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6초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장기적 매개효과 분석 (The Long Term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emocratic Attitude of Parent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steem)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0-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신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와 이러한 관계가 장기적 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2010년)와 3차 년도(2012)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동일 년도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예측하였다. 둘째,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인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자아존중감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1학년 때의 이러한 관계 패턴은 2년 후인 3학년 때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과업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해당 변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 송희승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7-10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의 초1패널 데이터 중 7차 자료(중학교 1학년)인 2016년 데이터를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s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었다. 공동체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이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enting styl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self-identity with career identity)

  • 노소영;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변인과 진로정체감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IBM SPSS 22.0이었으며,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1 패널 3차년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 통계, Cronbach's α,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정체감, 또래애착, 교사관계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부모양육방식은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양육방식과 자아정체감의 상호작용항은 정적 효과가, 교사관계와 자아정체감의 상호작용항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진로 관련 프로그램 개발,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상담, 가정교과에서 진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면 진로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의 학업성취수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Youth Activitie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11-61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참여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 2,47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학업성취 수준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 참여는 진로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학업성취수준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중학생들의 청소년활동 참여 강화는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긍정적 학업성취의 경험이 진로결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자유학기제를 통해 중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과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참여가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부여로 작용할 수 있도록 청소년의 관심과 욕구에 반응하는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다양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자유학기제와 연계되어 프로그램 참여를 확대 강화할 수 있도록 청소년지도자와 교사들에게 교육과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매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 on their Delinquent behavior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Environment)

  • 현다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71-283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학교환경 등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컴퓨터, 휴대전화 등 매체환경이 그 관계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기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 총 518명 대상으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6차년도 조사결과를 활요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애정형, 과잉간섭형, 학대형일수록, 친구와 소외관계가 깊을수록 비행행동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비일관성, 친구간 의사소통은 컴퓨터와 휴대폰을 더 자주 사용하게 하였다. 컴퓨터,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할수록 비행행동도 늘어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교육프로그램, 친구간 소통프로그램 등 비행행동을 방지하는 발달환경의 조성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비행행동을 완화하기 위해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에 대해 올바른 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요구된다.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 김지영;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2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 4학년 패널 자료 중 2016년 7차 연도 자료 1,9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공동체 의식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위축을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감소된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 관련 공동체 의식 약화를 다룰 때, 의존과 사회적 위축, 공동체 의식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융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its related variables)

  • 박미정;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7-8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을 실증적이고 종단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데이터 중에서 중1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의 수준이 각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랐다. 둘째,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가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취가치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성취가치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 중1(${\beta}=.57$), 중3(${\beta}=.48$), 고2(${\beta}=.47$)로 모든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애착도 중1(${\beta}=.15$), 중3(${\beta}=.19$), 고2(${\beta}=.19$)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성취가치는 고2(${\beta}=.12$)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즉, 모든 시기에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았으며, 고2 시기에는 성취가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졌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삶의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또래애착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또래애착을 형성하는 수업과 활동이 보다 많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초등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관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omat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연희;정창숙;유준옥;형나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5-51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somatization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research used cross-sectional data of 2,031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4th-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was performed using SPSS/WIN 23.0. Results: Aggression (r=0.60, p<.001) and depression (r=0.69, p<.001)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affection (r=-0.22, p<.001), reasonable explanation (r=-0.28, p<.001), peer relationship (r=-0.06, p=.001), and teacher relationship (r=-0.20,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mat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on (${\beta}=0.52$, t=25.52, p<.001), aggression (${\beta}=0.27$, t=13.30, p<.001), reasonable explanation (${\beta}=0.05$, t=2.99, p=.002), and affection (${\beta}=0.04$, t=2.13, p=.03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matization. This regression model has an explanatory power of 52.8%. Conclusion: To reduce somatiz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herapeutic intervention to change student emotions into a positive coping mechanism and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ractices for healthy school life.

The Impact of Parenting Styles on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 Kim, K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45-15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 자녀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정서문제의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과 통제적 양육방식 및 자녀의 정서문제 간의 관련성을 가정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제6차와 제7차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적 양육방식은 정서문제를 낮추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 반면, 통제적 양육방식은 정서문제를 악화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양육방식의 유형에 대한 인식과 정서문제의 수준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방식의 개선과 정서문제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모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