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lebsiella specie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젖소 유방염유래(乳房炎由來) Gram 음성간균의(陰性桿菌)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Gram-Negative Bacilli Isolated from Bovine Udder Infections)

  • 박청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58
    • /
    • 1980
  •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157 Gram-negative bacilli (90 Escherichia coli. 30 Enterobacter aerogenes, 18 Klebsiella pneumoniae, 12 Proteus spp., 3 Pseudomonas aeruginosa and 4 Alcaligenes faecalis) isolated from infected bovine udders was determined by the plate dilution method. Gentamicin and oxolin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12.5{\mu}g/ml$ were very active to all of 157 Gram-negative bacilli tested, and 98% of thes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nalidix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25{\mu}g/ml$. Most of the 90 Escherichia coli strains were inhibited by chloramphenicol, ampicillin and carbenicillin and carbenicillin at a concentration of $12.5{\mu}g/ml$. None of the Klebsiella pneumoniae strains were inhibited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of ampicillin and carbenillin, whereas all the species of Proteus resisted a concentration of $50{\mu}g/ml$ or higher tetracycline. All the 3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were highly resistant to streptomycin, kanamycin, Ampicillin,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and nalidixic acid.

  • PDF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과 그 치료 (Etiologies of Bacterial Pneumonia with Implications for Therapy)

  • 우준희;이재석;권강호;김경호;최창현;박춘식;이위교;최태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67-75
    • /
    • 1995
  • 연구배경: 최근 세균성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주의 변화양상, 폐렴의 임상상, 균주에 따른 항생제의 감수성 및 치료성적등을 알아보기위해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된 190예를 후향적으로 입원기록 검토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4년간 순천향대학병원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 897예 중 화농성 객담, 호흡곤란, 흉통등의 증상, 이학적 소견, 흉부 X-선에서 새로운 또는 진행하는 폐 병변, 혈액배양 및 의미 있는 객담에서 다수 또는 순수배양 상태로 나온 것을 병원균으로 간주하고, 항균제치료에 대한 반응등으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 받은 환자 19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원체는 혈액이나 객담 배양검사로 원인균이 확인된 것만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환자의 나이, 성별, 기저절환, X-선소견,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사망률에 대해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모두 190예이었고 성별빈도는 남자가 123예(65%), 여자가 67예(35%)로서, 남녀의 비가 1.8:1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1세(17~84세)이고, 60대 이상이 반수(53%)이상을 차지했다. 2) 세균성 폐렴환자의 기저질환은 175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저질환이 없었던 예는 22예 뿐이었다. 기저질환으로는 폐결핵 및 만성폐쇄성폐질환등 호흡기계 질환이 78예(43%)로 가장 많았고, 뇌혈종 및 경색의 뇌혈관계 질환은 33예(20%), 악성종양 29예(16%), 당뇨 19예(12%) 및 만성 신부전증 10예(5%) 순이었다. 3) 객담배양은 173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154예(89%), 그람양성구균은 19예(11%)이었으며,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Pseudomonas 49예(28%), Klebsiella pneumoniae 29예(17%), Enterobacter species 25예(14%), Acinetobacter species 20예(12%) 순이었고, 원내폐렴에서도 Pseudomonas 균주가 13예(34%)로 가장 많았다. 4) 혈액배양은 16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7예(43%), 그람양성구균은 9예(57%),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6예(38%)으며, 그 다음 흔한 균주는 Pseudomonas specise 3예(19%)의 순이었다. 5)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Pseudomonas species는 amikacin(56%), ciprofloxacin(91%), aztreonam(85%), ceftazidime(50%)에 5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piperacillin(60%), gentamicin(73%), carbenicillin(79%)에는 60% 이상의 내성을 보였다. Klebsiella species는 chloramphenicol(74%), gentamicin(75%), cefotetan(78%)에 7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carbenicillin(73%), ampicillin(81%)에는 70%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다. Staphylococcus의 감수성 검사에서는 methicillin에 64%의 감수성을 보였고, Streptococcus pneumoniae의 경우 oxacillin에 94%의 감수성을 보였다. 6) 세균성 폐렴의 치료결과 154명(81%)이 치유되었고 사망 및 가사상태로 퇴원한 경우는 36명(19%)이었으며, 병원획득폐렴 환자의 사망율은 25예(75%)로 높았다. 결론: 항생제의 개발과 더불어 폐렴의 임상상의 변화, 원인균주의 변화 및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등을 고려할 때 무분별한 항생제 투여를 지향하고 세균배양 및 감수성검사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항생제의 투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자반고등어에서 histamine 분해능을 가진 세균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Histamine-degrading Barteria from Salted Mackerel)

  • 황수정;김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43-748
    • /
    • 2005
  • Histamine은 적색육 어류의 histidine이 어육 중의 Morganella morganii, Hafnia alvei 및 Klebsiella pneumoniae와 같은 부패세균에 의해 탈탄산 되어 초기에 형성되는 것으로 allergy성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적색육 어류인 고등어의 선도저하 시에 많이 생성된다. 그리고 부패 후기에는 histamine을 분해하는 세균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histamine 식중독의 잠재력을 지닌 자반고등어로 인한 식중독 사고 예방과 그 위생 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자반고등어에서 histamine 분해능을 가진 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시료는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상태로 구입하였다. 질소원과 탄소원으로써 histamine만을 첨가한 제한배지를 사용하여 histamine 분해능을 가진 균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Cram staining, oxidase, catalase, citrate, TSI test, $H_{2}S$ reaction 및 indole 생성 등의 기본적인 생화학적 동정시험을 거쳐 10종의 시험균주를 선택하였다. 이 균주들을 16SrRNA gene 염기서열 비교에 의한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동정 하였다. 그 결과, Pseudomonas putida strain RA2, Halomonas marina, Uncultured Arctic sea ice bacterium clone ARKXV1/2-136, Halomonas venusta, Psychrobacter sp. HS5323, Pseudemonas putida KT2440, Rhodococcus erythropolis, Klebsiella terrigena (Raoultella terrigena), Alteromonadaceae bacterium T1, Shewanella massilia의 10종이 모두 동정 되 었으며, 각각 $100\%,{\;}100\%,{\;}99\%,{\;}99\%,{\;}99\%,{\;}99\%,{\;}100\%,{\;}95\%,{\;}99\%,{\;}100\%$의 상동성을 보였다. Histamine분해능의 존재를 탁도측정법과 효소법에 의해 확인한 결과, 분리된 10종 모두의 histamine 분해능이 재확인 되었고, 그 중 Shewanella massilia가 최대의 histamine 분해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자반고등어 시판 제품에는 다수의 histamine 분해 세균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세균을 활용한다면 식품 내 존재하는 histamine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뒤영벌 병원체 11종에 대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PCR Detections against 11 Pathogens of Bombus Species)

  • 민상현;김정민;임수진;김병희;이칠우;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9-109
    • /
    • 2017
  • DWV, IAPV, KBV, SBV, BQCV, kSBV, SBPV and Paenibacillus larvae, Mellisococcus plutonius, Lysinibacillus fusiformis, Klebsiella oxytoca의 뒤영벌 병원체들에 대한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시료에서 추출된 핵산은 11종 PCR들에 같은 시간 및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병원체 특이 표적 DNA가 PCR 기질로 1000분자가 존재한다면, 해당 특이 PCR 증폭산물들은 정성적, 정량적으로 20분안에 성공적으로 증폭되었다. 우리가 제안하는 이 다중 PCR 검출법이 뒤영벌의 국제교역을 위한 검역검사에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종합병원 응급실내의 영상의학과 장비에서의 세균 오염에 관한 보건학적 융합 분석 (Analysis of Healthcare Convergence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Radiological Equipment in Emergency Rooms of General Hospitals)

  • 홍동희;박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1-59
    • /
    • 2017
  •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응급실에 설치된 CT 장비와 일반촬영장비에 대한 세균 오염도 검사를 실시하여 보건학적 융복합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도권 3곳과 전라도 2곳, 충청도 2곳 등 총 7곳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하였다. 영상의학과 응급실 내 CT장비의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Micrococcus species(4,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9%), Enteococcus faecium(4.5%), Providencia stuartii(4.5), Gram negative bacilli(4.5%), 일반촬영장비에서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Providencia stuartii(11%), Klebsiella pneumonia(3.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11%), Pantoea species(11%), Acinetobacter baumannii(3.5%), Micrococcus species(3.5%), Escherichia coli(3.5%), Enterobacter species(3.5%), Gram negative bacilli(11%) 로 병원 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균주는 없었고, 특이성을 가진 균주 역시 없었지만 가장 많이 검출된 구역이 모두 환자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곳이므로 방사선사는 검사 전후 알코올 등으로 깨끗이 닦아내야 할 것이다.

식수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생화학적 성상에 의한 균종별 분포 (Biochemical Classification of Coliforms Isolated from Drinking Water)

  • 함희진;안미진;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7-232
    • /
    • 1999
  • 세균오염지표인 대장균군의 균종별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세균학적 의미를 조사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1997년 6-7월에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원에 의뢰된 옹달샘 시료와 지하수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고, 옹달샘 유래 대장균군 112주와 지하수 유래 대장균군 24주를 IMViC test와 API 20E kit(BioMeriux)를 사용하여 균 분리 동정한 후 합계 136균주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대장균군을 분리 동정한 결과 23균종이 분리되었으며, 균종별로는 Esherichia 속균 39주(28.6%), Klebsiella 속균 32주(23.5%), Enterobacter 속균 30주(22.1%), Serratia 속균 19주(14.0%), Citrobacter 속균 6주(4.4%), Kluyvera 속균 4주*3.0%) 그리고 기타 6주 (4.4%)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들의 EMB agar상의 집락 색상은 녹색 금속 광택 50.7%, 분홍색 44.2%, 자주색 5.1%로 나타났고, 형태는 smooth colony 64.7%, mucoid colony 34.6%, rough colony 0.7%로 각각 나타났다. 생화학적 시험결과 lactose broth 에서는 가스를 생성하였으나 KIA에서는 gas를 생성치 않은 균종이 Ent. intermedium, Ser. liquefaciencs, Ser. marcescenes 그리고 Sal. arizoae이었고, H2S를 생성한 대장균군으로는 Kleb. pneumoniae, Kleb. oxytoca, Kleb. ornithinolytica, Ent. sakasakii, Ent. cloacae, Ser. Liquefaciens, Ser. ficaria, Cit. freundii 그리고 Sal. arizoae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장균군 정성시험 양성을 나타내는 대장균군은 대부분이 E. coli, Klebsilla 속균 그리고 Enterobacter 속균이었다. 또한 향후 대장균군 정성시험 시 EMB agar 상에서 녹색 금석성 광택 집락 외에도 분홍색 집락이 주의시되어지며, rough colony는 대장균군 분리에서 제외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생화학적 성상 검토 결과 새로운 형태의 대장균군 출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Detection of Nitrate/Nitrite Bioavailability in Wastewater Using a luxCDABE-Based Klebsiella oxytoca Bioluminescent Bioreporter

  • Abd-El-Haleem, Desouky;Ripp, Steven;Zaki, Sahar;Sayler, Gary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8호
    • /
    • pp.1254-1261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constructed a bioluminescent bioreporter for the assessment of nitrate/nitrite bioavailability in wastewater. Specifically, an approximately 500-bp DNA fragment containing a nitrate/nitrite-activated nasR-like promoter (regulating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nitrite reductase in the genus Klebsiella) was fused upstream of the Vibrio fischeri luxCDABE gene cassette in a modified mini-Tn5 vector. Characterization of this strain, designated W6-1, yielded dose-dependent increased bioluminescence coincident with increased nitrate, nitrite, and ammonium added to the growth medium from 1 to 11 ppm. Bioluminescence in response to nitrogen species addition was light dependent up to 10, 7, and 8 ppm with nitrate, nitrite, and ammonium, respectively. This response was linear in the range from 1 to 8 ppm for nitrate ($R^2=0.98$), 1 to 6 ppm for nitrite ($R^2=0.99$), and 1 to 7 ppm for ammonium ($R^2=0.99$). A significant bioluminescent response was also recorded when strain W6-1 was incubated with slurries from aged, nitrate/nitrite contaminated wastewater. Thus, bioreporter strain W6-1 can be used to elucidate factors that constrain the use of nitrate/nitrite in wastewaters.

혐기성 수소생산 시 운전 pH 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군집 변화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at Difference Cultivation pHs)

  • 전윤선;이관용;조윤아;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239-1244
    • /
    • 2008
  • 본 연구는 혐기성 발효에 의한 수소 생산 시 pH가 3에서 10까지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조건에서 미생물의 군집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PCR-DGGE를 실시하였다. 최대 수소생산 수율은 pH 5에서 1.8 mol $H_2$/mol substrate로 측정 되었으며, 각 pH에서 미생물의 성장량과 수소생산효율의 비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pH에서 채취된 미생물의 16S rDNA을 target으로 한 PCRDGGE를 수행한 결과, pH 조건에 따라 미생물의 군집 조성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생물 종의 대부분은 Klebsiella 속으로 규명되었으며 Streptococcus 속과 Clostridium 속 미생물이 수소생산 효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삼토양으로부터 옥신 생성 식물생장촉진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from Soil in a Ginseng Field)

  • 박해성;정영필;윤민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77-382
    • /
    • 2010
  • An auxin-producing bacterium (AMT-54) was isolated from ginseng cultivating soil of Geumsan area. The isolate AMT-54 was confirmed to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which is one of auxin hormone by TLC analysis. When the concentration of IAA was assessed by performing HPLC quantitative analysis, the maximal 457ppm of IAA was detected from the culture filtrate after culturing in R2A broth containing 0.1% tryptophan for 24h at $35^{\circ}C$.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ain peak obtained by LC-mass analysis was correspondent well to 175, that of IAA. The strain AMT-54 was identified as a novel species belongs to Klebsiella mobilis by a chemotaxanomic and phylogenetic analysis. To investig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 of crop, when the culture broth of K. mobilis AMT-54 was infected onto seed pot of mung bean, the 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of mung bean were 3.3times higher than control.

In-vitro Antimicrobial Activity Phytochemical and Cytotoxicity of Methanolic Fruits Extract of Capsicum frutescent

  • Elbashir, Habiballah A.;Mubarak, Elnaeim E.;Kabbashi, Ahmed S.;Garbi, Mohamed I.;Elshikh, Ahmed 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4호
    • /
    • pp.10-17
    • /
    • 2018
  • Capsicum frutescen is known in Sudan,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pepper species in cooking and in Sudanese folk medicin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bacteria and fungi) and cytotoxicity (Brine Shrimp Lethality Test) of methanolic extract of Capsicum frutescen (fruits). The extract have been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in vitro potential effects against Gram positive, Gram negative bacteria and fungi. The selected organisms were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 and Candida albicans using the cup plate agar diffusion method. The methanol extract of Capsicum frutescen (fruits)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Escherichia coli with zone of inhibition (23 mm) and Klebsiella pneumonia with zone of inhibition (17 mm). The phytochemical screening revealed the presence of Tannins, Saponin, Alkaloids, Anthroquinoles and Terpenoids. The Cytotoxicity of methanolic extract of Capsicum frutescens was $LD_{50}$ $64.68{\mu}g/ml$. The activity and presence of compounds known to be biologically active are a validation for the use of Capsicum as a food ingredient and as a therapeutic element of traditional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