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smetic

검색결과 2,246건 처리시간 0.034초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비지메주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y aspergillus oryzae on the anti-obesity and lipids improvemen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이지언;최종근;박종필;임종환;서주원;이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493-502
    • /
    • 2013
  •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confirm the dietary effect of anti-obesity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iji-meju) by A. oryzae, which is well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meju microbe. We observed that body weight gain,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 as well as the activity of ROS generating enzyme and ROS scavenging enzyme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mice fed experimental diet (SCR and SCR-meju).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HC (high-fat diet control)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NC (Normal control). Conversely,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the SCR (Biji) and SCR-meju (Biji-meju)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C; these of the SCR-meju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CR group. Furthermore, serum TG and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of SCR and SCR-meju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HC, and HDL-cholesterol level of the SCR-meju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C. In conclusion, although precise mechanisms of the antiobese effects of SCR-meju in this study are unknow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experimental evidence that SCR-meju may prevent obesity and obesity related metabolic syndrome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liver disease by high-fat diet. Nevertheless, further study in this filed will be needed.

감마선 조사가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color values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pent coffee ground extraction)

  • 송하연;김혜민;김우식;양미소;변의홍;장범수;최대성;변의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44-549
    • /
    • 2017
  • 본 연구는 폐자원인 커피박의 산업적 이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를 이용하여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 개선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커피박 추출물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마선 조사를 한 결과 30, 50 kGy의 조사선량에서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30, 50 kGy로 감마선 조사된 커피박 추출물에서 성분변화가 일어났지만, 항산화능력과 미백활성능에는 0 kGy 커피박 추출물 처리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른 성분들이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감소하였지만, 퀸산이 상당량 증가함으로써 성분변화로 인한 커피박 추출물의 생리활성능 감소를 보완한 것으로 보이며, 이상의 결과로 감마선 조사가 커피박 추출물의 진한 갈색도를 개선함으로써 커피박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 활융될 수 있는 부가가치를 부여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해 커피박 폐기로 인한 환경문제 및 경제적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리이온(II)이 존재할 때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DNA 절단 (DNA Breakage by Salvianolic acid B in the Presence of Cu (II))

  • 이평재;문철;최윤선;손현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5-210
    • /
    • 2018
  • 단삼의 성분인 salvianolic acid B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항산화 효과는 간세포, 신경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유형에서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ferulic acid와 같이 항산화제로 여겨지는 몇몇 페놀성 물질은 특정 전이 금속이 있으면 산화작용을 하며 이것이 항암 효능을 설명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 salvianolic acid B가 $Cu^{2+}$ 환경에서 산화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salvianolic acid B와 $Cu^{2+}$를 동시 처리하면 supercoilded 형태의 DNA가 open circular 혹은 linear 형태로 바뀌었으나 salvianolic acid B 혹은 $Cu^{2+}$를 단독 처리 했을 때는 그렇지 않았다. $Cu^+$에만 특정적인 킬레이터 neocuproine을 이용하여 salvianolic acid B가 $Cu^{2+}$$Cu^+$로 환원시킴을 알았으며 $H_2O_2$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catalase를 처리하면 DNA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활성산소종 중 하나인 $H_2O_2$는 생체분자 특히 DNA를 공격하여 정상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정리하면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Cu^{2+}$의 환원은 $H_2O_2$를 생성하며 $H_2O_2$는 DNA 분해를 일으킨다. 이런 결과는 salvianolic aicd B의 항암효과가 salvianolic acid의 $H_2O_2$ 생성 때문일 수 있다는 작은 단서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좀 더 실험이 이뤄져야 한다.

쇠무릎 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Stems of Achyranthes japonica)

  • 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72-979
    • /
    • 2014
  • 한방에서 건조된 뿌리를 '우슬'이라는 약재로 이용되는 쇠무릎의 잎과 줄기를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총 함량을 측정한 결과 쇠무릎 잎의 물 추출물인 LWE에서 각각 58.27 mg/g과 42.22 m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에서도 LWE에서 16.42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인 SEE에서 11.35 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SEE가 93.41%로 가장 우수한 전자공여 효과를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모든 추출물이 1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의 1.0 mg/mL의 농도에서 LWE가 94.90%의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 3.0에서도 LWE가 45.20%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LWE는 1.0 mg/mL 66.67%로 가장 높은 XO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EE와 SWE도 각각 31.17%와 32.06%의 XO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쇠무릎 잎은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 효과도 줄기보다 우수하며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식물보다 우수하여 쇠무릎 잎을 식용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외상에 의한 근관내 석회화 변성 치아의 처치 (PULP CANAL OBLITERATION CAUSED BY TRAUMA)

  • 이성룡;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6-261
    • /
    • 2004
  • 외상 치아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치수 충혈, 내출혈, 근관내 석회화 변성, 외흡수, 치수괴사, 유착 등이 있다. 치아의 근관내 석회화 변성은 치아가 외상을 받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석회화 변성은 여러 요소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데 임상적으로는 치관의 황색 계통의 변색과 방사선학적으로는 치수강을 포함한 근관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협착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석회화 변성이 발생할 경우, 치수 괴사로 이행되기도 하는데, 모두 치수 괴사로 이행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근관 치료에 앞서 적절한 검사 및 관찰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만 9세의 여아가 놀던 중 친구의 머리에 부딪혀 상악 중절치의 외상(subluxation)을 받고 내원한 경우로 지속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근관내 석회화 변성이 관찰되었다 검사 초기에는 임상적으로 경미한 치관의 변색만 보였을 뿐, 전기 치수 검사(EPT)에서는 특이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그 후 전기 치수 검사를 이용한 지속적인 검사 결과, 그 반응의 정도가 점차 감소되었으나, 근관 치료는 좀 더 유보하고 관찰하기로 하였다 외상 후 20개월 정도 지나서는 전기 치수검사를 이용한 검사에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근관의 완전 협착과 치관의 황색 계통의 변색이 관찰되었다. 이에 치수 괴사로 이행되는 것을 막고 치관의 변색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근관 치료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Saurus chinensis) 추출물의 미용 활성 (Beauty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rus chinensis by ultra-fine ground)

  • 박혜진;박기태;홍신협;김나현;박미정;홍은진;안동현;안봉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9-905
    • /
    • 2016
  • 삼백초를 기능성 미용식품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추출물의 미용활성을 측정하였다. 삼백초 물 추출물의 경우 tyrosinase 저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ethanol 추출물의 경우 초미세 분쇄의 경우 20% 이상의 미백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삼백초를 초미세분쇄 시 tyrosinase 활성저해 물질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삼백초 ethanol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100~1,000 ppm으로 조절하여 tyrosin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 1,000 ppm phenolic 첨가농도에서 100% 가까운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효과는 삼백초의 phenolic 첨가농도가 1,000 ppm이상의 농도에서 30% 내외의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미세 분쇄보다 초미세 분쇄 추출물이 더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삼백초 ethanol 추출물의 수렴성의 경우 250 ppm이상에서 70% 이상의 좋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 추출물은 일반 미쇄 추출물보다 미백,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등의 미용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주름개선, 모공축소 등의 기능성 미용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장수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omitella fraxinea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0
    • /
    • 2011
  • 본 연구는 현미에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을 첨가한 장수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보다 열수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더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솔잎첨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소거활성은 거의 50%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이용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 첨가에 의한 저해율은 장수버섯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72.49%, 87.34% 및 82.75%를 보였다. ACE 저해효과는 모든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미강, 솔잎,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그리고 강황이 첨가 되었을 때 활성이 plasmin보다 약 10% 증가 되었다. 따라서 동물 실험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진행 후, 천연소재로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Erigeron annuus L. Flower)

  • 이미란;전아림;강창희;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7-725
    • /
    • 2016
  • 본 연구는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은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능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는 $500{\mu}g/ml$ 농도에서 98.6%, DPPH 라디칼 소거는 48.3%로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P. acnes, E. coli 균에 대하여 paper disc법과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S. aureus 균주에 대해서는 MIC 값과 MBC 값이 모두 0.31 mg/mL 농도에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 acnes 균에 대해서는 disc법에서 14 mm의 clear zone 형성과 MIC, MBC에서 각각 0.31 mg/mL, 0.63 mg/mL로 좋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항염 활성에 관련하여 NO 억제 측정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망초꽃 에센셜오일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자외선 조사 무모쥐 피부에 도포한 애엽(Mugwort)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kinned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on UV-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병대;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0-26
    • /
    • 2008
  • 무모쥐의 피부에 도포한 애엽 추출물과 positive 비교군인 아스코르브산이 피부 조직에 미치는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2%와 5% 도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 2%와 5% 도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있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인 산화 단백질의 함량은 모든 애엽 추출물 도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14.6%{\sim}18.5%$)하였으나,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2% 도포군에서만 저해효과가 인지되었다. 과산화지질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도포그룹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항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모든 그룹에서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 도포군은 2%와 5%에서,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피부 노화 억제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애엽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감마선 조사가 미역귀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Extraction Yield and Whiten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다미;김경희;성낙윤;정필문;김정수;김재경;김재훈;최종일;송범석;이주운;김진규;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12-7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 평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된 미역귀로부터 추출된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미백활성은 melanin 합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tyrosinase 억제활성과 melanocyte의 melanin 생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방사선의 조사는 선량 의존적으로 조다당의 추출수율을 증가시키고,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alpha}$-MSH로 melanin을 과생성 시킨 B16BL6 melanoma 세포내 melanin 생성 억제 활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마선의 조사는 미백활성을 갖는 미역귀 조다당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며, 미백 산업 분야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