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8.14.03.041

The Effects of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on Children's Interest in Vocabulary and Reading  

Lee, Ji Eun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ae, Sun Young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4, no.3, 2018 , pp. 41-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influences children's interest in vocabulary and reading.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were 120 children who were three to four-year-old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s about the literacy interaction of the mothers. This study also surveyed vocabulary and interest in reading of the children by directly visiting the institutes and by researching the subjects individually. This study used technical statistics, Pe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open interaction among the sub-areas of a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vocabulary. Second, a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with children had no direct impact on the child's interest in read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could have a correlation with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ree to four-year-old children, and a mother's application of open interaction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Keywords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vocabulary; interest in read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명순 (1996).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문어의 의미구성전략 사용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3), 305-325.
2 김명순 (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13, 120-131.
3 김명순, 권희경 (2002).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동 문해 발달에 대한 태도 및 가정 문해환경. 대한가정학회지, 40(1), 147-162.
4 김명순, 김미영, 이유진 (2007). 아동의 읽기 동기에 대한 학년과 학교 읽기 환경의 영향력. 아동학회지, 28(4), 289-304.
5 김민진 (2008).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어휘 학습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69-91.
6 김민진, 송연경 (2016).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및 어휘발달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703-728. doi:10.20437/KOAECE21-1-30   DOI
7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서울: 서울장애인복지관.
8 김태근 (2006). U-Can 회귀분석. 서울: 인간과 복지.
9 김태선, 최보가 (2001). 그림이야기책 읽기에 나타난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과 유아의 문해 발달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1(3), 325-351.
10 박지현, 김호 (2014). 다양한 방식의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77-96.
11 손승희, 김명순 (2012a). 유아의 연령과 부모 문해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의 차이. 아동학회지, 33(5), 181-200. doi:10.5723/KJCS.2012.33.5.181   DOI
12 손승희, 김명순 (2012b). 만 3-5세 유아를 위한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0(7), 109-116. doi:10.6115/khea.2012.50.7.109   DOI
13 송진숙, 송승민 (2006). 문해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행동 연구: 창안적 글자쓰기와 총체적 언어접근법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07-123.
14 신혜영, 김명순 (2008).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개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4), 199-212.
15 심성경, 이희자, 김경의, 최국남, 이용례, 이영희 등 (2002). 동화짓기 및 관련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1), 231-252.
16 심지현, 배선영 (2016). 어머니 문해행동과 유아의 인쇄물개념 및 쓰기능력 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6(3), 33-48.
17 이기숙, 김순환, 정종원 (2011). 만 5세 유아의 읽기능력, 어휘력과 개인․환경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6), 123-139.   DOI
18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 (2002). 가정에서 유아 조기․특기교육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3-172.
19 이명신, 김명순 (2011). 제 2 언어 습득에서 유아의 영어 문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그림책 읽기에서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2(6), 157-185.   DOI
20 이시자 (2014). 그림책 읽어주기와 유아의 초기 문해 능력 발달. 유아교육연구, 34(6), 55-78. doi:10.18023/kjece.2014.34.6.003   DOI
21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2 이차숙 (2005). 유아 언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3 임원신 (1994). 그림 상징책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지연 (2005). 아동의 가정문해환경과 인쇄물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Bruneau, B. J., Rasinski, T. V., & Ambrose, R. P. (1990). Parents' perceptions of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in a whole-language kindergarten program. National Reading Conference Yearbook, 39, 209-216.
26 Akhtar, N., Carpenter, M., & Tomasello, M. (1996). The role of discourse novelty in early word learning. Child Development, 67(2), 635-645. doi:10.1111/j.1467-8624.1996.tb01756.x   DOI
27 Arthur, B. M., & Burch, A. D. (1993). Motivation for reading is an affective concern.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28(5), 280-287. doi:10.1177/105345129302800505   DOI
28 Ball, E. W., & Blachman, B. A. (1991). Does phoneme awareness training in kindergarten make a dif- 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al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6(1), 49-66. doi:10.1598/rrq.26.1.3   DOI
29 Burgess, S. R., Hecht, S. A., & Lonigan, C. J. (2002). Rela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LE)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 related abilities: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7(4), 408-426. doi:10.1598/rrq.37.4.4   DOI
30 DeBaryshe, B. D. (1995). Maternal belief systems: Linchpin in the home read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1), 1-20. doi:10.1016/0193-3973(95)90013-6   DOI
31 Duncan, G. J. & Brooks-Gunn, J. (2000). Family poverty, welfare reform,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1), 188-196. doi:10.1111/1467-8624.00133   DOI
32 Gestwicki, C. (2008).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발달에 적합한 실제: 유아교육과정과 발달(임부연, 장연숙, 최미숙, 최윤정, 최일선, 황윤세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6).
33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 writers,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김명순, 신유림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6).
34 황현이 (2005). 가정의 소득 수준과 아동의 언어능력 및 가정문해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5 Jalongo, M. R. (2010). Early childhood language arts(5th ed). Boston: Pearson.
36 Karweit, N. (1994). The effect of story reading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disadvantaged pre-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students. In D. K. Dickinson (Ed.), Bridges to literacy: Children, families, and schools (pp. 43-65). Cambridge, MA: Blackwell.
37 Lynch, J., Anderson, J., Anderson, A., & Shapiro, J. (2006).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and parents' literacy behaviors. Reading Psychology, 27(1), 1-20. doi:10.1080/02702710500468708   DOI
38 Mata, L. (2011). Motivation for reading and writing in kindergarten children. Reading Psychology, 32(3), 272-299. doi:10.1080/02702711.2010.545268   DOI
39 Morrow, L. M., & Rand, M. K. (1991). Promoting literacy during play by designing early childhood classroom environments. The Reading Teacher, 44(6), 396-402.
40 Neumann, M. M., Hood, M., & Neumann, D. L. (2009). The scaffolding of emergent literacy skills in the home environment: A case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4), 313-319. doi:10.1007/s10643-008-0291-y   DOI
41 Owens, R. E. (2013). Language Development, 언어발달(이승복, 이희란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판 2004).
42 Reutzel, D., & Cooter, R. B. (1996). Teaching children to read: From basals to books. Columbus, OH: Merrill/Prentice-Hall Publishing Company.
43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Writing Research: Multidisciplinary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Writing Series. London: Ablex Publishing.
44 곽경화, 김영실 (2012).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157-180.
45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6 김길숙, 김명순 (2010).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119-133.
47 Robbins, C., & Ehri, L. C. (1994). Reading storybooks to kindergartners helps them learn new vocabu-lary wor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1), 54-64. doi:10.1037/0022-0663.86.1.54   DOI
48 Senechal, M., & LeFevre, J. A. (2002).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skill: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3(2), 445-460. doi:10.1111/1467- 8624.00417   DOI
49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0 Sulzby, E., & Barnhart, J. (1992).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ompetence: All our children emerge as writers and readers. In Irwin, J. W., & Doyle, M. A. (Eds.), Reading/writing connections: Learning from research, (pp. 120-144). Delaware, N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51 Wasik, B. A., & Hindman, A. H. (2010). Understanding the home language and literacy environments of Head Start families: Testing the family literacy survey and interpreting its findings. NHSA Dialog, 13(2), 71-91. doi:10.1080/15240751003737885   DOI
52 Weigel, D. J., Martin, S. S., & Bennett, K. K. (2006). Contribu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o preschool‐aged children's emerging literacy and language skill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6(3-4), 357-378. doi:10.1080/03004430500063747   DOI
53 Weisberg, D. S., Zosh, J. M., Hirsh-Pasek, K. & Golinkoff, R. M. (2013). Talking It Up: Play,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Role of Adult Support. American Journal of Play, 6(1), 3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