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ergarten teachers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9초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생활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arly Adjustment Process to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 오재연;남민우;김경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1호
    • /
    • pp.95-12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charge of 3-5-year-ol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Daej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djusted themselves to kindergarten through four weeks'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In daily work adjustment, they showed some difficulty in Week 2 but their adjustment improved rapidly in Week 3 and Week 4. Self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also improved notably in Week 3 and Week 4. In pro-social adjustment, the children showed difficulty in Week 2, improvement in Week 3, and again difficulty in Week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responding to the teacher's sensitivity and intimacy,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pattern of adjustment similar to that of young children in Korea families.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n Application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 박선미;정지현;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62-471
    • /
    • 2018
  • 올해부터 시행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초 중 고등교육에의 정규 교육과정 편성을 앞두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위한 유아교사교육 방안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가장 높고, 운영적, 개인적, 정보적 관심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띄었으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을 나타내었다. 필요성 인식에 따른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에서만, 그리고 향후 실행 계획 유무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 6단계(재초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프로파일 그래프 형태는 전체 평균에 의한 패턴과 비교적 유사한 비사용자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패턴을 전환시키고 소프트웨어 교육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이 제안되었다.

유아의 수줍음과 교사-유아 관계 간의 관계에 대한 유아 언어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09-12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 their mothers, and their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s shyness was rated by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children's verbal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languag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Children's shyness had a negative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s.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s shyness and verbal ability predicted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the highest level of children's verbal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verbal ability training for children might be valuable for shy children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Parents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 김용숙;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66-3471
    • /
    • 2011
  •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유아미디어 교육에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관심과 교육경험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 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250명)과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경험은 있으나 구체적이지 못하고, 교사와 학부모가 선호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집단의 형태를 묻은 결과 교사-학부모 모두 소집단 그룹의 활동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유아미디어 교육의 개선점으로는 교원의 연수기회확대,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이론의 미정립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만 5세 학급 교육활동에서의 집단형태에 따른 유아 참여행동 및 교사 언어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engagement behavior and teachers' linguistic behavior by type of group activity in program of 5 years' class)

  • 배인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112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육활동에서의 집단형태에 따른 유아의 참여행동과 교사의 언어를 관찰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시 소재 유치원의 만 5세 2학급 유아 45명과 각 학급 담임이었고, 4주 동안 시간표집법에 의한 16회 관찰을 통해, 활동 집단 형태와 유아의 참여행동 및 교사의 언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주도 대집단 활동과 구조화된 활동내용이 많았다. 유아 참여는 대집단활동에서 일방적 응시행동이 많았고 교사의 설명하기가 높게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또래 간 소집단에서의 유아의 참여는 적극적 반응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언어는 칭찬과 인정하기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일과 구성에 나타난 교육활동의 집단형태 운영와 유아의 참여행동 및 교사의 언어 사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유아컴퓨터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교사의 욕구 탐색 ; 질적 접근 (Teacher's Viewpoint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 Qualitative Study)

  • 심현애;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7-198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point of teacher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Nondirective and open-end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teps or stages of viewpoints were found: step1-teachers want to have computers in the classroom but have no particular purpose in mind; Step 2-teachers want the children to play with the computers as if it were a toy; Step 3-teachers want to use any programs that are in the computer; Step 4-teachers want to use the computer more purposefully for educational goals; Step 5-teachers want to unify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 PDF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 최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23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Subjects were 96 students at three-year colleges in Suncheon, Jollanam-do.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Woo and Choi 2004), revised for this research.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ea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t=4.30, p<.001). In sub-a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ole of student teachers, the contents of teaching, support system, evaluation and preliminary guidance(p<.001), but not in the evalua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student teachers' attitudes(p>.05). This information should be beneficial for teachers' colleges in preparation of practice teaching programs.

  • PDF

유아교사의 개인전 변인(반성적 사고, 정서적 적응성, 동기부여)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ity Dispos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ing the Teachers' Belief of Efficacy)

  • 이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5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elief of efficacy and their personality dispositions (reflective thinking, emotional adaptability, and motivation orien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f 282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processed and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belief o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ersonality dispositions of reflective thinking, emotional adaptability, and motivation orientation-approach.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al orientation-avoidance. Teachers' belief of efficacy was high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daptability in all variables,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motivation orientations-avoidance.

  • PDF

유치원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일화기록의 한계와 과제 (Teachers' Story about the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 박선희;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1-95
    • /
    • 2014
  • 본 연구는 일화기록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일화기록의 현실적 한계와 함께 진정한 일화기록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곱 명의 사립유치원 교사들로 구성된 집단을 구성하여 다섯 차례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후속적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개방 및 선택적 코드화와 범주화를 거쳐 의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문서에서 유아발달의 자원으로", "기록과 교육과정 간의 단절에서 교육 실제를 증진시키는 순환적 활용으로", "어려운 현실 속 수동적 교사의 기록에서 개선된 근무 환경에서 연구하는 교사의 실천으로"와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유치원에서의 일화기록의 한계와 그에 대한 개선 과제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