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TGI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PTGI-X)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 김시형;임수정;신지영;이덕희;이동훈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195-220
    • /
    • 2020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는 외상 후 성장 척도의 확장판(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X: PTGI-X)을 국내에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PTGI-X 척도는 기존 PTGI의 '영적·종교적 관심의 증가 요인'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에 따라 실존적 깊이 증가를 측정하는 문항이 추가된 척도이다. 이를 위해 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 625명을 대상으로 K-PTGI-X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외상을 경험한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적절한 PTGI-X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고, 4요인 구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모형에 문항 간 상관을 추가한 모형이 모형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개념 신뢰도를 검토하여 문항들이 요인을 구성하는 데에 문제가 없으며 신뢰로운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핵심신념붕괴, 의도적 반추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동시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침습적 반추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확인하여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K-PTGI-X의 이해를 더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atity of a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mong Cancer Caregivers)

  • 이영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123-143
    • /
    • 2009
  •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큰 생활의 변화와 부담을 겪으며, 그 안에서 긍정적 경험과 성장을 보고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K-PTGI) 척도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를 구하였으며, 수렴판별, 기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긍정적 적응, 일상생활 방해, 돌봄부담감, 경제적 부담, 사회적지지, 종교여부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PTGI는 암 환자 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공무원의 탄력성과 외상후성장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Korean Firefighters)

  • 원성두;정영은;채정호;박주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3
    • /
    • 2016
  • Objective : One of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in firefighters who have a high risk of develop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 also explored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Methods : A total of 677 firefighters were assessed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job-related traumatic experiences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10-item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10). Results : The intensity of traumatic experience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CD-RISC-10 score, but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TGI and the IES-R scores. The CD-RISC-10 sco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TGI score,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IES-R score. Path analyses revealed that resilience and PTG independe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umatic experiences contribute to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resilience and PTG.

  • PDF

Viewpoints of Family Caregivers about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 Tahory, Hale;Mohammadian, Robab;Rahmani, Azad;Seyedrasooli, Alehe;Lackdezajy, Sima;Heidarzadeh, Me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755-758
    • /
    • 2016
  • Background: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ivity of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d by cancer patients. So,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points of family caregivers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one referral medical center in East Azerbaijan Province in northwest of Iran. 120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Perception about Prognosis Scale (PPS) were applied for data collection with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Family caregivers believed that their patients had a good prognosis (score 3.95 from 5). The total score of PTGI was 60.7 (SD=18.8) that indicates a moderate level of growth as reported by family caregivers. Conclusions: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have incorrect viewpoints about the prognosis of their patients and reported moderate levels of growth. These findings showed that posttraumatic growth among cancer patients is an objective phenomenon.

Efficacy of a Training Program for Long-Term Disease-Free Cancer Survivors as Health Partn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Korea

  • Yun, Young Ho;Lee, Myung Kyung;Bae, Yeonmin;Shon, Eun-Jung;Shin, Bo-Ram;Ko, Hyonsook;Lee, Eun Sook;Noh, Dong-Young;Lim, Jae-Young;Kim, Sung;Kim, Si-Young;Cho, Chi-Heum;Jung, Kyung Hae;Chun, Mison;Lee, Soon Nam;Park, Kyong Hwa;Chang, Yoon Ju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29-7235
    • /
    • 2013
  • Background: To determine whether the Health Partner Program is effective in training long-term cancer survivors to be health coaches. Materials and Methods: We randomly assigned cancer survivors who were selected through a rigorous screening process to either the Health Partner Program or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8 weeks of training in health management, leadership, and coaching. At baseline, 8, and 16 weeks, we measured primary outcomes using the Seven Habit Profile (SHP), the Korean Leadership Coaching Competency Inventory (KCCI), Ed Diner'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secondary outcomes using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and the Medical Outcomes Study (MOS) short form 36-item questionnaire (SF-36). Results: We recruited 70 subjects and randomly assigned 34 to the intervention group. The Sharpen the Saw habit of the SHP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49), as did most PTGI factors. The intervention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enhancement of vitality (p=0.015) and mental health (p=0.049) SF-36 scores but no improvement in KCCI, SWLS, HADS, or IES-R scores. The intervention group also showed a greater clin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Think Win-Win" of SHP (p=0.043) and in the personal strength score (p=0.025) and total score (p=0.015) of the PTGI. Conclusions: Long-term cancer survivors can benefit from the Health Partner Program to become health coaches.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최순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수준과 이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돌봄관련 특성들을 심층 분석하여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간호중재 모색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두 개의 종합병원과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201명의 암환자의 가족돌봄자이다. 외상 후 성장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점수 평균은 3.10점이었다. 하위 요인별로는 자기 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 종교적 관심의 증가 순이었다.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차이는 나이, 종교, 종교생활의 중요성, 돌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암환자에 대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환자뿐 아니라 가족돌봄자들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암환자 가족돌봄자가 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서 궁극적인 성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영적 종교적 신념을 유지할 수 있는 영적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최성희;이영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99-509
    • /
    • 2016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인천광역시 내 대학병원 외래를 내원하여 유방암 진단을 받고 치료과정 중에 있는 유방암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사회적지지(mMOS-SS), 유방암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SESSM-B)와 대처행동(CCQ)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정,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외상 후 성장 정도는 5점만점에 평균 3.4(${\pm}0.9$)점이었다. 외상 후 성장은 사회적 지지, 유방암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대처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치료이행 자기효능감과 긍정적 재구조화 대처행동이 유방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29%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방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in Turkish Patients with Cancer

  • Tanriverd, Derya;Savas, Esen;Can, Ganim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11-4314
    • /
    • 2012
  • Posttraumatic growth (PTG) is the experience of positive change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rises. The need to understand PTG in relation to actual changes in an individual's life has recently been raised.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positive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enhancing PTG in cancer patients. This study involved 105 cancer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determined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Participants repor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PTG and social support. Total perceived social support,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TG among cancer patients. Accordingly, the social surroundings of the patient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how it helps the patient; they should be made aware of necessity of social support.

부인암 환자의 생존단계별 건강증진행위, 외상 후 성장 및 삶의 질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 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 이은실;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2-32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2011 to September 31st 2011 from 142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treatment or were treated at an out-patient clinic. The instrument were HPLP developed by Walker, Sechrist & Pender, PTGI developed by Tedeschi & Calhoun, and Korean C-QOL.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ute survival stage than the extended survival stage. Post-traumatic growth score was higher in the acute survival stage than the extended survival stage. The quality of life scores were higher in the lasting survival stage than the extended survival stage. Conclusio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in the extended survival stage reported low scor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tervention need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in the extended survival stage.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Complex PTSD Symptoms, Accept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College Students with Childhood Emotional Abuse)

  • 유새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61-572
    • /
    • 2018
  •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가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년제 대학교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복합 PTSD 증상 척도, 수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14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7명은 수용전념치료 집단에, 7명은 통제 집단에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회기 당 100분씩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와 6주 뒤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제 집단에 비해 수용전념치료(ACT) 집단에서 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복합 PTSD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용과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각각의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