the restrant are as follows : 1. Pansang-is a formal method of korean table setting 3 types, 7 chup, 5 chup, and 3 chup were studied and made, 2. Table for the quest with drink-2 types of table setting, 9 kinds of food and 7 kinds of foods were studied. 3. free meal-in this table, one pig protein dish with kimchi, one vegetable, and one salty flsh will be served, 19 kinds of foods were studies. 4. One dish meal-in one large dish, rice will be served with side dishes soup and kimch will be accompanied, 10 kinds of foods were studied. 5. Cafeteria style foods-one serving of food will be served in small dishes Customers should select the food want to eat.

  • PDF

고등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1일 영양소 및 간식 섭취 (The Daily Intakes of Nutrients and Snacks of High School Smokers and Non-Smokers)

  • 송영미;한장일;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6-48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smoking o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snack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high school students. Up to date scientific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gular school system is needed for a professional nutrition education teach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nutrition education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areas. 381 out of 4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12.0K.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9.8% male, 50.1% female and 40.9%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59.1%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and smokers 43.1%, non-smokers 56.9%. 43.4% of smokers had been smoking since middle school. On analysis of daily nutrient intakes, 16 out of 19 nutrients except animal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C were much more consumed by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non-significantly. Especially vegetable fat and Vitamin E were higher in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p<0.05). The intake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 fat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smoking group 55:15:29, nonsmoking group 56:15:28). Intakes of Vitamin B1 and potassium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KDRI) were under 50% in both groups. However, sodium was taken over 200% compared to KDRI in both groups. Intakes of Vitamin C in the smoking group were as low as 76.5% in comparison to KDRI. Smokers need to increase the intakes of Vitamin C considering that smokers need to intake Vitamin C two times than non-smokers. Nutrient intakes from snacks in the smoking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smoking group. Nutrients that originated from snacks which took over 20% among daily nutrient intakes were 12 nutrients(energy, fat, carbohydrate, calcium, P, Fe, K,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in the smoking group compared to 7 nutrients(energy, vegetable protein, fat, carbohydrate, calcium, Vitamin $B_2$, Vitamin C) in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was significantly paying more money for snacks each month than the non-smoking group was(p<0.01). Periods of consumption were irregular in the smoking group(p<0.05) and the smoking group was used to taking snacks in the morning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preferred sweets and high calorie food over other snacks in comparison of the non-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had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smoking group.

Difference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n elderly people according to chewing difficul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6th)

  • Kwon, Song Hee;Park, Hae Ryun;Lee, Young Mi;Kwon, Soo Youn;Kim, Ok Sun;Kim, Hee Young;Lim, Young Su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2호
    • /
    • pp.139-14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Chewing difficulty is a factor contributing to a poor nutritional status in the elder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sparities in food and nutrition intakes among Korean elderly people with and without chewing difficulty. SUBJECTS/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3. The study subjects included males and females over 65 years of age who were not required to adhere to a special diet due to disease or sicknes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chewing ability. Those who found chewing "very difficult" or "difficult", were combined to form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Similarly, those who found chewing "moderately difficult", "easy", and "very easy" were combined to form the normal chewing group. RESULTS: Of the 999 subjects, 47.7% had chewing difficulties and the prevalence of chewing difficulty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P = 0.03) and higher in those 75 years of age and over than in younger individuals (P < 0.001).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P < 0.05) and lower vitamin C and potassium intake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Comparison of the percentages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in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the intake of most nutrients (energy,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niacin, calcium, phosphorus, sodium, potassium, and ir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In particular, calcium intake was inadequate (51% of KDRIs) in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chewing difficulty is closely related to food and nutrient intake in the elderly and can result in vitamin and mineral intake deficiencies. It is evident that the care of elderly subjects with chewing difficulty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건강증진센터 고객의 비알콜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식사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quality in adults of a health screening and promotion center according to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장지호;이혜승;강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5호
    • /
    • pp.330-3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NAFLD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의 질을 분석하여 영양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질병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남성은 40~50대 비율이 높았고, 여성은 50~60대 비율이 높았다.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키, 체중, BMI,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2) 식습관은 남녀 연구 대상 전체를 분석한 결과, 식사속도가 '빠르다'는 응답이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과식빈도, 외식빈도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잦았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빈도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카페인 섭취가 '하루 3잔이상'인 경우가 NAFLD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식품군별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NAFLD군에서 곡류, 고기류, 생선류, 단당류, 단음식 (빵 과자), 커피 및 차류, 유지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이에 반해 전분류와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적었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에서 곡류, 생선류, 콩류, 김치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알류, 해조류, 우유 및 유제품류, 단음식 (빵 과자), 커피 및 차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었다. 연구 대상 전체 NAFLD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곡류, 고기류, 생선류, 해조류, 김치류, 단당류, 커피 및 차류, 유지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반면 전분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4) 총 에너지 섭취량은 남성, 여성, 연구 대상 전체에서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소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티아민, 비타민 E, 니아신, 인, 나트륨, 아연,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B_6$, 니아신,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5)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탄수화물,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칼슘, 인, 철분, 칼륨, 식이섬유소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지방, 리보플라빈,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식사의 질 평가에서는 다섯 가지 주요식품군이 모두 포함된 식사 (KDDS = 5)를 하는 경우가 여성, 연구 전체 대상에서 정상군이 NAFL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리보플라빈, 칼슘, 식이섬유소의 NAR은 정상군에 비해 NAFLD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NAFLD군에서 빠른 식사속도, 과식, 잦은 외식 등 불량한 식습관을 보였다. 또한, NAFLD군에서 전분류, 우유 및 유제품, 과일류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총 에너지 섭취량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과다한 에너지 섭취, 불균형적인 영양소 섭취, 불규칙적인 식습관 등은 NAFLD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영양상담을 통해 식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하고, 골고루 균형있게 적당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국내 NAFL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섭취요인에 관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서도 NAFLD가 보고되고 있다. 앞으로 국내 비만하지 않은 NAFLD 여성과 비만한 NAFLD 여성의 식습관 및 영양 섭취 상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뇌경색 당뇨병 환자와 비뇌경색 당뇨병 환자의 비교연구 - 영양소 섭취, 식사의 질 평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or without Cerebral Infarction - Focused on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Quality -)

  • 임현정;우미혜;문상관;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7호
    • /
    • pp.621-633
    • /
    • 2008
  • 뇌경색을 동반질환으로 가지는 당뇨병 환자와 뇌경색이 발병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식?생활습관,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뇌경색 당뇨병 환자인 DM-CI군과 비뇌경색 당뇨 환자인 DM군의 평균 연령은 65.6, 69.2세, 뇨병 유병 기간은 10.9, 9.7년으로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교육을 받은 경험은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DM-CI: 21.4% vs. DM: 47.5%) 약물치료에서도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흡연율 (DMCI: 25.0% vs. DM: 2.5%)과 음주율 (DM-CI: 28.6% vs. DM: 10.0%)은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 0.05) 규칙적인 운동과 운동 횟수에서는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2) 신체계측에서는 군 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여자의 경우, 평균 신장이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체질량 지수가 두 군 모두 과체중-비만 범위에 있었다. 혈압측정 결과, 수축기 혈압은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완기 혈압에서 남녀 모두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3)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는 경우는 DM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하루에 한 끼를 거르는 경우는 DM-CI군에서 많았다 (p < 0.05). 식사시간이 불규칙한 경우는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간식의 섭취빈도 및 외식의 섭취 빈도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일일 탄수화물, 나트륨 섭취량은 남녀 모두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지방과 콜레스테롤은 여자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비타민 B1, B2, C, 엽산, 칼슘 섭취는 DM군에서 높았으며 단백질, 아연의 섭취는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영양소 섭취량을 권장섭취량과 비교한 결과, DM군에서 비타민 A, 칼슘, 아연이 권장섭취량에 미달되었으며 DM-CI군에서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이 미달되었다. 5) 식사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INQ의 경우, DM-CI군에서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B2, 엽산, 칼슘의 적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식품군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DDS는 DM-CI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 < 0.05) 섭취 식품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DVS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식사 섭취패턴은 두 군에서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DM군에서는 다섯 가지 식품군을 섭취하는 비율이 (GMVDF = 11111) 가장 높았던 반면 DM-CI군에서는 유제품군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GMVDF = 11101) 가장 높았다 (p < 0.05). 식사의 질 평가에서 DM-CI군, DM 군이 각각 $8.3 {\pm}1.3$, $6.9{\pm}$ 1.7로 DM-CI군에서 식사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결론적으로, 뇌경색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는 뇌경색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 비해 흡연, 음주, 운동 등의 건강관련 습관이 좋지 않았다. 또한 열량, 지방, 나트륨, 콜레스테롤의 섭취는 많은 반면, 비타민과 기질의 섭취량이 낮았으며 영양소 섭취 적정도와 식품 섭취패턴 및 식사의 질이 저하되어 있었다. 따라서 뇌경색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 관리를 위한 건강 관련 습관을 조절함과 동시 에 다양한 식품 섭취를 통하여 식사의 질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당뇨병은 기본적으로 식사요법을 잘 실행할 때 여러 합병증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약물 복용 시에도 632 / 뇌경색 당뇨환자와 비뇌경색 당뇨환자의 비교 그 중요성은 강조된다. 식사요법은 올바른 영양교육을 통하여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함께 습득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도 개개인에 맞는 적극적인 의학영양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hropometric indices and selected nutrient intakes of young children in Kwangju, Korea

  • Kim, Young-Nam;Cho, Youn-Ok;Driskell, Judy 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3호
    • /
    • pp.178-183
    • /
    • 2008
  • The assessment of children's nutritional intakes is important because any nutritional inadequacies or toxicities may have adverse consequences. Studies on the nutritional intakes of Korean children are limit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thropometric indices, estimate selectee nutrient intakes of young Korean children, and compare these intakes with current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is study included 136 healthy children(65 boys, 71 girls), 2-6 y old, living in Kwangju, Korea. Weights and heights were measured. Three consecutive 24-h food recalls were obtain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Obesity Taskforce BMI cutoffs, 8% were overweight and 2% were obese. The energy intakes of 40% were < Korean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while all subjects consumed $\geq$ Kore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EAR) for protein.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consumed > Korean EAR for iron, zinc,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and niacin. Vitamin E intakes of 65% of the Korean children were < Korean Adequate Intake,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subjects had < Korean EAR for calcium and for folate. Many young children in Kwangju, Korea, likely have inadequate status of calcium, folate, and vitamin E.

가정용 600 kcal 식단개발 -주식, 주찬, 부찬- (Development of Recipes for Family Meals (600 kcal) -Staple Meal, Main and Side Dish-)

  • 김상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7-288
    • /
    • 1994
  • In recent years, there is remarkable tendency of overconsumption and high calorie intake which may come from a high availability of foods, the increase of food production, processed food, and imported food. This cause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high blood pressure inducing heart disease, and diabetics etc. Traditional Korean eating pattern and habit make too much waste of foods and wasting time for the food preparation. The dietary guideline used for the guidance of Korean diet pattern is composed of 'nutrients-ingredient-cooking-meal which is not visualized pattern. Therefore we made up menus in the pattern of meal-cooking-ingredient-nutrient, which is more brief, compact and more visualized pattern. We set 27,000 menus with 600 kcal/meal which is combined with staple meal-main dish-side dish (30 menus of rife meal, 5 menus of bread meal, noodle meal and one serving dish meal). 600 kcal menu is basically for volume of serving per one pers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oking and reference. This has several advantages of simple procedure of cooking, easy practice to use menus, and good source of nutritional values. In addition to these, it also provides a new menu to decrease the calorie consumption reducing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o prevent wasting foods, and to help single pers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