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t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32초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의 개발 (III) - 카이트를 부착한 모형어구의 전개성능 - (Development for Fishing Gear and Method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Net (III) - Opening Efficiency of the Model Net attaching the Kite -)

  • 유제범;이주희;이춘우;권병국;김정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3호
    • /
    • pp.197-210
    • /
    • 2003
  • 무부자망은 망구의 전개 및 예망시 중저층에서의 예방수심 조절이 효과적이었지만, 표층~30m에서는 예망이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카이트(Kite)의 적용을 검토한 것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뜸줄에 연결된 대형망목부에 부분적으로 카이트를 부착하여 회류수조에서 모형실험으로 그 전개성능을 비교 조사하고 우리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망수심은 카이트망이 기준형과 무부자망보다 유속별 예망수심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실제 조업시의 예망속도 4.9knot일때는 기준으로 2개의 카이트를 부착했을 때는 약 20m였고, 4개의 카이트를 부착했을 때는 약 5m였다. 또한, 카이트망의 추와 날개 끝 추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른 예망수심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발줄의 깊이만 각각 약15m와 10m 침강하였다. 그리고, 아래끌줄의 길이(dL)의 증가에 따른 예망수심의 변화는 없었고, 발줄의 깊이만 약 22m 침강하였다. 2. 유체저항은 유속이 2.0~5.0knot로 증가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카이트망의 유체저항은 무부자망과 기준형에 비해 약 5~10ton 더 컸다. 그리고, 카이트망의 유체저항은 4.0knot를 기준으로 추의 무게가 1.40~3.50ton 으로 증가할 때 약 3ton, 날개끝 추의 무게가 0~1.11ton으로 증가할 때 약 4ton 증가하였으며, 아래끌줄의 길이(dL)가 0~40m로 증가할 때 유체저항은 약 5.5ton 증가하였다. 3. 망고는 4.0knot를 기준으로 카이트의 면적이 $2,270mm^2(2kite)에서; 4,540mm^2(4kite)$로 증가할 때 약 10m 증가하였으며, 카이트의 면적이 $4,540mm^2$(4kite)일 때 기준망보다는 약 50m, 무부자망보다는 약 30m 증가하였다. 망폭의 변화는 모든 경우에서 유속의 변화에 따라 5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다. 4. 여과량은 카이트망이 기준형과 무부자망에 비해 유속이 2.0knot일 때는 약 28%, 34% 더 컸으며, 3.0knot일 때는 약 42%, 41%이었고, 4.0knot일 때는 약 62%, 45%이었으며, 5.0knot일 때는 약 74%, 54%로 더 컸다. 각 어구별 적정 예망속도는 뜸이 있는 기준형은 약 3.0knot, 무부자망은 4.0knot이상 이였으며, 카이트망은 5.0knot 이상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5. 망구면적당 유체저항의 비는 기준형, 무부자형, 카이트망의 순으로 전개효율은 카이트망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무부자망, 기준형의 순이었다. 실제 예망속도인 4.0knot를 기준으로 카이트망은 기준형에 비해서는 약50%, 무부자형에 비해서는 약 25%로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물감의 강도에 관한 연구 (1)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 (Studies on Strength of Netting (1) The Decrease in Strength of Netting Twines by Knotting)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
    • /
    • 1976
  •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를 명백히 하기위해, 매듭에서의 그물실의 파단현상울 관찰하고 강도 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여 매듭의 강도를 나타내는 식을 유도하고, mono-filament, multi-filament, 및 spun 그물실로 구분된 11종류의 그물실에 대해 매듭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했다. 실험의 결과, 매듭이 파만을 일으키는 부분은 매듭의 첨단, 즉 매듭과 다리와의 경계이었으며, 강도감소의 원인은 이 첨단에 마찰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첨단에 위치한 섬유들이 자신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서 재분포하는데 마찰력만큼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이라고 간주되었다. 매듭의 강도 T는 $$T=\frac{T_0}{1+{\mu}\frac{s}{\rho}\varrho^{\mu\theta}$$ 로 표시되었고, 이 식에 의한 계산치는 실험치와 거의 일치했다. 단, $T_0$는 그물실의 항장력, $\mu$는 그물실간의 마찰계수, S는 매듭의 첨단과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과의 접촉길이, $\rho$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의 곡률반경, $\theta$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이 반대편 첨단에서 다른 그물실과 마찰되는 각도이다.

  • PDF

시이펏 은하 NGC 5728의 OASIS 분광 영상 (OASIS Spectral Images of the Seyfert galaxy NGC 5728)

  • 형식;송동훈;;이우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9-578
    • /
    • 2006
  • CFHT 천문대 3.6 m 망원경에 부착된 OASIS 분광기를 사용하여 얻은 자료로부터 continuum, $H{\alpha},\;H{\beta}$, [O III], [N II] 등의 영상을 만들어 활동 은하핵 NGC 5728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NGC 5728의 중심부에 NLR 영역으로 판단되는 약 $15"{\times}12"$ 범위 영역에 3개의 밝은 부분(NW knot, SE knot, nucleus)이 존재하고 있고, 이는 핵(nucleus)을 중심으로 북서방향이나 서쪽으로 물질의 흐름이 일어나고 있음을 암시한다. 우리는 직경 10"인 ring과 이의중심에 있는 NW knot의 구조가 은하중심과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구조의 생성 원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핵과 knot의 운동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고, 방출선 영상에서 보이는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활동 은하 중심부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Divide Knot Presentation of Knots of Berge's Sporadic Lens Space Surgery

  • Yamada, Yuichi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0권2호
    • /
    • pp.255-277
    • /
    • 2020
  • Divide knots and links, defined by A'Campo in the singularity theory of complex curves, is a method to present knots or links by real plane curves. The present paper is a sequel of the author's previous result that every knot in the major subfamilies of Berge's lens space surgery (i.e., knots yielding a lens space by Dehn surgery) is presented by an L-shaped curve as a divide knot. In the present paper, L-shaped curves are generalized and it is shown that every knot in the minor subfamilies, called sporadic examples of Berge's lens space surgery, is presented by a generalized L-shaped curve as a divide knot. A formula on the surgery coefficients and the presentation is also considered.

ON THE 2-BRIDGE KNOTS OF DUNWOODY (1, 1)-KNOTS

  • Kim, Soo-Hwan;Kim, Yang-Kok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1호
    • /
    • pp.197-211
    • /
    • 2011
  • Every (1, 1)-knot is represented by a 4-tuple of integers (a, b, c, r), where a > 0, b $\geq$ 0, c $\geq$ 0, d = 2a+b+c, $r\;{\in}\;\mathbb{Z}_d$, and it is well known that all 2-bridge knots and torus knots are (1, 1)-knots. In this paper, we describe some conditions for 4-tuples which determine 2-bridge knots and determine all 4-tuples representing any given 2-bridge knot.

On the Polynomial of the Dunwoody (1, 1)-knots

  • Kim, Soo-Hwan;Kim, Yang-Kok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2권2호
    • /
    • pp.223-243
    • /
    • 2012
  • There is a special connection between the Alexander polynomial of (1, 1)-knot and the certain polynomial associated to the Dunwoody 3-manifold ([3], [10] and [13]). We study the polynomial(called the Dunwoody polynomial) for the (1, 1)-knot obtained by the certain cyclically presented group of the Dunwoody 3-manifold. We prove that the Dunwoody polynomial of (1, 1)-knot in $\mathbb{S}^3$ is to be the Alexander polynomial under the certain condition. Then we find an invariant for the certain class of torus knots and all 2-bridge knots by means of the Dunwoody polynom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