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Vocabulary Educat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성 분석 - 단원 구성 및 어휘 사용을 중심으로 - (A study to analyz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281-297
    • /
    • 2016
  • There has being develop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urrently based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Vocabularies used in mathematics textbooks are mainly determined by the authors to develop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hich is currently in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some problems i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현장검토본의 어휘 적정성 분석 및 개선 연구 (A study to analyze and improve vocabulary adequacy of field-reviewed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이대현;권미선;이미진;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75-9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현장검토본에 제시된 어휘를 9등급 어휘 체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를 개선하는 것이다. 9등급 어휘 체계에 따른 분석 결과,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어휘 빈도수의 비율은 1학년 1학기 6.67%, 2학기 12.17%로 나타났으며, 2학년 1학기 11.73%, 2학기 14.19%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어휘가 전체 어휘 빈도수의 약 6%~15%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어휘는 삭제, 수정, 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난도가 높은 어휘 중 수업 내용과 관련없는 어휘는 삭제하였다. 수업 내용과 관련 있는 어휘인 경우 난도가 낮은 유사어로 수정하거나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그림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의 양상을 파악하고 어휘를 적절히 수정하여,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위한 수준 높은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기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상호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연구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A Longitudinal Stud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한세영;주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3-45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in young children. Methods: Two waves of panel data(2013/2015)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using an adapted vers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 total of 306 five-year-old and seven-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r multiple groups was conducted by using AMOS 24.0. Results: First,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showed stability over time. Second,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ggression(t+1).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inter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by examining longitudinal data using the longitudinal analysis method.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terventions to support language development with aggressive childr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a source in developing policies for aggressive children and their parents.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작업 기억 용량과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 관계 연구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F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English Vocabulary Size, and Listening Competence)

  • 이고은;최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65-3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EFL 학습자의 작업 기억과 영어 어휘 및 듣기 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영어 교육 전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참가자의 작업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거꾸로 숫자 폭 과업과 작업 폭 과업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은 '듣기 어휘 수준 시험(LVLT)'과 '미시건 영어 시험(MET)'을 각각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이 클수록 영어 입력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동질적인 연구 참가자들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 기억 용량, 영어 어휘 수준, 그리고 영어 듣기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on Children's Interest in Vocabulary and Reading)

  • 이지은;배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58
    • /
    • 2018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influences children's interest in vocabulary and reading.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were 120 children who were three to four-year-old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s about the literacy interaction of the mothers. This study also surveyed vocabulary and interest in reading of the children by directly visiting the institutes and by researching the subjects individually. This study used technical statistics, Pe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open interaction among the sub-areas of a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vocabulary. Second, a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with children had no direct impact on the child's interest in read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could have a correlation with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ree to four-year-old children, and a mother's application of open interaction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한국어 교육 관련 국내 코퍼스 연구 동향 (A review of corpus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

  • 심은지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43-48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orpus driven research in Korean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 papers was searched online with the keywords including Korean corpus and Korean education. The data was categorized into three: vocabulary education, grammar education and corpus data construction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corp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is not large enough but continues to increase, especially in the research on data construction tools. This suggests there is a significant demand in corpus driven studies in Korean education field.

한국어 신조어 교육의 가치와 자료 구축을 위한시론 (Research on the Value of Korean Neologism Education and the Method of Building Data)

  • 김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71-377
    • /
    • 2022
  • 이 연구는 그간 학습 결과, 교육적 결과물, 객체를 우선시하느라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다루지 못한 '과정'으로서 주목해야 할 대상과 학습자는 없는지 검토한 후, 신조어의 교육적 가치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자료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과정' 중에 빠진 사각지대 어휘로는 신조어를, 사각지대 단계의 학습자로는 외국인 학문목적 학습자를 들고,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신조어를 가르치기 위한 학습 자료로 사전을 만들기 위한 전초 작업으로 신조어 '단층적 목록' 만들기를 제안하였다. '단층적 목록'은 신조어를 시기별로 조어, 의미, 문화 등으로 나누어 자료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한국어 어휘교육에서 구축한 결과물에 '과정'으로 학습으로 할 어휘를 추가하여 한국어 어휘교육을 체계적으로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Users Needs Using Smart Phone)

  • 이지선;최재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3-53
    • /
    • 2012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하고 일괄적인 학습 방법으로 인해 학습자들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고 학습 후에 주어지는 피드백 제시 방법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설문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세운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 단계에 맞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 김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학습의 효과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Effect of Learning Korean Vocabulary with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cused on Korean beginner learners-)

  • 이바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47
    • /
    • 2022
  •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일반적으로 쓰면서 외우는 어휘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한국어교육원 1, 2급 초급 한국어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 12명, 실험 집단 12명으로 나눈 후 어휘 평가지를 통하여 두 집단의 학습 전, 후 성취도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한 학습자들의 어휘 점수가 크게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으며 쉽게 어휘를 공부할 수 있는 어휘 학습 방안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와 정의적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어휘 학습의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어휘력을 높일 수 있는 어휘 학습 방안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