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 pictu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초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panax pictus (Araliaceae) and its Thornless Variant Using RAPD

  • Huh, Man-Kyu;Jung, Sang-Duk;Moon, Heung-Kyu;Kim, Sea-Hyun;Sung, Jung-Soo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9-74
    • /
    • 2005
  • Kalopanax pictus is a long-lived woody species mostly distributed in East Asia. K. pictus has been regarded as medically and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Thornless castor aralia variant, local name 'Cheongsong' is an endemic to Cheongsong province in Kore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tion and structure of Korean populations of two species. A high level of genetic variation was found in six K. pictus populations. Twelve primers revealed 49 loci, of which 29 were polymorphic (59.2%). Nei's gene diversity for K.pictus and K. pictus variant were 0.119 and 0.098, respectively. Mean of genetic diversity in K. pictus was higher than average values for species with similar life history traits. The asexual and sexual reproduction, perennial habitat, and longevity are proposed a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genetic diversity. An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0.857) indicated that gene flow was not extensive among Korean populations of K.pictus. It is suggested that the isolation of geographical distance and reproductive isolation between K.pictus and K.pictus variant populations may have played roles in shaping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is species.

ISSR을 이용한 음나무속 분류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관련성 비교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Genus Kalopanax Using ISSR Mark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0-745
    • /
    • 2006
  • ISSR 마크로 한국내 자생하는 음나무속 4분류군(음나무, 가시없는 음나무, 털음나무, 가는잎음나무)에 대해 유전적 다양성과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64개의 재현성 높은 ISSR 밴드가 생성되었다. 음나무속의 각 개체별 분석에서 41개 밴드(64.1%)가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네 분류군을 통합하였을 때 그룹내 다양도는 0.115였고 그룹간 다양도는 0.467이였다. 종내 유전자 흐름(Nm)의 측정결과 음나무의 Nm값은 털음나무, 가는잎음나무에 비해 낮았다. 이는 지리적 거리에 따른 생식적 격리가 이 종의 집단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계통도 분석에서 ISSR 마크로 속수준의 네 분류군뿐만 아니라 집단까지도 잘 분리되어 본 연구에 사용한 마크가 분류에 효과적임이 규명되었다.

Genetic diversity of Kalopanax pictus populations in Korea based on the nrDNA ITS sequence

  • Sun, Yan-Lin;Lee, Hak-Bong;Kim, Nam-Young;Park, Wan-Geun;Hong, Soon-Kwa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75-80
    • /
    • 2012
  • $Kalopanax$ $pictus$ is a long-lived deciduous perennial tree in the family Araliaceae mainly distributed in the East Asia. In Korea, this species is of ecological and medical importance. Because typical populations of this species are small and distributed in patches, $K.$ $pictus$ has been considered as a narrow habitat species. To understan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is species, the sequence variation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n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was analyzed among 18 different $K.$ $pictus$ populations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nrDNA ITS sequences of Korean populat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wed identical of 616 bp in length, and no any nucleotide variation was found in the entire nrDNA ITS region sequenc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K.$ $pictus$ populations in Korea might belong to the same isolate, and no mutation was found in the nrDNA ITS region. Compared with other known ITS sequence sources from $K.$ $pictus$ populations, only four variable nucleotide sites were found within the entire ITS region. Very narrow genetic diversity appearing in the population level of $K.$ $pictus$ makes us hypothesize that their relatively isolated habitats. The long-lived traits might be one main reason. However, another probability was that the nr-DNA ITS region might be noneffective in classifying populations of $K.$ $pictus$. Thus, to further underst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K.$ $pictus$ populations, more samplings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more DNA sequences.

참두릅과 개두릅을 첨가한 국수의 제조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Shoots and Leave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 김은주;이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71-575
    • /
    • 2012
  • 참두릅과 개두릅가루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개두릅가루가 참두릅가루보다 많았으며, 회분과 식이섬유 함량은 참두릅가루보다 적었다. 참두릅과 개두릅가루는 높은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냈다. 두릅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한 색도는 L값은 낮았으며,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cutting force는 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두릅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이 개두릅가루를 첨가한 조리면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수의 기능성을 높이고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참두릅가루와 개두릅가루를 3, 5, 7% 첨가한 조리면의 관능검사를 실험한 결과 5% 첨가한 국수가 가장 높은 관능적 평가를 받았다.

사료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한 닭다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량(0, 0.5,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엄나무 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TU/TS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Activation of the Chemosensory Ion Channels TRPA1 and TRPV1 by Hydroalcohol Extract of Kalopanax pictus Leaves

  • Son, Hee Jin;Kim, Yiseul;Misaka, Takumi;Noh, Bong Soo;Rhyu, Mee-R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6호
    • /
    • pp.550-555
    • /
    • 2012
  • TRPA1 and TRPV1 are members of the TRP superfamily of structurally related,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TRPA1 and TRPV1 are often co-expressed in sensory neuron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omatosense such as cold, pain, and irritants. The first leaves of Kalopanax pictus Nakai (Araliaceae) have long been used as a culinary ingredient in Korea because of their unique chemesthetic flavor.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intracellular $Ca^{2+}$ response to cultured cells expressing human TRPA1 (hTRPA1) and human TRPV1 (hTRPV1) by $Ca^{2+}$ imaging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he first leaves of K. pictus to activate the hTRPA1 and hTRPV1. An 80% ethanol extract of K. pictus (KPEx) increased intracellular $Ca^{2+}$ influx in a response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via either hTRPA1 or hTRPV1. KPEx-induced response to hTRPA1 was markedly attenuated by ruthenium red, a general blocker of TRP channels, and HC-030031, a specific antagonist of TRPA1. In addition, the intracellular $Ca^{2+}$ influx attained with KPEx to hTRPV1 was mostly blocked by ruthenium red, and capsazepine, a specific antagonist of TRPV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PEx selectively activates both hTRPA1 and hTRPV1, which may provide evidence that the first leaves of K. pictus primarily activate TRPA1 and TRPV1 to induce their unique chemesthetic sense.

음나무(Kalopanax pictus N) 순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Food Nutritional Composi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 Sprouts)

  • 최혜진;김도희;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20-726
    • /
    • 2012
  • 음나무 순의 성분 분석을 통하여 식품학적 가치의 확인과 가공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음나무 순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성분, 무기질, 구성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음나무 순의 기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67.4 ppm으로 Ginsenoside Rg1을 비롯하여 총 5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87.78 mg/100 g, 항산화 활성은 82.60%로 나타났다. 음나무 순에는 필수 아미노산 7종을 포함한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이 33,744 mg/100 g으로 그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고 aspartic acid>leucine>lysine 순 이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감칠맛과 단맛을 내는 성분의 총함량보다 쓴맛을 내는 성분의 총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음나무 순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 증진을 위하여 쓴맛을 개선한 기호성 높은 가공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엄나무와 참죽 햇순의 blanching 조건 및 해동방법에 따른 관능품질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 김민하;박서연;정용진;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1-208
    • /
    • 2012
  • 본 연구는 엄나무와 참죽 햇순의 blanching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blanching 온도와 식염의 농도에 따른 품질 변화와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해동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엄나무와 참죽 햇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엄나무와 참죽 햇순은 식염 첨가량(무첨가, 1%, 2%)과 blanching 시간(3분, 6분)을 달리하여 blanching하였으며, 해동은 저온($4^{\circ}C$), 상온($25^{\circ}C$), microwave를 이용하였다. Blanching 조건에 따른 색도, chlorophyll 함량, texture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엄나무와 참죽 햇순은 $95^{\circ}C$, 식염 첨가 없이 3분간 blanching한 경우 품질 변화와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동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 엄나무 햇순의 경우 상온 및 microwave 해동 시, 참죽 햇순의 경우 색도는 저온에서, texture는 상온해동에서 품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해동방법에 따른 엄나무와 참죽 햇순의 기호도는 모두 microwave로 해동 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한국산 씬벵이과 어류 1미기록종 Antennarius pictus (First Record of the Frogfishes Antennarius pictus (Antennariidae, Lophi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8-171
    • /
    • 2011
  • 씬벵이과 (Antennariidae)에 속하는 Antennarius picus 2개체가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뒷지느러미 연조가 7개, 가슴지느러미 연조 10개, 등지느러미 연조 127개, 꼬리지느러미 연조 9개를 가지며, 제2등지느러미 가시의 말단은 기부보다 좁고 뒷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어류의 머리, 몸통, 지느러미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검은 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종의 신한국명을 "흑점박씬벵이"로 명명하였다.

엄나무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민감성과 인슐린 유사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 (Insulin Sensitizing and Insulin-lik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NAKAI in 3T3-L1 Adipocyte)

  • 김호경;박선민;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42-46
    • /
    • 2002
  • 국내의 한약재 시장 등에서 당뇨병의 민간요법 약재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수피의 열수 추출물에서 인슐린성 물질과 인슐린 민감성 약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3T3-L1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3T3-L1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할 때 미치는 영향과 지방 세포내로의 포도당 섭취(glucose uptak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엄나무의 수피를 열수 추출하고 동결건조하여 만든 분말 엑스시료를 증류수에 녹여 각각 $10{\mu}g/ml$$l{\mu}g/ml로$ 3T3-L1 섬유아세포를 처리한 후, 분화유도 물질만을 첨가한 대조군의 분화 정도를 100%로 정하였을 때 이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 $1{\mu}g/ml$$1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115.4{\pm}5.1%(p<0.05)$$122.3{\pm}2.1%(p<0.05)$로 유의성있게 분화를 촉진시켰다. 분화유도물질을 첨가하였을 때, $1{\mu}g/ml$에서는 $127.0{\pm}5.3%(p<0.001)$ 분화를 촉진시켰고, $10{\mu}g/ml$에서는 분화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3T3-L1 지방 세포내로의 포도당 섭취량은 소량의 인슐린(3ng/ml)과 함께 $0{\sim}10%$ 메탄올 분획층(Fr. 1)과 30% 메탄올 분획층(Fr. 3)을 0.3와 $3{\mu}g/ml$ 첨가하였을 때 분획층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두 $3.3{\pm}0.5$배 증가시켜 인슐린 50ng/ml에서 반응하였을 때와 유사한 섭취 정도를 나타내었다. 엄나무의 수피는 인슐린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추출물을 분획한 Fr. 1과 Fr. 3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인슐린 민감성 제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