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anwoo beef cu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산 쇠고기 수육 및 육수의 영양소 잔존량에 관한 연구 (Retention Factors Influencing Hanwoo Stock (broth) and Boiled Beef)

  • 이근종;김홍균;권용석;정혜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1-269
    • /
    • 2014
  • This study evaluates the nutritional retention factors influencing beef based on different cuts and boiling. Two cuts (brisket and shin foreshank) were prepared from beef and used in this experiment. Boiling methods were applied to each cut. The fat content of the boiled shin foreshank cut (236.43%) exceeded that of the brisket cut (142.38%).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iled brisket cut (47.68%) was lower than that of the shin foreshank cut (49.54%). The sodium content of the boiled shin foreshank cut (47.89%) exceeded that of the brisket cut (37.30%). The potassium content of the boiled brisket cut (41.90%) exceeded that of the shin foreshank cut (39.63%). The calcium content of the boiled brisket cut (48.43%) was lower than that off the shin foreshank cut (71.34%). The phosphorus content of the boiled brisket cut (58.09%) exceeded that of the shin foreshank cut (57.24%). The iron content of the boiled brisket cut (72.72%) was lower than that of the shin foreshank cut (87.29%). Nutritional retention factors represent output data on cooking methods with a yield (%) for each item.

Prediction of Retail Beef Yield Using Parameters Based on Korean Beef Carcass Grading Standards

  • Choy, Yun-Ho;Choi, Seong-Bok;Jeon, Gi-Jun;Kim, Hyeong-Cheol;Chung, Hak-Jae;Lee, Jong-Moon;Park, Beom-Young;Lee, Su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05-909
    • /
    • 2010
  • Two sets of data on carcass traits and beef cut paramet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cass and beef cut measurements, which can be used to make predictions of retail cut percentages. One set had a total of 1,141 measurements of Hanwoo cattle of three different sex origins, which were slaughtered in an abattoir loca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orea from 1996 to 2008. To develop prediction models for retail cut percentage with higher accuracies than the current model, another set consisting of a total of 13,389 records of carcass and beef cut traits were collected from 30 abattoirs and butcheries in Korea from 2008 to 2009. Bulls yielded heavier and leaner carcasses than steers.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stimated between amount of body fat and percent retail cut (-0.82) as well as between back fat thickness (BF) and percent retail cut (-0.62). The amount of retail cut, however, was high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before slaughter (BW, 0.95) or with cold carcass weight (CWT, 0.94). Relationships between percent retail cut and measurable beef yield traits, BF, loin eye area (LEA) or CWT varied by sex class, which must be considered for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with high accuracy. Models of data for all breeds and sexes fit the effects of breed, sex, and interaction of abattoir by butchers, whereas models of data for each breed and sex fit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abattoir by butcher only. Due to possible future changes in back fat control, we performed a log transformation of BF. Our new models fit better than the currently used model.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1++ 등급 거세한우고기의 부위 및 요리형태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nsory Properties for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by Different Cut and Cooking Methods)

  • 조수현;김재희;김진형;성필남;박범영;김경의;고윤실;이종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3-372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고급육으로 유통되는 육질등급이 $1^{++}$인 거세한우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 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 및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8-30개월령 거세한우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 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 형태로 조리된 거세한우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섭취습관 및 숙성여부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 성향이 거주지역, 숙성여부 및 부위가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수입 및 고기섭취습관 등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 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고기섭취 습관, 숙성 여부 및 부위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 성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1^{++}$ 등급과 같은 최상의 육질등급을 받은 거세한우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 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관여도가 쇠고기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Knowledae Level and Involvement on Beef Purchasing Behavior)

  • 김인섭
    • 산업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57-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s perception changes in the Korean beef market and thus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ny structural changes in beef consumption patterns in Korea. This current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sumer attitudes toward factors determining beef purchasing and improving distribution system. First, it is vital to cut beef production costs and expand high-quality beef in order to compete with imported beef.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endeavor to enhance th safety of beef. Also consumers demand more information on the quality of beef. Third, promotion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to maintain Hanwoo beef market power. Forth, it is important to prevent imported beef from being sold as Hanwoo beef at retailers. Finally,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aintain beef consumption data.

  • PDF

Evaluation of the Digestibility of Korean Hanwoo Beef Cuts Using the in vitro Physicochemical Upper Gastrointestinal System

  • Jeon, Ji-Hye;Yoo, Michelle;Jung, Tae-Hwan;Jeon, Woo-Min;Han, Kyoung-S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82-689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gestibility of different Korean Hanwoo beef cuts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in vitro physicochemical upper gastrointestinal system (IPUGS). The four most commonly consumed cuts - tenderloin, sirloin, brisket and flank, and bottom round - were chosen for this study. Beef samples (75 g) were cooked and ingested into IPUGS, which was composed of mouth, esophagus, and stomach, thereby simulating the digestion conditions of humans. Digested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15 min for 4 h of simulation and their pH monitored. Samples were visualiz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examine changes in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after digestion.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MW) of peptides was performed using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respectively. Following proteolysis by the gastric pepsin, beef proteins were digested into peptides. The amount of peptides with higher MW decreased over the course of digestion. SEM results revealed that the surface of the digested samples became visibly smoother. Total indispensable and dispensable amino acids were the highest for the bottom round cut prior to digestion simulation. However, the total amount of indispensable amino acids were maximum for the tenderloin cut after digestion. These results may provide guidelin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to choose easily digestible meat cuts and product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한우수소고기의 부위 및 요리형태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Hanwoo Bull Beef by Different Cut and Cooking Methods)

  • 조수현;김진형;김재희;성필남;박범영;김경의;서그러운달님;이종문;김동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57-870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낮은 육질등급으로 유통되는 한우수소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별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4개월령 한우수소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형태로 조리된 한우수소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고기섭취습관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성향이 거주지역, 연령 및 식습관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가족수, 가계수입 및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식습관 및 부위에 따라 기호도 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우수소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Market weight, slaughter age, and yield grade to determine economic carcass traits and primal cuts yield of Hanwoo beef

  • Kwon, Ki-Mun;Nogoy, Kim Margarette C.;Jeon, Hwa-Eun;Han, Seung-Ju;Woo, Hee-Chan;Heo, Sung-Min;Hong, Hyoung Ki;Lee, Jae-Ik;Lee, Dong Hoon;Choi, Seong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1호
    • /
    • pp.143-154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market weight, slaughter age, yield grade, and primal cut yield in Hanwoo. A total of 403 Hanwoo (Korean native cattle) was assessed for carcass traits such as carcass cold weight, backfat thickness, ribeye area, dressing percentage, yield index, and marbling score. The production yield of the individual major primal cuts of Hanwoo beef was also measured. Carcass cold weight, ribeye area, and backfat thickness, which affect meat quality increased with increased market weight (p < 0.05). The production yield of the ten major primal cuts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market weight (p < 0.05). In terms of slaughter age, carcass cold weight, ribeye area, and backfat thickness all increased from 25 months to 28-29 months, and the production yield of all prime cut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slaughter age. According to the meat yield grade, carcass cold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increased from grade A to grade C, although the ribeye area was not affected. The combined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laughtering Hanwoo at the weight of 651-700 kg and 701-750 and age of 28.23 and 29.83 months could be desirable to achieve the best quality and quantity grade of Hanwoo beef. However, the positive correlation of carcass cold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of the yield index according to primal cuts yield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uple the slaughtering management of cattle with improved genetic and breeding method of Hanwoo to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of the major prime cuts of Hanwoo beef.

한우수소의 부위별 영양성분조성 및 이화학적 육질특성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Hanwoo Bull Beef)

  • 조수현;박범영;김진형;최연호;성필남;정완태;정명옥;김동훈;안종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71-880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낮은 육질등급으로 유통되는 한우수소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별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4개월령 한우수소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형태로 조리된 한우수소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고기섭취습관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성향이 거주지역, 연령 및 식습관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가족수, 가계수입 및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식습관 및 부위에 따라 기호도 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우수소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등급 한우의 부위별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소 잔존율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of 1+ Quality Grade Hanwoo Beef Us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홍균;이근종;김성민;정혜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4-1030
    • /
    • 2010
  • 굽기에 비해 삶기를 했을 경우 중량과 부피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지방은 조리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수분과 단백질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기질함량은 굽기를 했을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삶기를 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잔존율는 굽기에서 삶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수분, Na, K, P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잔존율 변화는 기존 분석자료와 비교했을 때 조리후의 영양소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나 잔존량계수 계산법을 사용하게 되면 영양소가 감소하거나 증가 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한우는 더 다양하며, 등급 품질 역시 5등급으로 구성되어 한우의 일부 특성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추후 국내에 유통되는 다양한 브랜드 한우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steaks by internal temperature)

  • 강선문;강근호;성필남;김영춘;김진형;;장선식;조수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는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로 한우육(거세우, 1등급) 및 호주산우육(Bos indicus, 100일 곡류 비육)의 등심(M. longissimus dorsi)과 우둔(M. semimembranosus)를 약 2 cm 두께로 절단하여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누고, $180^{\circ}C$ 오븐에서 심부온도가 각각 50, 70 및 $90^{\circ}C$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Glucose 함량은 심부온도에 관계없이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와 반대로 lactat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다(P<0.05). 핵산 분해 물질 중 Hx 함량은 모든 심부온도에서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던 반면(P<0.05), GMP, IMP 및 inosin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높았다(P<0.05). 심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쇠고기 스테이크의 gluc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lactate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은 심부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열 한우육 스테이크의 단맛 및 감칠맛 관련 풍미 전구물질 함량이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