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glans regi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7초

호두 열매 추출물의 메틸글라이옥살 유도 신장 세포손상 억제 효과 및 당화억제 효능 (Antiglycation and Protective Effect of Juglans regia L. in MGO-induced Renal cell Death)

  • 최지원;최상윤;유귀재;허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03-509
    • /
    • 2022
  • Methylglyoxal is a highly reactive precursor which form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GEs and methylglyoxal are known to induce various diseases such as diabetes, vascular disorders, Diabetes Mellitus (DM), and neuronal disorders. Juglans regia L is an important food commonly used worldwide, having nutritious components, including phenolic compounds. Since ancient times, Juglans regia L have been differently applied by various countries for health and in diverse diseases, including arthritis, asthma, skin disorders, cancer, and diabetes mellitus. However, the effect of diabetes-induced renal damage against AGEs remains unclear. This study evaluates the anti-glycation and renal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Juglans regia L against methylglyoxal-induced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death. Exposure to methylglyoxal resulted in reduced cell viability in NRK-52E cells, but co-treatment with Juglans regia L extrac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anti-glycation effect of Juglans regia L extract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aminoguanidine and Alagebrium, treatment with Juglans regia L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AGEs, collagen cross-linking, and breaking collagen cross-linking.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Juglans regia L i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regulating diabetic complications by exerting anti-glycation and renal protective activities.

네종 작물에 대한 Juglans regia L.의 알레로패티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Walnut Plants (Juglans regia L.) on Four Crop Species)

  • Hussa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93-100
    • /
    • 1991
  • Juglans regia L. 나무밑에는 다른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그 임상토양, 수용추출액, 빗물 등을 써서 작물을 심어 본 결과 발아와 생장이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 억제물질을 찾기 위해서 Juglans regia L. 나무의 수용추출액과 빗물을 종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여 feru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gallic acid를 분리확인했으며, 이 물질들이 억제작용에 관계한 것으로 추정한다.

  • PDF

호두복합추출물이 골수유래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Juglans regia Complex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from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

  • 공해진;강재희;유화연;이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9-17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Juglans regia complex extract(JCE) consisted of Juglans regia, Eucommia ulmoides,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Zingiber officinale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Cell toxicity test by using CCK-8, TRAP activity and TRAP positive multi-nucleated cell counting were performed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from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s(BMMs) induced by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B$ ligand(RANKL). As a result, JCE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MMs dose-dependently without cy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JCE may have a potential role for treating bone lytic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Anti-Oxida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Walnuts's (Juglans regia L.) Shell

  • Kang, 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5-371
    • /
    • 2018
  • In this study, antioxidant and anti-neuroinflammatory of ethanol extracts from walnuts's (Juglans regia L.) shell were investigated in vitro.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he walnuts's shell ethanol extracts (WSE) were examined by using ABTS radical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ssay. In the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_{50}$ of WSE were measured as 15.74 and $40.13{\mu}g/mL$, respectively. Also, to evaluate the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of WSE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NO were examined by LPS in BV-2 cell. BV-2 cells activated with LPS were treated with various doses (10, 25, 50, $100{\mu}g/mL$) of WSE. Supernatants were analyzed for the production of NO using Griess reagent. WSE up to $10{\mu}g/mL$ still required to inhibit NO induced by LPS. These results showed that walnuts's (Juglans regia L.) shell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neuroinflammatory and natural antioxidants.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Juglans regia and J. mandshuric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98-303
    • /
    • 2010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호두나무와 가래나무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치악산, 청태산, 중왕산, 경기도 남양주시, 원주시에 생육 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가래나무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호두나무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소엽 당 domatia 평균 갯수는 호두나무는 19.6개로 나타났고, 가래나무는 28.3개/엽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잎 표면의 털은 호두나무의 경우에는 맥액의 domatia 구조에서만 성모가 있으나, 윗면 아랫면 모두 털이 거의 없었다. 가래나무는 잎의 윗면에는 거의 털이 없으나, 뒷면에서는 맥상에는 밀도가 높고 엽신에도 성모(stellates)와 점액질을 분비하는 선모(glandula hairs)가 많이 분포하였다. 가래나무의 선모는 매우 유용한 직접적인 방어전략이라 사료된다. 엽에서 관찰된 엽당 포식응애의 개체수는 수종 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가래나무가 호두나무 보다 포식응애의 개체수가 많았다. 가래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이 부분에서도 호두나무에 비하여 가래나무가 우월한 간접적 방어전략을 지녔다고 사료된다. 가래나무 잎 뒷면에 선모를 밀생시키고 있는 것은 초식에 대한 훌륭한 방어전략이라 평가되며, 재배하는 호두나무 품종개량에서 이 형질을 도입하는 것이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사료된다.

Microstroma juglandis에 의한 호두나무 흰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Downy Leaf Spot on Juglans regia Caused by Microstroma juglandis in Korea)

  • 이상현;이승규;박지현;조성은;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86-390
    • /
    • 2011
  • 2011년 6월에 김천과 무안의 호두나무 재배지에서 잎에 노균병 병징과 유사한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든 잎의 뒷면에는 다각형의 병반에 흰색의 곰팡이가 눈꽃처럼 형성되었고, 상응하는 잎의 앞면에는 퇴록 부분이 생겼다. 병세가 진전되면서 병든 조직은 붕괴되었고 나중에는 괴사되었다. 이 병의 원인균은 형태적 및 배양적 특징으로 보아 Microstroma juglandis로 동정되었다. 또한 균주의 ITS rDNA 염기서열을 GenBank에 등록된 M. juglandis의 자료와 비교하여 100%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호두나무 묘목에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여 코흐의 원칙을 만족시켰다. 이 병은 지금까지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그리고 서아시아(인도, 파키스탄, 터키)에서 보고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이 병을 처음으로 보고하며, 병명은 '호두나무 흰곰팡이병'으로 제안한다.

호두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Walnut (Juglans regia L.) Green Husk)

  • 한국일;김미란;조부경;김민지;강민주;박기현;구예은;김병성;정의길;한만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3-440
    • /
    • 2015
  • 호두껍질을 둘러싸고 있는 과피는 식품으로서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생리활성물질로서 항산화 및 항균효과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두(Juglans regia L.)의 열매과피를 5종류 용매(methanol,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추출하여 6종 추출물(MeOH Ex, Hexane Ex, CHCl3 Ex, EtOAc Ex, BuOH Ex, Water Ex)을 얻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을 특정하고,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각 추출물의 항균 활성 은 병원균 8종에 대해 최소억제농도를 한천희석법으로 측정하였고, 항산화 활성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와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EC50 값으로 평가하고,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함량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호두추출물 가운데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EtOAc Ex)로서 Staphylococcus aureus SG511에 대해 3.2 mg/ml의 MIC을 나타내었 다. 또한, EtOAc Ex는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EC50 값이 13.43 μg/ml과 41.83 μg/ml로 각각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EtOAc Ex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은 각각 2.48 mg QE/g 및 223.25 mg GAE/g였다. 특히 총 페놀함량과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추출액 속에 페놀함량이 높으면 생리활성도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호두의 과피는 우수한 천연 항균 및 항산화 물질이 포함된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단백질 필름으로 코팅한 잣(Pinus koraiensis)과 호두(Juglans regia)의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Pine Nuts (Pinus koraiensis) and Walnuts (Juglans regia) Coated with Protein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during Storage)

  • 이명숙;이세희;박상규;배동호;하상도;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42-846
    • /
    • 2004
  • 잣과 호두의 저장 중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단백질 코팅에 의한 유지 산패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두 단백과 옥수수 단백 필름으로 코팅한 잣과 호두를 $35^{\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며 유지 산패 정도를 분석하였다. 저장 중 TBA가, 과산화물가, 산가는 저장 기간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 조건에서 증가하였는데 산패 정도는 녹차 추출물 함유한 단백질 필름 코팅 < 단백질 필름 코팅 < 대조구의 순이었으며, 저장 28일 후 녹차추출물을 함유한 옥수수 단백질 코팅 처리한 잣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해서, 과산화물가는 40%, 산가는 32%, TBA가는 21% 감소하였으며, 호두의 경우, 과산화물가는 29%, 산가는 24%, TBA가는 21% 감소하였다. 그리고 저장 28일 후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대두단백 코팅 처리한 잣의 경우, 과산화물가는 41%, 산가는 36%, TBA가는 8% 감소하였으며, 호두의 경우, 과산화물가는 26%, 산가는 28%, TBA가는 5% 감소하였다.

천연염색 표준화와 정확성을 위한 매염제의 적용 및 데이터 확립 (Mordants Application and Data Establishment for Natural Dye Standardization and Accuarcy)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5-41
    • /
    • 2021
  • 천연염색은 전통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천연염색이 다양해짐에 따라 염색 패턴의 다양성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4가지 천연염료에 대한 염료와 매염제의 색상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물인터넷에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표준화를 마련하고자 했다. Juglans regia Linn에서 추출한 염료에 구리 아세테이트, 철 II 황산염 및 중크롬산 칼륨을 첨가하면 갈색의 원래 색상이 각각 보라색, 카키색 및 암갈색의 다른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Sophora japonica L. 또는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에 첨가된 중크롬산 칼륨을 제외하고는 다른 매염제의 농도는 감소되었지만 염색된 실크의 색상 차이는 매우 컸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초산구리와 황산철은 각각 35%와 15%의 색변화를 유도하였다. 종합해볼때, J. regia Linn, S. japonica L.과 P. amurense Ruprecht에는 copper acetate 15 gram을 Phytolacca americana에는 150 gram의 iron이 정확히 첨가된 것이 가장 높은 색상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매염제에 의한 정확한 색상 변화가 염료 및 매염제에 의한 보다 정확한 색상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arpathian 호도(胡桃)나무의 종간품종간접목(種間品種間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teroplastic Grafting of Carpathian Walnut)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95-108
    • /
    • 1984
  • 호도(胡挑)나무는 Nut와 Timber겸용생산 유실수(有實樹)이나 일정(一定)한 생육조건(生育條件)을 요구(要求)하므로 비교적(比較的) 분포(分布) Range가 넓은 Juglans mandshurica와 Juglans nigra를 태목(台木)으로 하고 $N40^{\circ}$ 최저(最低)$-35{\sim}-40^{\circ}C$에 재배(栽培)가 안정(安定)한 Carpathian Walnut 내한성품종(耐寒性品種) 5개(個)와 $12-15^{\circ}C$의 온난(溫暖)한데 재배(栽培)가 잘되는 Persian Walnut을 접수(接穗)로 하여 종간(種間) 및 품종간접목(品種間接木)을, 시행(施行)하여 대형온실내(大型溫室內)에 완전목동화(完全木動化)된 환경조절온실내(環境調節溫室內)에서 온도(溫度)는 $28^{\circ}C$, 습도(濕度)는 85~100%로 하여 Modified cleft grafting방법(方法)을 채택(採擇)하고 1981~1983년(年) 사이에 3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온실접목(溫室接木)을 실시(實施)하였는 바 동종간접목(同種間接木)보다 이종간접목활착율(異種間接木活着率)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99.33%~100%의 활착율(活着率)을 보였고 상기(上記)한 4개수종(個樹種)과 Juglans sinensis를 통(通)한 5개수종간(個樹種間)의 Heteroplatic 및 Homoplast grafting에서 태목(台木)은 5%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나 접수(接穗)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즉(卽) J. mandshurica와 J. nigra와 같이 태목(台木)의 활력(活力)이 강하면 이종간접목(異種間接木)이 잘되고 또한 접목유합속도(接木癒合速度)가 빠르고 접목묘(接木苗)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고 접목(接木)의 친화력(親和力)이 높아서 Carpathian과 Persian Walnut과의 종간접목(種間接木)으로 이들 태목(台木)과 접수품종(接穗品種)의 특성(特性)을 합성(合成)한 것과 같은 내한성(耐寒性) 내난성(耐暖性)을 보강(補强)시켜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에 국한재배(局限栽培)되고 있는 호도(胡挑)나무산업(産業)을 우리나라 북부(北部)와 남부지방(南部地方)까지 확대재배화(擴大栽培化)의 기틀이 마련되는 종간접목(種間接木)에 의(依)한 "양친형질합성(兩親形質合成)" 효과(效果)로 품종개량(品種改良)에도 유효적(有效的)이라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