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5.037

Effect of Learning Korean Vocabulary with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cused on Korean beginner learners-  

Lee, Ba-Reun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Korean beginner learners' perception of vocabulary learning and comparison of vocabulary learning methods between the use of vocabulary application Classcard and rote learning with writ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24 beginner Korean learners who were at the 1st and 2nd level in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f D University. These students were dividing into 2 groups for the test - 12 in the control group and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y took the vocabulary tests which were designed fo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learning. Study results showed that vocabulary learning using the application Classcard significantly improved learners' vocabulary scor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thod using Classcard has a greater learning effect than the method of rote learning with writing. Furthermore, the survey showed that learners did not feel uncomfortable in learning vocabulary using the application Classcard, and they thought it was one of the ways to learn vocabulary easily, which means that vocabulary learning using this appl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vocabulary learning method that can increase learners' interest and vocabulary by proving the effect of vocabulary learning using applications.
Keywords
Application; Classcard; Korean Education; Vocabulary Learning; Learning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전재영, 한국어 어휘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향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 박은하, 전진우,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59-468, 2013.   DOI
3 주경희, 이승연, "한국어 학습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한국어 교육, 제24권, 제4호, pp.313-336, 2013.
4 국지수,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현황 분석 및 학습자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제33호, pp.87-106, 2014.
5 설교, 박덕유, "중국 내 한국어 어휘 학습용 앱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3호, pp.531-547, 2020.
6 한상미, 김종인, "모바일 러닝(Mobile Learning)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39권, pp.407-445, 2013.
7 심윤진, 모바일 게임 앱의 활용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 후문옥,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김윤희,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일본어 교육의 사례 고찰 : 코로나19 시대에 진행한 관광일본어 온라인수업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제1권, 제66호, pp.289-305, 2021.
10 안한나, "'퀴즐렛' 어휘 학습의 효과성 검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와 문화, 제14권, 제4호, pp.197-219, 2018.   DOI
11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1A,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12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2A,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13 이일수, 주진오, "드라마 활용을 통한 한국어교육콘텐츠 개선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5-55, 2015.   DOI
14 박유진, 모바일(m-Learning)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5 우원목, "모바일을 활용한 한류 기반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120-131, 2017.   DOI
16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3B, 동국대학교출판부, 2018.
17 김지현,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활동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440-451, 2020.   DOI
18 박현진, 황주희, "모바일 기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이중언어학, 제61권, pp.125-161, 2015.
19 김동현, 박윤주,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에서 스마트 러닝의 효과: 클래스카드를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제21권, 제1호, pp.145-170, 2020.   DOI
20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1B,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21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2B,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22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함께 배워요 한국어 3A, 동국대학교출판부, 2018.
23 https://www.classcard.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