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2.19.1.095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arly Adjustment Process to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Oh, Jae-Yeon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Nam, Min-Woo (목원대학교 교수학습센터)
Kim, Kyang-Ran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9, no.1, 2012 , pp. 95-1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charge of 3-5-year-ol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Daej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djusted themselves to kindergarten through four weeks'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In daily work adjustment, they showed some difficulty in Week 2 but their adjustment improved rapidly in Week 3 and Week 4. Self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also improved notably in Week 3 and Week 4. In pro-social adjustment, the children showed difficulty in Week 2, improvement in Week 3, and again difficulty in Week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responding to the teacher's sensitivity and intimacy,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pattern of adjustment similar to that of young children in Korea families.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Early Adjustment Proc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계획. 2008년 11월 10일, www.mest.go.kr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09 다문화가정 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계획 요약. 2010년 3월 8일, http://www.mest.go.kr.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10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계획. 2010년 10월 5일, http://www.mest.go.kr.
5 구수연. (2008).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갑성. (2006).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병순. (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18, 98-138.
8 김수연. (2007). 유아의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옥. (1998). 반편견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제12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어린이육영회, 65-98.
10 김향자. (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해숙. (2011).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수미. (2007). 보육시설 이용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은. (2003).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향자. (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진. (2004).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현경. (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류 경. (2000). 보육시설 초기적응과정의 영아 행동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미경. (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 대책; 2007년 8월 20일 한국사회당 부대변인 김규남. http://www.mw.go.kr.
20 보건복지가족부. (2009).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http://www.mw.go.kr/에서 2010년 1월 13일 검색.
21 메디컬 투데이. (2009). 서울시, 다문화가정 자녀 보육지원 서비스 확대한다; 다문화 다민족어린이집 2개소를 지정하여 시범 운영. 2008년 7월 1일. http://www.acrofan.com/ko-kr/life/news.
22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 한건수.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3 송선진.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송진숙, & 권희경.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19.
25 송진숙.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6 신현정. (2003).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여성가족부. (2010). 다문화가족지원법. http://www.moleg.go.kr/에서 2010년 4월 16일 검색.
28 신혜정.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안은미. (2007). 농어촌 국제결혼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양선희. (2007). 유아의 유치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구조분석. 충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 한국교육.
32 오소정, 김영태, & 김영란. (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8(1), 137-161.
33 윤형숙. (2005). 외국인 출신농촌 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0월 심포지엄.
34 이정선. (2007).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경험과 시사점: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2), 217-237.
35 장영희, 이숙재, 김혜실, & 김정화. (1999). 세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교육연구, 33, 143-168.
36 전경화, & 김지현. (2001). 유아문학을 통한 반편견 교육과 유아의 반편견 인식조 사. 부천대학논문집, 22, 204-214.
37 정민영. (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정민영, & 정정희. (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유아교육연구, 30(3), 141-168.
39 정선아. (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9(1), 253-272.
40 정옥분. (2004). 영유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41 정윤정. (2007). 결혼이민자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전라북도지역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진주. (2005).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44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5 조혜진. (2003).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황선영. (2012).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적 적응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Bate, L., Luster, T., & Vandenbelt, M. (2000).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outcomes among preschool children borm to low-income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Minneapolis, 62(1), 133-147.   DOI
48 Derman-Sparks, A. B. C. Task Force. (1992).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9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as, E. G. (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3), 542-557.   DOI   ScienceOn
50 Gibbs, J. T. (1990). Biracial adolescents. In J. T. Gibbs & L. N. Huang(Eds), children of color (pp. 322-350).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1 Jewsuwan, R., Luster, T., & Kostelink, M. (1993). The rek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33-51.   DOI
52 Klein. G. L. (1982). Heuristic Influence on Decision Processes. Doctoral dissertation. Texas Tech University.
53 Roopnarine, J. L., & Johnson, J. E. (1993).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Merrill.
54 Kowalski, K., & Lo, Y. E. (2001). The influence of perceptual features, ehtnic labels, and sociocultural infp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ethnic/racial bia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2(4), 444-455.   DOI
55 Ladd. G. W., & Price. J. M.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DOI   ScienceOn
56 Ladd, G. W., Kochenderg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1103-1118.   DOI   ScienceOn
57 Tzivinikon, S. (2004). Intervention for a bilingual child with development speech problem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4, 607-6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