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 pictu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44초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from the Three Crude Drugs, Kalopanax pictus, Pueraria thunbergiana and Rhus verniciflua on NO and TNF-a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 264.7 Cells

  • Kim, In-Tae;Lee, Kyung-Tae;Choi, Jong-Won;Park, Hee-Juh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55.2-155.2
    • /
    • 2003
  • We previously reported the antimutagenicity, anti-lipid peroxidation and antiinflammtory properties of the three Chinese herb medicine, Kalopanax pictus, Pueraria thunbergiana and Rhus verniciflua, which have been used as therapeutics for diabetes mellitus and inflammation in Korea. Since these drugs have been used for the prescriptions consisted of several crude drug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xtract of the three drugs could increase the individual drugs or not. The three extracts were independently prepared from K. pictus, P. thunbergiana, and R. verniciflua, which extracts were named the K-1, P-1 and R-1 in this order and the extract (KPR-1) was also prepared from the combined plant materials with each same weight of the three drugs. (omitted)

  • PDF

음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과 비타민 C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and Ascorbic Acid on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 손미예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34-1640
    • /
    • 2007
  • 음나무 (Kalopanax pictus, 이하 KP)의 추출물과 ascorbic acid(AA)의 DPPH와 ABTS 라디칼, FRAP 및 NO 소거능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AA 첨가에 의해서 그 활성이 향상되었다. 인간 간암세포주에 대한 KP추출물+AA의 항암능은 MTT법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KP 추출물+AA는 세포주기의 G0/G1-phase 또는 G2/M-phase에 영향을 미쳤으며,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KP추출물+AA는 대식세포주를 이용한 NO생성과 억제의 면역활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P추출물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는 KP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할 때보다, KP 추출물과 AA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육계 사료 내 엄나무 잎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Leaf Powder on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량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 특성 및 혈액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였고(T3),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도체중, 도체율, 간의 무게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복강지방은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이러한 경향은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부터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1%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bark extract (IV). Antirheumatic activity of kalopanaxsaponin A methyl ester

  • Li, Da-Wei;Hyun, Jin-Ee;Jeong, Choon-Sik;Kim, Yeong-Shik;Lee, Eun-B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65.1-265.1
    • /
    • 2002
  • In the previous study. we isolated kalopanaxsaponin A and pictoside A from the EtOAc fraction of Kalopanax pictus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the BuOH fraction of K pictus extract was hydrolyzed by alkali and antirheumatic effect of the fraction was evaluated. It was found that the hydrolysate of the BuOH fraction showed inhibition of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Of the EtOAc and BuOH fractions of the hydrolysate, only the former exhibited anti-arthritic activity. (omitted)

  • PDF

개두릅에서 칼로파낙스사포닌의 월별 함량 변화의 추이 (Monthly Variation of the Kalopanaxsaponin Content in the Leaves of Kalopanax pictus)

  • 남정환;정현주;최종원;박광균;김원배;이명선;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4-189
    • /
    • 2006
  • To find the monthly variation of kalopanaxsaponin contents in the leaves of Kalopanax pictus with thorns (KPT) and with no thorns (KPN), the leaves monthly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were extracted with MeOH and then the kalopanaksaponin fractions were prepared. KPT collected on May showed the lowest saponin content of the KPTs whereas KPT on August exhibit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From September, the saponin content in the loaves decreas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was shown to be 7.3% in KPN collected on August. Evaluation of six kalopanaxsaponins A, I, J, B, H and K (KPA, KPI, KPJ, KPB, KPH, and KPK) were performed using TLC densitometer. In this measurement, considerably higher KPB and KPH, both hederagenin bisdesmosides, were found whereas very low contents In monodesrnosides KPI and KPJ were observed.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leaves of KPN of August could be a biomaterial source for the kalopanaxsaponin fraction. It was also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kalopanaxsaponin fraction and the content of KPB as the representative compound for kalopanaxsaponins will be used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kalopanaxsaponins of K. pictus.

엄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줄기 추출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메탄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Trunk Extracts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Reduction In vitro)

  • 김재성;황문석;김용채;윤영만;배귀석;김창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3-122
    • /
    • 201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Kalopanax pictus Nakai (Kalopanax)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CH4) reduction. Kalopanax trunk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70% methanol. Rumen fluid, alfalfa hay and buffer (control: C) supplemented with 0.3% Kalopanx juice (T1), 0.3% ethanol extract (T2) and 0.3% methanol extract (T3) in the total volume of culture medium were incubated at $38^{\circ}C$ for 24h and 48h. Rumen pH was lower in all Kalopanax treatments during all incubations than that in control (p<0.05). Total VFA and total gas production in T2 and T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 at 48h incubation (p<0.05). Ammonia-N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C during the incubation periods (p<0.05). At 24h incubation, $CH_4$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both alcohol extracts.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ing Kalopanax extracts can stimulate ruminal fermentation of rumen microorganisms and inhibit methanogenesis.

음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활성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 김세현;박영기;장용석;한진규;정헌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26-134
    • /
    • 2007
  • 음나무의 새로운 용도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항산화 측정법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음나무 수피 및 근피의 온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 내 활성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DPPH법 및 NBT법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화학적인 측면에서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NR assay와 MTT assay에 의해 측정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음나무 근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강했으며, 5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NR50과 MTT50은 각각 0.0018%와 0.0029%였다.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는 근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15분 처리에서 57.9%로 가장 우수하였다. DPPH법과 NBT법을 이용한 음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각각 수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96% (0.1% 농도)이고, 수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95% (0.5% 농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음나무의 Kalosaponins 함량과 이에 영향하는 몇 가지 생장요인 (Growth Factors Affecting to Kalosaponins Contents of Kalopanax pictus Nakai)

  • 이철호;조동광;이갑연;권기원;최명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209-215
    • /
    • 2002
  • 국내에 분포하는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자생군락에서 7집단 197본을 선정하여 생리활성물질인 kalosaponins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kalosaponins 고함유 개체를 대상으로 이들 개체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여 단순상관, 편상관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kalosaponins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요인을 추정하였다. 자생집단별 내피의 총kalosaponins 함량은 발왕산집단 (30.37 mg/g dry weight)으로 가장 높았고, 가리왕산 집단, 한라산 II집단, 전남 망운집단, 경기 팔탄집단, 한라산 I집단 순이었다. Kalosaponins 함량과 생장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kalosaponin P 함량에 가장 높게 영향하는 인자는 내피두께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O 함량은 내피무게와 수령으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B 함량은 내피중량과 평균흉고직경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내피의 특성이 kalosaponins 생산에 밀접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