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gwon-do coas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강원연안산(産) 까나리 자치어(仔稚漁)의 분포 (Distribution of Larva and Juvenile of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in Kangwon-do Coast, Korea)

  • 한경호;김복기;최수하;김귀영;김용억;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2
    • /
    • 1999
  • 강원연안의 까나리 자치어(仔稚魚)의 형태발달 및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연안 6마일 이내의 해역 60개 정점을 선정하여 난(卵) 치자어(稚仔魚) 네트 (RN 80 net)와 기선권형망의 일종인 소형선인망으로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강원연안에서 까나리 자치어(仔稚魚)의 체장조성 및 출현양상은 1~3월에 평균체장이 10.0~30.0 mm의 개체가 $5.0{\sim}6.0^{\circ}C$의 수온에서 주로 출현하였으며, 4~6월에는 평균체장이 40.0~80.0 mm의 개체가 $7.2{\sim}12.0^{\circ}C$의 수온에서 분포하였다. 자치어(仔稚魚)가 출현하였던 시기는 1월에서 6월까지였고, 6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수온이 낮은 2~3월까지 동해 남부해역에서만 분포하지만, 표층수온이 $7.2^{\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4월부터 점차적으로 북상하여 중부와 북부해역에 나타났고, 분포상 특성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동해안 3개 하천 하구역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Three River Estuary Areas of the East Coast, Gangwon-do)

  • 정희진;천경식;옥길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75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estuary regions, Namdaecheon, Jusucheon, and Maeupcheon, placed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41taxa, including 90 families, 277 genera, 388 species, 2 subspecies, 35 varieties, and 6 forms.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region was 271taxa of Namdaecheon, 247taxa of Jusucheon, and 285taxa of Maeupcheon, respectively. Among the investigated 441taxa, 7 Korean endemic, 5 rare plants and 37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Aquatic and hydrophyte plants were collected 41taxa, and the thinophyte and halophyte plants were investigated 22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9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estimated as 13.3%.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Maeupcheon was estimated as well conserved estuary region among the investigated 3 rivers.

"도문대작(屠門大嚼)"을 통해 본 조선중기 지역별 산출 식품과 향토음식 (A study on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9-395
    • /
    • 2003
  • Regional foods is influenced by weather, local and social environment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at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Some of representative dishes of the Hansung and Kyonggi-do Area is duck(rice cake) of seasonally celebrated days, hangua(korea confectionary) and rice wine. Typical foods in Chungchong-do Area is included persimmon, jujube, watermelon and wax gourd. Some of the well-known food in Kangwon-do Area is pear, bangpungchuk(gruel), sukebyung(rice cake), woongjijunggua(korea confectionary) and san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m) that is seemed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section. Some of the famous dishes in Cholla-do Area is backsanja(korea confectionary), tea, chuksun kimchi(bamboo shoot pickle), citrus fruits and ear shell. Kyongsan-do Area ia famous persimmon, bamboo fruit, dasik(korea confectionary) and yakban(glutinous rice cake). Hwanghae-do Area is famed pear and choshi as assumed the eatly form of gochujang(thick soypaste mixed with red pepper). Representative dishes are deljjuk(blue berry), herring, sang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rm) in Hamgyong-do Area and daemandu(big dumpling) in Pyongan-do Area. The coast area is famous for using lots of sea food. Fresh seafood is consumed raw, and clams, fish and seaweed are liberally added to soups and other dishes. The East coast is catched salmon, flatfish, codfish, sandfish and mackerel The West coast is catched yellow corvenia, lobster, tiny shrimp and large-eyed herring. The South coast is catched sea mussel, codfish and laver.

강원도 동해시 황강흡충 감염의 역학적 조사연구 (Epidemiological Survey on Metugonimus yokogawui Infection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Kangwon-Province, Korea)

  • 안영겸;정평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59-68
    • /
    • 1987
  •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Metagonimus yokogawai infection was perfo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Kangwon province. Formalin-ether concentration technique and Stoll's dilution egg counting method were employed to figure out the prevalence and intensity of M. yokogawai infection and eating habits of inhabitants with raw freshwater fis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valence rate of M. yokogawai infection was 6.6% among a total of 2, 357 examinees; 8.6% (115 out of 1, 345) in male and 4.0% (40 out of 1, 012) in female. 2. The prevalence rates were different by the streams where the examinees were residing: 17.8% along the area of Ohsip-cheon (stream), 11.8% along Maeup-cheon, 1.7% along Hwasang-cheon, 1.3% along Yeongok-cheon, 0.9% along Namdae-cheon, 0.9% along Sa-cheon and 0% in the other streams (Yongchon-cheon, Kangnung Namdae-cheon and Jusoo.cheon) in decreasing order. 3. By social strata, the positive rate was 8.0% (122 out of 1, 521) in general inhabitants and 3.9% (33 out of 836) in school children. 4. By the intensity of infection by means of EPG counts in feces; the light infection (less than 400/EPG) was 74.1%, moderate infection (401-1, 000/EPG) 17.3% and heavy infection (more than 1, 001/EPG) 8.6%. 5. Twelves out of 50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24%) caught from the streams in eastern coast of Kangwon-Do were infected with metacercariae of M. yokogawai, and the number of larvae detected were 70.7 per 6sh in average. The metacercarial infection rates in fish were also different by the streams; 100% in Ohsip-cheon of Samcheok-Gun, 14.3% in Sa-cheon, 16.7% in Yeongokcheon of Myeongju-Gun and 0% in Namdae-cheon of Yangyang-Gun, respectively. 6. Six hundred ninety live (695) out of 1, 396 inhabitants and school children (49.8%) were experienced in eating raw freshwater fishes (Plecoglossus altivezis, Triboledon hakonensis, Coreoperca sp., Morose sp., Carassius sp. & Cyprinus sp. and Zacco platypus). The data were assayed with the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the examinees. 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is known that the Ohsip-cheon area of Samcheok-Gun is highly infected region, and the other areas of Kangnung Namdae-cheon, Yeongok-cheon and Yangyang Namdae-cheon are very lowly infected or non-infected regions for M yokogawai infection.

  • PDF

Landsat 위성을 이용한 조위에 따른 영종도 갯벌의 면적 탐지에 관한 선행 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idal Flat Detection in Yeongjong-do according to Tide Level using Landsat Images)

  • 이슬기;김규연;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39-645
    • /
    • 2016
  • 국내에서 7번째로 큰 섬인 영종도는 인천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8 km 떨어져 있다. 영종도 주변에는 조수 차에 따라 드러나는 갯벌이 존재하며, 이곳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겨울철새의 중요한 도래지라는 점에서 환경적 가치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간척사업과 같은 인위적인 자연개발로 인해 갯벌 보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지질조사소 (USGS)가 제공하고 있는 Landsat 7 ETM+영상을 기반으로 영종도 갯벌 지역을 분석하였다. 갯벌의 경계선을 뚜렷이 나타내기 위하여 물과 육지의 경계가 분명하게 구분하는 RGB 7, 5, 3 밴드조합으로 위성영상 가합성 (False color composite)을 수행하고 지표피복분류를 통해 갯벌을 탐지하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갯벌 면적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였다. 또한 조위관측소가 자료를 제공하는 기간인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총 16년간 자료를 기반으로, 조위의 변화에 따라 영종도 동북부 갯벌 지역의 면적을 수치화하여, 각 조위구간에 따라 나타나는 면적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차후 영종도 갯벌의 보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에 앞서 동일한 조위 조건에서 면적의 범위에 대한 지표가 될 것이며, 인위적인 환경변화에 의한 영종도 지역의 갯벌 변화를 관측하는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파성 가리비 연승식 양식시성레 관한 연구(I) - 케이블-부이-중량물 계류시스템의 3차원 비선형 정적해석 - (A Study on Offshore Longline Type Aquaculture Facilites, Part 1 : 3-D Nonlinear Static Analyisis of Cable-Buoy-Weight Mooring System)

  • 신현경;김덕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99
    • /
    • 1996
  • Longline type aquaculture facilities are being used for scallpop culture in 30 m of water 2.5 km off the coast of Joomoonjin, Kangwon-do. In this paper, the facilities are modeled by the cabele-buoy-weight system, subject to the nonlinear behaviors of the mooring lines and the effects of current. Its static configuration is shown as a solution of 3-D nonlinear static equation and Runge-Kutta $4^{th}$ method is employed.

  • PDF

嶺東地方에 棲息하는 淡水魚의 地理的 分布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in East Side Area of Taebaik Mountain Chain)

  • 최기철;전상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1
    • /
    • 1968
  • (1) 1966年 5月 25日부터 1967年 8月 30日에 이르는 사이에 江原道高城郡懸內面松峴里에서 三陟郡近德面草堂窟에 이르는 嶺東地方에서 10箇 河川을 調査하여 40種의 淡水魚를 採集, 또는 確認하였다. 이 중, 32種은 이 地城에서는 未記錄種이다. (2) 이들 40種 중, 元山 以北에서 産出되지 않은 것이 14種이고, 漢江에서 棲息하지 않은 것이 17種이었고 蔚珍以南의 상도 慶尙道 東部에서 發見되지 않은 것이 11種 이다. (3) 嶺東地域에서 産出되지 않은 淡水魚로서 元山 以北에 棲息하는 것이 33種, 蔚珍 以南에서 發見되는 것이 16種, 漢江에서 採集되는 것이 60種이다. (4) 本區域은 淡水魚 分布上 Amur 亞區와 中國亞區의 中間型을 나타내고 있으며, 南北과 東西間의 差異는 各各 生態的 條件과 地域的 要因의 差異에 緣由하는 것으로 思料된다. (5) 本區域에서 産出되는 淡水魚 중, 分布上 特히 注目되는 것은 Ganthopogon strigatus, Cobitis rotundicaudata, Coreoperca kawamebari, Leucopsarion petersi 等이며, Gobiogobio, Pseudorasbora parva, Zacco paltypus, Zacco temmincki 等이 採集되지 못한 것은 意外이였다.

  • PDF

토핑 모델링을 활용한 동해안 관광의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Changes in East Coast Tourism using Topic Modeling)

  • 정은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89-495
    • /
    • 2020
  • 4차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초연결사회에선 다양한 IT기기를 통해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렇게 생산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빅카인즈에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중앙지, 경제지, 지역조합지, 주요방송사 등에서 "(동해안 관광 또는 동해안 여행) 그리고 강원도"라는 키워드로 기사를 총 1,526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1,526건의 기사를 분석하기 위해 R언어로 구현된 LD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각각의 년도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각 년도별로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를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Log Likelihood와 Perplexity를 이용하여 최적의 토픽 수를 8로 설정한 후, 깁스 샘플링 방법으로 8가지의 토픽을 추론하였다. 추론된 토픽들은 강릉과 해변, 고성과 금강산, KTX와 동해북부선, 주말바다여행, 속초와 통일전망대, 양양과 서핑, 체험관광, 교통망 인프라이다. 추론된 8개의 토픽의 비중을 이용해 동해안 관광에 대한 기사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일전망대와 금강산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KTX와 체험관광의 비중은 증가하였고, 그 외의 토픽들의 비중은 2017년에 비해 2018년에 감소하였다. 2019년에는 KTX와 체험관광의 비중은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토픽들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공간분석 기술을 이용한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고위험지역 분류 (A GIS-Based Spatial Analysis for Enhancing Classification of the Vulnerable Geographical Reg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Outbreak in Korea)

  • 박선일;정원화;이광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2
    • /
    • 2019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s among the top infectious disease priorities in Korea and the leading cause of economic loss in relevant poultry industry. An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epidemiology of HPAI outbreak is essential in assessing and managing the risk of the infection.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majority of outbreaks occurred clustered in what are preferred to as densely populated poultry regions, especially in southwest coast of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isk areas vulnerable to HPAI occurrence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GIS-based risk index model for defining potential high-risk areas of HPAI outbreaks and to explore spatial distribution in relative risk index for each 252 Si-Gun-Gu (administrative unit) in Korea. The risk index was derived incorporating seven GIS database associated with risk factors of HPAI in a standardized five-score scale. Scale 1 and 5 for each database represent the lowest and the highest risk of HPAI respectively. Our model showed that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Jeollanam-do and Chungcheongbuk-do regions will have the highest relative risk from HPAI. Areas with risk index value over 4.0 were Naju, Jeongeup, Anseong, Cheonan, Kochang, Iksan, Kyeongju and Kimje, indicating that Korea is at risk of HPAI introduc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HPAI becomes difficult once the virus are established in domestic poultry populations; therefore, early detec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wide monitoring system through targeted surveillance of high-risk spots are priorities for preventing the future outbreaks.

한반도 동해안과 제주도 연안에서 발견되는 아라고나이트질 연체동물 각질의 미량원소 및 탄소와 산소 동위원소 함량의 변화 (Trace (Minor) Element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Aragonitic Mollusk Shells in the Eastern Coast and Cheju Island, Korea)

  • 지옥미;우경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3호
    • /
    • pp.112-123
    • /
    • 1998
  • 이 연구는 동해안과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아라고나이트질 이매패 민들조개 (Gomphinia veneriforms melanaegis), 홍합(Mytilidae)과 복족류 비단고둥(Umbonium coastatum) 각질 내의 미량원소와 안정동위원소 함량의 위도에 따른(즉, 수온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민들조개 각질 내의 Mg 함량은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홍합과 비단고둥의 Mg 함량은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홍합의 경우 Sr 함량은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민들조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비단고둥의 Fe 함량은 해수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나 민들조개에서는 증가하며, 홍합의 경우에는 수온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없다. 조사한 모든 생물의 각질 내 Ba 함량은 해수온도 변화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다. Cd 함량은 홍합과 비단고둥은 해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함량변화는 없으나 민들조개는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Cu 함량의 경우, 민들조개에서는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홍합과 비단고둥에서는 수온변화에 따른 뚜렷한 변화가 없다. Pb 함량의 경우, 비단고둥에서만 수온변화에 따른 뚜렷한 변화가 없으며 나머지 생물들의 각질에서는 해수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홍합의 Zn 함량은 수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민들조개의 Zn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비단고둥은 수온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음 보이지 않는다. 각 생물의 각질 내 산소동위원소 값으로부터 추정한 해수온도는 실제의 동해안과 제주도의 해수온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사한 모든 생물의 각질에서 측정한 산소동위원소 값은 밀집되어 나타나며 수온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각 생물들이 해수와 산소동위원소적으로 비평형상태에서 각질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조사된 생물들은 고환경의 해수온도를 추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