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wi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7초

참다래 과수나무의 바람 피해 저감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Reducing Wind Damage on Kiwi Fruit Plant)

  • 강종훈;임대현;이상준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4
    • /
    • 2006
  • In this study, the threshold wind speed that causes physical damage on Kiwi fruit plant was investigated through wind tunnel experiments. Total 30 samples of Kiwi fruit branches were tested. On average, the wind speeds for tearing leaves and breaking side branch from the main branch were about 20m/s and 21.7m/s,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broken branches, the average length and diameter of the branches were 587.5mm and 7.2mm, respectively. The discoloration and dehydration of Kiwi plant were also observed by photographing leaves and branches after 24 hour later of the wind damage. In addition, the shelter effect of porous wind fences which have been used at agricultural districts was examined with varying several parameters.

  • PDF

Optimum Alcohol Fermenting Conditions for Kiwi (Actinidia chinensis) Wine

  • Jang, Se-Young;Woo, Seung-Mi;Kim, Ok-Mi;Choi, In-Wook;Jeong, Yong-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26-53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um alcohol fermenting conditions for the processing of kiwi wine and vinegar products. Six yeast strains were examined for their alcohol production from kiwi at $30^{\circ}C$ for 72 hr with continuous shaking at 100 rpm. Under these conditions, Saccharomyces kluyveri DJ97 produc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of 10.2%. As the fermentation time extended to 96 hr, the alcohol content reached a maximum of 12.75%. The optimum alcohol fermenting conditions for kiwi fruit were accomplished when kiwi was added to an equal amount of water, inoculated with S. kluyveri DJ97 and fermented at $30^{\circ}C$ for 96 hr with continuous shaking.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decreased as the alcohol concentration increased, whereas little change was observed in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the low temperature aging process. Other alcoholic compounds, such as methanol, isopropanol, n-propanol, isobutanol, and isoamylalcohol,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참다래 식초 초산발효조건 및 올리고당 첨가의 영향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Kiwi Vinegar)

  • 우승미;김옥미;최인욱;김윤숙;최희돈;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0-1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참다래 식초 개발을 위하여 초산발효 조건 및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기알코올 농도 6%, 초기산도 1%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총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영향에서 총산은 올리고당 15% 첨가구에서 5.03%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다래 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리당은 올리고당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malic, lactic, acetic, citric 및 succin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올리고당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첨가량에 따른 무기질 함량은 올리고당 첨가량이 높을수록 무기질함량이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올리고당 첨가는 참다래 초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단맛을 고려할 때 약 15% 첨가가 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ethylene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in kiwi fruit

  • Lim, Byung-Seon;Lee, Jin-Su;Park, Hee-Ju;Oh, Soh-Young;Chun, Jong-P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40-345
    • /
    • 2016
  • The kiwi fruit (Actinidia deliciosa cv. 'Hayward') should be ripened at any step during postharvest handling before consumer consumption. This is essential for freshly harvested kiwi fruit. But, this requires correct temperatures and ethylene concentrations. More testing of a newly developed ethylene generator using charcoal for commercial purposes is need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storage temperatures and the effect of ethylene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kiwi fruit. Three different ethylene concentrations of 10, 50, and $100{\mu}L{\cdot}L^{-1}$ were used on fresh kiwi fruit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of 10, 15, and $20^{\circ}C$. The quality changes of the fruits were assessed by sensory evaluation and by measuring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and ethylene production. Higher storage temperatures and ethylene concentrations softened the kiwi fruit quickly and led to the rapid loss of acidity while soluble solid contents of fruit increased to a significant extent during the same storage period. Similarly, the firmness of ethylene-treated fruits stored at 20 and $15^{\circ}C$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 while treated fruits stored at $10^{\circ}C$ decreased only slightly.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fruits stored at 15 and $20^{\circ}C$ were better than those of fruits at $10^{\circ}C$. With regards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fruits stored at lower temperatures took a longer time to ripen and retained their quality longer. The newly developed ethylene generator maintained the ethylene concentration in the 5 kg box at $40-400{\mu}L{\cdot}L^{-1}$. The ethylene generator could also be used to soften persimmons.

다래를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Manufactur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ne using Hardy Kiwi Fruit (Actinidia arguta))

  • 박경록;홍성욱;김영준;김수재;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7-334
    • /
    • 2013
  •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다래를 이용하여 발효주의 제조공정을 확립하였다. 다래과실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후숙기간을 5일로 정하고, 효소제 처리는 0.1% cytolase PCL5를 2시간 처리하였을 때 과즙 수율이 53.5%로 무처리구보다 약 2.4배나 수율이 증가하였다. 다래 발효주 제조시 강한 신맛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산처리는 0.1%(w/v) $CaCO_3$를 최적농도로 선정하였다. 다래과실을 파쇄한 후, 각각 가수하여 25%(v/w) 처리구(hardy kiwi wine 25)와 50%(v/w) 처리구(hardy kiwi wine 50)를 준비하였다. 각각 처리구에 설탕을 첨가하여 $24^{\circ}brix$ (252 g/l)로 보당하였고 0.1%(w/v) $CaCO_3$, 0.1%(v/v) cytolase PCL5 효소제, 메타중아황산 칼륨(200 ppm)을 첨가한 후, 주모($1.5{\times}10^7$ cell/ml)를 접종하여 $20^{\circ}C$에서 2주 동안 발효하였다. 숙성은 $4^{\circ}C$에서 8주 동안 진행하면서 다래 발효주의 pH와 총산도는 각각 pH 3.4-3.7과 1.12-1.21%로 유지하였다. 알코올 함량과 환원당은 14.3-14.4%와 15-16 g/l로 유지하였다. 다래 발효주의 주요 유기산과 유리당은 citric acid (6.6-6.7 g/l)와 fructose (2.5-2.7 g/l)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phenethyl alcohol, ethyl acetate, acetaldehyde 등이 검출되었다. 다래 발효주의 관능평가 결과, 맛과 향,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 hardy kiwi wine 50에서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키위 드레싱 제조법의 표준화 연구 (A Study on Standardizing a Recipe for Kiwi Salad Dressing)

  • 김미향;이연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07-414
    • /
    • 2002
  • 본 연구는 마요네즈보다 낮은 칼로리와 아름다운 색을 지닌 키위드레싱의 Recipe를 표준화하고 저장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기름의 종류, 기름의 양, 산의 종류, 양파의 첨가량에 따른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에 따른 pH와 색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름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드레싱의 관능 검사 결과, 맛과 상큼한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옥수수 기름보다는 올리브유의 기호도가 높았다. 2. 기름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한 드레싱의 관능검사 결과, 기름의 양에 따른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고 칼로리를 낮추어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체 키위 드레싱 중에 기름 120g의 첨가가 칼로리 면에서는 효율적이나 다른 맛을 고려해 볼 때 160g의 첨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마요네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의 배합비율 즉 기름 75.0%보다 월등하게 기름의 사용량이 적고 색이 아름답다는 장점이 있어 그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3. 신맛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드레싱의 관능 검사 결과, 식초보다는 레몬즙만을 사용하였을 때가 향기에 있어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특히 식초대신 레몬을 첨가함으로써 과일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4. 양파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드레싱의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 및 상큼한 맛에 있어서 전체 키위 드레싱 중의 12%인 60g의 첨가가 3.64점, 3.61점으로 가장 좋은 평가를 보였다. 5. 키위 드레싱의 저장 기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향기, 맛,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저장 10일째에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6.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조 당일에 2.67에서 저장 17일에 2.99로 높아졌다. 7. 키위드레싱의 저장에 따른 색도를 살펴보면 명도(L값)는 저장 3일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녹색도(a값)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여 더 짙은 녹색을 띄었으며 황색도(b값)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키위드레싱은 기름으로 올리브유를 사용하고, 기름의 양은 전체 드레싱의 32%를 첨가하며, 산은 레몬즙만 12%를 사용하고, 양파즙은 12%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며 저장 10일까지의 품질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 PDF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 Bacillus sp. 분리와 병해 억제 작용 (Isolation of Antifungal Bacterial Strain Bacillus sp. against Gray Mold infected in Kiwi Fruits and its Disease Control)

  • 조정일;조자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9-410
    • /
    • 2006
  • 전남 남부지역의 참다래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 병원균(gray mold, Botrytis cinerea)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한 세균성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참다래 과수원 토양으로부터 단일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잿빛곰팡이 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생물적 제어 능력을 검정하고 균주 동정을 실시하였다. 참다래 과수원에서 분리한 총 350여종의 단일균 주 중에서 참다래에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하여 길항작용이 우수한 균주를 1차적으로 4종 선발하였고, 이 중에서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하여 길항작용이 86.9% 정도로 우수한 CHO 163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에 대하여 길항작용이 우수한 CHO 163을 대상으로 균주의 형태적 성질, 배양적 특성 및 생리 생화학적 성질 등을 조사하여 균주의 동정을 검토한 바 Bacillus sp.와 유사한 균주로 동정되었다. 길항균으로 분리한 Bacillus sp. CHO 163은 한천배지에서 참다래 잿빛곰팡이 병원균 접종 후 길항균 처리와 열처리한 균주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 거의 완전한 항균작용을 보였다. 또한, in vitro 상에서 참다래에 잿빛곰팡이병원균을 접종하고 Bacillus sp. CHO 163의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 잿빛곰팡이병원균의 방제가 확인되었다.

  • PDF

능이버섯 첨가가 우육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Beef)

  • 송영선;이승아;조정원;이종호;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6-272
    • /
    • 2001
  • An instrumental analysis of cooked beef was carried out along with sensory evaluat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Sarcodon aspratu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comparision with kiwi fruit and pea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e muscle fiber started to be degraded when treated with Sarcodon aspratus(1,000unit) for 10 min at $25^{\circ}C$. No distinct sarcomere, A-band, and Z-line was observed when treated with Sarcodon aspratus for 60 min at same con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cooked beef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In the texture, shear force of cooked beef was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In terms of color, L-value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Sarcodon aspratus, whereas L-value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kiwi fruit and pear in dose-dependent manners. a-value and b-value was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in which control was most preferred in taste and flavor. As the cont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was increased, the score of juiciness and tenderness was increased. In the overall acceptance, score of 0.05~0.1% Sarcodon aspratus and 10% pear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0.05~0.1% addition of Sarcodon aspratus might be desirable for the improvement of texture and juiciness of cooked beef.

  • PDF

Alteration of Porcine Serum Albumin Levels in Pork Meat by Marination in Kiwi or Pineapple Juice and Subsequent Pan Broiling

  • Moon, Sung-Sil;Kim, Dongwook;Kim, Il-Suk;Ham, Jun-Sang;Park, Beom-Young;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5-361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porcine serum albumin (PSA), a major allergen, which occur when raw pork ham is marinated with kiwi or pineapple juice, and/or when the ham is pan broiled at $300^{\circ}C$ for 4 min after marination. In this study, raw pork ham was soaked for 4 h or 8 h in marinades containing commercial marinating sauce only, commercial marinating sauce and 7% kiwi juice, or commercial marinating sauce and 7% pineapple juice. When the meat was marinated and then pan-broiled, pork ham meat protein was significantly denatured and hydrolyzed, and the level of PSA in the mea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PSA contents of pork broiled without marination, pork that had been marinated in commercial marinating sauce alone, pork that had been marinated in commercial marinating sauce with kiwi juice, and pork that had been marinated in commercial marinating sauce with pineapple juice, were 95.4, 43.3, 14.3, and 5.4 ng/mL, respectively (p<0.05). Marinating with pineapple juice was more effective than marinating with kiwi juice; and marination for 8 h was more effective than marinating for 4 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SA in pork ham is effectively reduced, when the meat is first marinated in sauces that contain kiwi or pineapple extracts for 8 h, rather than 4 h, and then cooked.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marinated pork meat reduces allergenicity in vivo, as well.

능이버섯 첨가가 닭고기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rcodon Aspratu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Chicken)

  • 이종호;박영희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43-54
    • /
    • 2002
  • 단백질 분해효소활성을 가진 능이버섯 키위 배를 첨가하여 각 처리군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능이버섯, 키위, 배를 첨가군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연육 효과가 있는 소재들을 첨가한 닭고기의 shear force를 비교해 보면 대조군에 비하여 능이버섯, 키위는 감소의 폭이 크게 나타났지만 배를 첨가한 것은 감소의 폭이 낮게 나타내었다. 닭고기의 색은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능이버섯, 키위, 배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인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능이버섯과 배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키위 첨가군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닭고기의 맛은 능이버섯 0.10% 가장 높았으며 능이버섯, 키위, 배 첨가 군 모두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닭고기의 점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닭고기는 능이버섯 1.5%와 배 10%첨가가 같은 점수 대를 나타내었다. 키위의 첨가는 능이버섯과 배에 배하여 맛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한 닭고기의 색은 대조군이 가장 선호되었는데 이는 닭고기가 흰살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닭고기의 향은 대조군과 배 10%첨가가 같은 점수로 높게 나타내었으며, 다즙성은 능이버섯 1.5%가 가장 높은 값이 였고 대조군 군이 낮게 나타내었다. 이것은 이들 소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는데, 닭고기의 연화도는 이들 소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드러운 조직감을 나타내었다. 배를 첨가한 군은 대조군과 비슷한 연화도를 나타내었고, 키위와 능이버섯 첨가군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연화도가 증가하여 기계적인 조직감이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기호도는 배 10%군이 가장 선호되었고 그 다음이 대조군이며 키위 첨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