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DANCE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7초

Korean Dancing and Cultural Boundary

  • Lee, Ji-Won;Kim, Lee-kyung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15-316
    • /
    • 2019
  •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ransculturality, this paper tries to look at the mixedness shown in modern dance works in Korea. By shedding light on the transculturality character that Welsch, emphasizes, we will interpret the artistic transition and the art phenomena that appear in Korean dance.

  • PDF

An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Career of Students in Life Dance Department

  • Baek, Hyun-Soon;Lee, Yae-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4호
    • /
    • pp.101-107
    • /
    • 2010
  • I aim to discover that how greatly the curriculum of Life Dance department has had an effect on the career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with research objects being Life Dance department of two universities, located on the metropolitan area. The study method, called qualitative, includes some suggestions on the curriculum of the two and comparison, analysis of job-related materials; further, it involves discussion on the influence the curriculum has had on the career as dance trainers. The results from it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mostly consists of pure art such as Korean dance, modern dance, ballet, but has few creative life dance programs. Second, the employment into the art area has been more often than to the counterpart. Finally, it shows that a title of a department does not make a big difference and affect the employment rate. In conclusion, as the completion of the curriculum does not always guarantee a success, it is recommended that college students get some competent certificates related to dance.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 Instructors' Education Support on Instructor' Trust and Dance Attachment)

  • 김정련;김명주;윤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45-154
    • /
    • 2012
  •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과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 중 한 지역에서 1개교씩 선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유의표본추출법으로 총 276부의 자료 중 26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무용애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지도자신뢰는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를 통해서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무용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를 통하면 무용애착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신뢰는 무용교육지원과 무용애착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 연구 -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omestic Dance Film's Development - Focusing on 'Seou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Project')

  • 이은주;정의숙
    • 트랜스-
    • /
    • 제4권
    • /
    • pp.37-63
    • /
    • 2018
  • 무용과 영상 테크놀러지의 결합으로 시작된 무용영화는 새로운 장르로 자리매김하며 발전되어오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950년대부터 실험적인 무용영화가 창작되었고 댄스필름협회가 조직되었으며 많은 무용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무용영화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과 창작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무용영화제' 개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창작적 실험은 국내의 무용영화 발전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용영화에 대한 개념과 발전과정, 해외 여러 무용영화제와 '서울무용영화제'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이들의 협업으로 인한 기대효과를 분석하며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댄스필름 프로젝트'는 댄스필름 제작의 교육과 실험의 장으로, '서울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 제작자 발굴, 작품 상영, 관객과의 대화, 국제교류, 유통 등의 플랫폼이 된다. 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의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인식하고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컨텐츠로서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이 두 단체의 상생과 발전은 국내 무용영화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다 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참가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Dance Participation and Accomplishment of Dance Socialization's Agent)

  • 김경식;현보람;김정련;윤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89-199
    • /
    • 2013
  • 이 연구는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3년 현재 4년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265명을 표집 하였다.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는 계수는 .779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등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친, 모친,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는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친, 모친,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는 무용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는 무용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댄스게임 체험에 따른 신체적·정서적 무용교육효과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al of Physical and Emotional on Experience Dance Game)

  • 이지설;안병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5-75
    • /
    • 2012
  • 본 연구는 Xbox-360게임 "댄스센트럴"을 통해 댄스게임의 신체적 정서적 무용교육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에 질적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선정하여 댄스게임 무경험자이자 N세대에 속하는 성인 8인을 동일집단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는 2011년 7월 18일부터 8월 15일까지 5주 동안 총 15회 댄스게임 체험을 통해 관찰자료, 반구조화 면담, 자기보고서, 참여영상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선행된 리듬의 익숙함', '반복된 동작의 표현성 향상', '신체활동이 활발한 댄스게임'), 정서적('단계변화에 따른 자신감 형성과 몰입 변화', '스트레스 해소', '중독성 없는 댄스게임')으로 도출되었다.

Androgyny of Sword Dance Costumes in the Joseon Dynasty

  • Park, Ga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23-31
    • /
    • 2014
  • Neo-Confucianism was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Korea. Male and female costumes reflected a clear distinction in male and female sex roles. This study analyzes cross-dressing in sword dance performances.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relics, paintings, pictures, and documents relevant to sword dance costumes as well as for the military. The results are: First, the composition of sword dance costume was jeogori (upper garment), skirt, and shoes with military costume of jeollip (hat), jeonbok (long vest), and jeondae (belt). Second, the sword dance costume and military costume a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basic inner wear, shoes, some details and methods of wearing. Third, the sword dance costume gradually adopted military items and features. The sword dance costume was basically female, with overall additions of a male costume, to express an androgynous image; however, the cross-dressing phenomena in the sword dance were not intended for the pursuit of sexual pleasure.

무용전공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을 통한 공연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이 무용몰입과 무용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ance Major Students'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through Physical Self-Perception on Dance Flow and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 김남영;임재현;이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413-1423
    • /
    • 2015
  • This research paper looks into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performance confidence, physical self-efficacy, dance flow and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dance major students as the central figure. It also looks into the needs of dance majors,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complishment in dan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on 313 dance major students. According to this research, firstly, in the difference from physical self-perce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pecialists that major in dance have perception about one's body when specialists have a longer dancing time and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ing experience and self-efficacy it could be seen that self-efficacy is postirely comelated with dancing experience. Also, in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more experience or time one encounters da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Secondly, when looking at the effect physical self-perception has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physical self-perception, sports competence, condition and fitness have notable amount of effect on performance confidence. Thirdly, when looking at the effect on physical self-perception and self-efficacy, sports competence and condition have a certain amount of influence on body competence. Also sports competence, condition and fitness have some influence on physical confidence. Fourth, when looking at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n dance flow, performance confidence, body competence and physical attraction have some effect on behavioral devotion. Lastry looking at the influence dance flow has on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only behavioral devotion has much influence on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therapeutic effect of relative satisfaction on pain treatment: focus on gobchuchum (a hunchback dance) of Ok-jin Gong

  • Ko, Kyung-Ja;Hwang, Sun Yeoun
    • 셀메드
    • /
    • 제7권2호
    • /
    • pp.7.1-7.3
    • /
    • 2017
  • Ok-jin Gong's hunchback dance is considered to be a strange dance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the effects of music and dance therapy as a pain treatmen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watching and listening to the hunchback dance of Ok-jin Gong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as a form of pain treatment. The creator of this style of dance suspected that dance in general can be an outlet for our inner emotions. Her dance in this case has received critical and complimentary reviews as well. However she has been cited as the main culprit behin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al dance forms in the Korean dance world. Nonetheless, her bewitching stage presence attracted much attention. She satirized the feelings of the under privileged' through music and dance. We tend to feel somehow relative poverty and small in the presence of a rich and successful man. On the other hand, the artist felt that it is the public who would be relatively comforted and satisfied in the presence of the weak and handicapped. A free spirit that makes us forget pain is the very essence of her dancing. Her dance and music sound as if she sublimated her sadness and ugliness, changing it to happiness and beauty. She puts herself in a low position and spreads a sense of freedom and relief to the world. Hence, the author felt that innumerable people have been comforted in these ways by her dance.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 현상에 관한 연구 - 이동안류 진쇠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adigm Phenomenon of Traditional Dance - Focusing on the Jinsoechum by Lee Dong An)

  • 봉정민;최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61-969
    • /
    • 2021
  • 한국춤의 역사적 흐름에서 한국 전통춤은 근대화 과정으로 인한 무대무용으로의 전환, 전통춤의 유형화 작업, 전통춤의 재구성 또는 재창작화라는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 전통춤 전승에 있어서 시대성을 반영한 재구성·재창작화 경향은 2000년대 이후 전통춤 공연 현장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전통춤 공연은 원형복원과 보존을 수행하는 공연과 시대성을 반영한 전통춤 진화 현상이라는 두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춤이 전승되는 형태의 변화와 전통춤이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며, 그중 이동안류 진쇠춤의 전승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의 변화는 원형이 가지고 있는 의의나 형태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대적 흐름을 통해 무대화 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적인 관점을 수용하고 전통춤의 현대화를 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양한 구성방식의 활발한 변화가 수행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전통춤의 전승 패러다임은 미래 지향적인 전통춤의 전승 방안으로서 새로운 면모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방향성을 유도 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