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ers' Story about the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유치원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일화기록의 한계와 과제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08.16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aper explored the limitations of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and presented the challenges toward authentic recor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 teachers working at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individual follow-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conversation in the FGI and their responses in the individual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matic coding.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 barriers from recording a child anecdote in private kindergarten and at the same time their voices implied the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ll descript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converged on the 3 themes with rhetoric of "from A to B". For becoming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in summary, the records at the present should be changed 1) "from formal and faithless documentation to fluent resources of children's development", 2) "from disconnectedness between the records and curriculum to recursive circulation for improving pedagogical realities", and 3) "from canned documentation written by a struggling teacher to meaningful writing produced by a teacher like researcher".

본 연구는 일화기록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일화기록의 현실적 한계와 함께 진정한 일화기록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곱 명의 사립유치원 교사들로 구성된 집단을 구성하여 다섯 차례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후속적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개방 및 선택적 코드화와 범주화를 거쳐 의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문서에서 유아발달의 자원으로", "기록과 교육과정 간의 단절에서 교육 실제를 증진시키는 순환적 활용으로", "어려운 현실 속 수동적 교사의 기록에서 개선된 근무 환경에서 연구하는 교사의 실천으로"와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유치원에서의 일화기록의 한계와 그에 대한 개선 과제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현(2001). 관찰과 기록화를 통한 유아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4. 김남희(2010). 유아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35-163.
  5. 김영선(2006). 유치원의 유아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천(2004). 교과교육과 수업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 문음사.
  7. 김영천, 이용숙(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8. 김윤경(2001).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연(2007). 유아발달평가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유아발달평가 실태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나귀옥, 김경희(2012).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아평가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2(4), 465-492.
  11. 박귀선(2009).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미옥(2012). 유아평가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과의 관계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미정(2000).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대한 태도와 그 활용실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서은주, 홍순옥(200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아동교육, 18(3), 37-54.
  15. 손리라(2011). 유치원 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손희경(2011).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유아평가에 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엄기자(2000).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종수(2001). 유아교육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경화(2001). 기록화를 통한 유아평가. 교육과정평가연구, 4(1), 41-54.
  20. 이경화, 임희정(2012). 다문화가족의 한국인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에 관한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69-98.
  21. 이성희(2003).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평가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3(2), 129-142.
  22. 이성희, 사영숙(2004).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수행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현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95-117.
  23. 이순자(2004). 유치원의 유아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225-268.
  24. 이원미(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윤옥(2009). 영유아 행동관찰 연구. 서울 : 신정.
  26. 이정환, 김지영(1996).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비형식적 아동평가의 운영실태 조사. 서울 : 한국어린이육영회.
  27. 정금란(2009). 초등학교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차선례(1997). 유치원 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미숙, 박지영, 성연정, 윤유중(2009).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평가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논집, 13(1), 139-162.
  30. 최일선, 홍용희(2003). 한별유치원 만 5세 기린반 교사의 유아평가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171-196.
  31. 황해익(2002). 유아교육평가. 서울 : 양서원.
  32. 황해익(2010). 아동연구방법 (제2판). 서울 : 정민사.
  33. Bloor, M., Frankland, J., Thomas, M., & Robson, K. (2001). Focus groups in social research. London : Sage Publications.
  34. Camden, C. (2001).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2nd Ed.). Portsmouth, NH : Heinemann.
  35. Chen, J. Q., & McNamee, G. (2007). Bridging: Assess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re K-3. Thousand Oaks, CA : Corwin Press.
  36.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37. Dodge, D. T., Heroman, C., Charles, J., & Maiorca, J. (2004). Beyond outcomes: How ongoing assessment supports children's learning and leads to meaningful curriculum. Young Children, 59(1), 20-28.
  38. Dombro, A., Jablon, J., & Dichtelmiller, M. (2000). The power of observatio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families. Information Exchange, 135, 22-27.
  39. Jones, J. (2004). Framing the assessment discussion. Young Children, 59(1), 14-18.
  40. Krueger, R. A. (1998). Moderating focus groups. London : Sage.
  41. Marshall, C., & Rossman, G. B. (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 Sage.
  42. McAfee, O., & Leong. D. J. (2007).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4th Ed.) . Boston, MA : Allyn and Bacon.
  43. McFarland, L. (2008). Anecdotal records: Valuable tools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36(1), 31-38.
  44. Nah, K. O., & Kwak, J. I. (2011). Child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in South Korea. Asian Social Science. 7(6), 66-78.
  45. Seplocha, H. (2004). Partnerships for learning: Conferencing with families. Young Children, 59(5), 9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