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F-16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시험 모달 데이터를 이용한 F-16 항공기의 플러터 해석 (Flutter Analysis of F-16 Aircraft Using Test Modal Data)

  • 변관화;전승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6-82
    • /
    • 2006
  • 새로이 개발된 ALQ-X ECM 포드를 장착한 KF-16D 항공기의 플러터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필요한 기체 고유진동모드 데이터를 지상진동시험 결과로써 직접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 자료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랜딩기어로 지지된 KF-16D 항공기에 대한 지상진동시험 결과를 비행 상태의 모달 데이터로 변환하였다. KF-16D 항공기에 ALQ-X를 장착한 형상과 기존의 ALQ-119 장착 형상에 대한 플러터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새로이 개발된 ECM 포드를 기존의 ECM 포드와 동일한 비행영역에서 사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KF-16D 지상진동시험 (Ground Vibration Test of KF- 16D)

  • 변관화;박찬익;김종헌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KF-16D 항공기의 동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수행한 지상진동시험의 시험 방법, 센서 및 장비 설치, 시험 결과 검증 방법 및 시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지상진동시험은 외부 장착물 장착 형상에 따라 7가지 형상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여 외부장착물 부착 형상에 따른 항공기의 동특성 변화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고 비행 중 항공기 진동 모드의 정량적인 변화량을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항공기 지지는 항공기 비행 상태의 조건을 구현하기 위하여 착륙장치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소로 하였다. 시험은 6개~8개의 가진기를 사용하여 다점 랜덤 가진법으로 항공기를 가진하고 약 200개의 가속도계로부터 항공기의 응답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관심 있는 낮은 주파수영역에서 선형성을 보여 양질의 주파수 응답함수를 얻었으며, 상반성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측정된 가진력과 응답신호로부터 주파수 응답 함수를 구하였으며, 고유 진동수와 감쇠 계수는 주파수 응답함수로부터 다기준 최소 자승 복소 지수법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고유진동모드는 최소 자승 주파수 영역법으로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ELINT 포드를 장착한 전투기의 전자기 환경 영향(E3) 시험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magnetic Environmental Effects(E3) Test and Evaluation of Fighter Equipped with ELINT Pod)

  • 김인선;박영주;최대규;김장표;이병남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8-297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verification test on Electromagnetic Environmental Effects(E3), which conducted on ground as a final step to confirm the normal operation of ELINT pod and Safety-of-Flight of KF-16C/D mounted with ELINT pod prior to the initial flight. Based on MIL-STD-464A, indispensable 7 requirements among 14 detailed requirements total were carried out in the test. Considering the Safety-of-Flight(SOF), we invest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on Hazard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Ordnance(HERO) and Intra-system EMC test. E3 test and evaluation were performed on 62 equipments of KF-16C/D, respectively. As a result, we verify that KF-16C/D mounted with ELINT pod(hereafter "system") are electromagnetically compatible among all subsystems and equipment within the system and with environments caused by electromagnetic effects external to the system.

우량 품종의 선발을 위한 사초용 수수의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of Sorghum for High-Yielding Hybrid)

  • 김종덕;권찬호;김수곤;박형수;고한종;김동암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25-632
    • /
    • 2002
  • 제한된 종자 공급 때문에 축산농가에서 사초용 정부장려 수수 품종을 선택하고, 재배 이용하는데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성이 높은 사초용 수수 품종을 선발하고, 선발된 품종들을 정부장려 품종으로 추천하는데 있다. 2년간 (1999${\sim}$2000) 2개 지역 (수원 및 성환)에서 ‘P947', 'KF429' 및 'SS405' 3품종의 생육특성과 사초수량을 비교하였다. 'KF429'는 병해에 약하였고 'SS405'는 도복에 강한 품종이었다. ‘P947' 품종의 건물수량은 17,823kg/ha이었으며, 'KF429' 품종과 'SS405'품종은 ‘P947' 품종보다 각각 16% (20,631kg/ha)와 75% (31,157kg/ha)의 수량 증가를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947' 품종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높았으며, ADF 및 NDF 함량은 ’KF429' 품종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내도복성 및 내병성이 좋고 사초건물수량이 높은 ’KF429' 품종과 'SS405' 품종을 정부 장려품종 으로 추천하고자 한다.

Effect of Mask Wearing and Typ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curacy, Fatigue and Physiological Changes

  • Sung-Hwan Bang;Hyo-Suk Song;Gyu-Sik Shim;Hee-Jeong Ah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113-120
    • /
    • 2023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착용하는 마스크의 유형에 따라 심장압박의 정확도, 피로도 및 생리학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는 2022년 5월 9일부터 12일까지 D대학교 응급구조과 재학생 중 BLS provider를 소지하고 있는 학생 총 24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수술 마스크(Dental mask), 미세입자 94%차단마스크(KF94 mask)를 각각 12명씩 착용하고 총 7회에 걸쳐 2분간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스크 유형에 따른 구조자의 가슴압박의 질 분석에는 KF94를 착용한 그룹에서 압박속도(F=24.91, p<.001),와 손의 위치불량(F=14.54,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피로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Dental mask그룹(F=51.16, p<.001)과 KF94그룹(F=63.49, p<.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리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심박동수를 살펴보면, Dental mask그룹(F=34.79, p<.001)과 KF94그룹(F=35.55, p<.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호흡수 측정결과에서도 Dental mask그룹(F=25.02, p=.001)과 KF94그룹(F=23.03, p=.002)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현장활동의 가장 중요한 심폐소생술시에는 효율적인 가슴압박의 정확도와 구조자의 피로도 및 생리학적 변화의 감소를 위해서는 구조자의 유형에 따른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LQ-X ECM 포드 비행 적합성 인증 (Flight Compatibility Certification of ALQ-X ECM Pod)

  • 전승문;임재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1-99
    • /
    • 2005
  • ALQ-X ECM 포드를 KF-16D와 RF-4C 항공기에 장착하기 위한 비행적합성 인증을 수행하였다. MIL-HDBK-1763에 부합하는 외부장착 스토어 인증 절차를 계획한 후 유사성 분석, 기존 스토어 질량 및 관성모멘트 분석, 구조해석 및 시험, 지상진동시험 및 플러터해석을 수행하여 비행시험 수행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ALQ-X 장착 형상을 대표하는 비행 형상으로 MIL-HDBK-1763 Test 250 비행시험을 하였다. ALQ-X 장착 전, 후의 비행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조종성을 평가 하고 구조건전성과 내구성은 계측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ALQ-X가 KF-16D 및 RF-4C와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서 ALQ-X를 기존에 인증된 ALQ-88 및 ALQ-119와 동일하게 운용할 수 있음을 인증하였다. ALQ-X 비행인증 결과로서 도입 전투기에 대한 TYPE III 비행적합성 인증, 시험데이터를 사용한 플러터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 MIL-STD-1553B 데이터버스를 사용한 비행시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기법과 같은 기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본 비행인증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수행할 Type III 형식의 외부장착 스토어 비행인증의 모델케이스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Flaked Corn Starch Abomasally Infused on Nitrogen Retention and the Efficiency of Energy Conversion in Fattening Steers

  • Li, F.C.;Feng, Y.L.;Wang, Z.H.;Lin,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470-473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ying levels of flaked com abomasally infused on energy metabolism and nitrogen metabolism in fattening steers. The starch levels of flaked corn of abomasally infused were 0, 300, 600 and 900 g/d. Four mature fattening steers fitted with permanent abomasum cannulas were allocated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ere fed at 1.2 maintenance requirement a basal diet of Chinese wildrye (Aneurolepidium Chinense). Compared with 0 g/d (control group), digestible nitrogen, retention nitrogen (RN, g/d) and the efficiency of digestible nitrogen converted into retention nitrogen (RN/DN, %) of 300, 600 and 900 g/d groups were higher (p<0.05). The post-ruminal starch digestion of flaked corn were 71.36, 80.27 and 64.71 % when the amounts abomasally infused were 300, 600 and 900 g/d, respectively. When the amount of starch abomasally infused was more than 600 g/d, the post-ruminal digestion of starch decreased. 300, 600 and 900 g/d starch infusion groups showed higher metabolizable energy intake (ME) and net energy gains (NEg, MJ/d)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iciencies of metabolizable energy converted into body weight (Kf, %) of these group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y 38.31, 73.18 and 67.06% (p<0.05). Kf (Y, %) had a positive curved relation to starch of flaked com abomasally infused (X, g/d), $Y=36.1605X^{0.0760}$ (n=16, r=0.9308).

전통 김치로부터 Probiotic 유산균의 분리 및 우유 발효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Probiotic Activities from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Properties in Milk)

  • 임영순;김지연;강현철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15-128
    • /
    • 2019
  • 본 연구는 전통 김치로부터 유단백질 분해능과 lactose 분해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선발하고,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유용 스타터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BCP agar에서 젖산생성력이 우수한 32 colony를 선발한 후 내산성 및 내담즙성 모두에서 90% 이상으로 내성이 우수한 2 colony(KC23, KF26)를 2차로 선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API 50CHL 탄수화물 이용성 테스트 및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L. plantarum KC23과 L. paracasei KF26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lactose와 raffinose를 포함하여 당분해능을 가진 L. plantarum KC23을 최종 선발하고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조사하였다. 우유단백질 분해능을 10% 환원탈지유 배양 중의 유리 tyrosine 함량으로 측정한 결과, 배양 8시간 후에는 $24.1{\mu}g/mL$에서 배양 16시간 후에는 $43.9{\mu}g/mL$로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며, 또한 clear zone형성 크기를 비교한 결과 12 mm로 상업균주인 L. acidophilus CSLA의 9 mm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온도별 생장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45^{\circ}C$에서 보다 $35^{\circ}C$에서 잘 증식하는 중온균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37^{\circ}C$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배양 6-10시간 사이에 대수증식기를 보였으며, 배양 12시간 후 생균수는 $8.9{\times}10^8CFU/mL$와 pH 4.25 수준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5개 병원성균에 대하여 8-13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저해특성을 보였으며, 그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장내부착능을 측정한 결과는 비교균주인 LGG에 비하여 2.23배의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10% 환원탈지유를 이용한 $37^{\circ}C$ 배양에서 젖산생성능을 확인한 결과는 대조군인 L. acidophilus CSLA에 비하여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적정산도가 0.74% 수준으로서 저산성 발효유 제조를 위한 스타터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목 난로와 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과 블랙카본의 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and Black Carbon from Wood Stove and Boiler)

  • 박성규;최상진;김대근;김동영;장영기;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4
    • /
    • 2015
  • Manually fed firewood burning appliances, i.e., stove and boiler, were tested in order to determine emission factors (EFs) of macro-pollutants, i.e., carbon monoxide,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mmonia, particulate matters (total suspended particulate, $PM_{10}$, $PM_{2.5}$, black carbon) and trace pollutants (i.e., ten differ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composite pollutants EFs for the wood stove were: for TSP 15.45 g/kg, for $PM_{10}$ 6.53 g/kg, $PM_{2.5}$ 4.16 g/kg, CO 175.49 g/kg, NO 1.58 g/kg, $SO_2$ 0.15 g/kg, TVOC 48.02 g/kg, $NH_3$ 0.02 g/kg and emissions were similar to the wood boiler appliance: for TSP 12.23 g/kg, for $PM_{10}$ 5.84 g/kg, $PM_{2.5}$ 3.66 g/kg, CO 146.74 g/kg, NO 1.42 g/kg, $SO_2$ 0.15 g/kg, TVOC 47.78 g/kg, $NH_3$ 0.01 g/kg.

착즙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Diets Including Liquid By-produ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Growing Pigs)

  • 이제현;정현정;김동운;이성대;김상호;김인철;김인호;오상집;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92
    • /
    • 2010
  • 본 시험은 착즙부산물 발효사료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분뇨 배설량 그리고 질소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삼원교잡종 24두(개시체중 46.79 kg)를 공시하여 10일간의 적응기를 거쳐 7 일간 대사 케이지 ($0.5{\times}1.3m$)에서 소화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1) 기초사료 (CON), 2) 발효사료(기초사료를 발효한 사료, F), 3) 케일박 발효사료 (KF), 4) 신선초박 발효사료 (AF), 5) 당근박 발효사료 (CF) 빛 6) 포도박 발효사료(GF)로 하여 총 6개 처리이었으며 처리당 4반복으로 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 F, CF 처려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조단백질소화율은 F 처리구가 A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조섬유 소화율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조지방 소화율에서는 AF 및 CF 처리구가 KF를 제외한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조회분 소화율은 C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반면 칼숨과 인 소화율에서는 CF 및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대조구, F 및 CF 처리구가 KF, A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필수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C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비필수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C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총 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및 CF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p<0.05), GF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분으로 배설된 질소 비율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고(p<0.05), F 처리구가 낮았다 (p<0.05). 뇨로 배설된 질소 비율에서는 대조구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질소 축적비율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p<0.05), KF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결론적으로 일반배합사료보다 착즙부산물 발효사료의 소화율이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사료에 혼합된 착즙부산물 수준 30%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어 추후 섬유소 수준을 낮추어 시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포도박 발효사료 처리구에서 분 배설량이 많은 이유는 포도박 발효사료의 섬유소 함량이 대조구 및 발효사료 보다 높고 다른 착즙부산물에 비하여 소화되지 않는 포도씨가 다량 배설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