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nes matrix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액정 전계 렌즈 기반의 시청구간 전환가능 디스플레이의 광학적 해석 (An Optical Analysis of Viewing-angle Switchable Display Using ELC Lens)

  • 정신용;박우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241-245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private display that can adjust viewing angles by using an electric-field-driven (EFD) LC Lens. The EFD LC Lens design and simulati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Extended Jones Matrix Method. The conventional method for attaching a private film to the display was difficul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by using the EFD LC Lens, we devised a method that can view images more conveniently. We analyzed the luminance and illumination of the optical viewing distance by using the Extended Jones Matrix Method. We also measured the intensity of the viewing angles. The simulation attached the EFD LC Lens to the 14" Full HD RGB stripe wide panel. We calculated the relative luminance distribution and the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viewing angle of the image at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of 60 cm, using the EFD LC Lens and the lenticular lens.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to design private displays that can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EFD LC Lens.

파장판를 이용한 스펙클패턴 전단간섭법에 있어서의 위상오차 해석 (Phase Error Analysis in Shearography Using Wave Plates)

  • 김수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4-3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Wollaston 프리즘을 이용한 스펙클패턴 전단간섭법(shearography)에서 수동소자인 두 개의 파장판과 편광판의 조합을 통해 각각 90도의 위상천이를 가지는 4개의 스펙클 패턴을 얻고, 이로부터 스펙클패턴의 각 지점에서의 위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사용되는 파장판에 의한 위상오차를 Jones 행렬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파장판을 이용한 Shearography의 위상천이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 Theoretical Analysis about the Phase-Shifting Technique of Shearography Using Waveeplates)

  • 김수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8-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Wollaston prism을 이용한 Shearography에서 수동소자인 두 개의 Waveplate와 편광판의 조합을 통해 각각 90도의 위상천이를 가지는 4개의 스펙클 패턴을 얻고, 이로부터 스펙클의 각 지점에서의 위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Jones 행렬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입증하였다.

Wollaston prism을 이용한 스펙클패턴 전단간섭법에 있어서 파장판의 방위각에 의한 위상오차 해석 (Analysis of Phase Error Due to the Azimuth Angle of the Wave Plates in the Shearography Using Wollaston Prism)

  • 김수길;김기수;고명숙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편광소자를 이용하는 스펙클패턴 전단간섭법(shearography)에서 각각 90도의 위상천이를 가지는 4개의 스펙클 패턴을 얻고, 이로부터 스펙클패턴의 각 지점에서의 위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제안된 방법에 사용되는 파장판의 방위각에 의한 위상오차를 Jones 행렬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일 모드 광섬유의 Faraday Rotation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raday of Single Mode Optical Fiber.)

  • 김기영;양길호;김은수;양인응
    • 한국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신학회 1982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67-70
    • /
    • 1982
  • In this paper, the intrinsic birefringence and Faraday rotation of the single mode optical fiber have been investigated. On the analysis, the optical fiber has been modeled as a linear retarder and the intrinsic linear retardation of the fiber is approximatly found to be 2.57 deg/m from the measurement. Faraday ratation was analyzed as perturbation theory and Jones matrix.

  • PDF

Shearographic system에서의 위상천이 및 위상오차 분석 (The Phase Shift and Phase Error Analysis in the Shearographic System)

  • 김수길;고명숙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3-145
    • /
    • 2005
  • We present the method to obtain four speckle patterns with relative phase shift of ${\pi}/2$ passive devices such as wave plate and polarizer, and calculate the phase at each point of the speckle pattern in shearographic system using Wollaston pin And, we analyzed the phase error caused by wave plates used in the proposed method by Jones matrix.

  • PDF

파장판을 이용한 Shearographic system에서의 위상오차 분석 (The Phase Error Analysis in the Shearographic System using Wave plates)

  • 김수길;고명숙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8
    • /
    • 2005
  • We present the method to obtain four speckle patterns with relative phase shift of ${\pi}/2$ by passive devices such as wave plate and polarizer, and calculate the phase at each point of the speckle pattern in shearographic system using Wollaston prism. And, we analyzed the phase error caused using wave plates by Jones matrix.

  • PDF

Ti:LiNbO3 집적광학형 파장가변 편광모드 조절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LiNbO3 Integrated Optical Wavelength Tunable Polarization Mode Controllers)

  • 문제영;정홍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6-383
    • /
    • 2005
  • [ $Ti:LiNbO_3$ ] 채널 광도파로와 전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설계된 집적광학 파장가변 편광모드 조절기를 설계 및 제작하고, 동작특성을 측정하였다. 소자는 $TE↔TM$ 모드변환기와 TE./TM 위상변환기로 구성되었으며, Jones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달 매트릭스를 유도하였다. 위상변환기에 의한 파장 변환율을 전산 모사하였으며, 제작된 소자의 동작 특성들을 확인하였다. 폴래리미터와 Poincare 구 좌표계를 이용하여 편광 조절기의 동작 상태를 체계적으로 측정하였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 박막을 이용한 광섬유 원편광 거울 제작 및 이를 이용한 모드 록킹 된 광섬유 레이저 (Fiber optic circular polarizing mirror using polymer cholesteric liquid crystal and it's application in the mode-locked fiber laser)

  • 장도일;김경헌;김인선;김성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96
    • /
    • 2000
  • 콜레스테릭 액정 플리머 박막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광섬유 원편광 거울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릭 액정 거울의 광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Jones Matrix를 유도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원편광 거울은 선형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에서 공간적 홀버닝을 제거하는데 사용 될 수 있으며, 광섬유 내에서의 비선형 편광 변화 효과를 이용한 모드록킹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얻은 모드 록킹 된 레이저의 펄스 폭은 630fs로 측정 되었다.

  • PDF

목재 섬유 복합재(複合材)에 혼합이론(混合理論)의 적용에 관한 연구(硏究)(3) - 유황(硫黃) 화합물(化合物)을 사용한 목재(木材) 섬유(纖維) 복합재(複合材)에 수정된 혼합이론(混合理論)의 상수(常數) 결정(決定) - (The Application of Rule of Mixtures to Fiber-Reinforced Composites(3) - Determination of Constant "a" and "b" for Modified Rule of Mixtures Applied to Fiber-Reinforced, Sulfur-Based Composites -)

  • 이병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3-8
    • /
    • 1984
  • 섬유의 방향성이 무질서한 composites에 적용되는 Smith와 Cox의 이론(理論)을 포함한 Paul과 Jones의 혼합이론식(混合理論式)은 유황(硫黃) 화합물(化合物)을 사용하여 제조한 목재섬유 복합재(複合材)에도 일차적(一次的)인 liner regression constant가 주어질 때는 사용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 $E_c=\frac{1}{3}aE_fV_f+bE_mV_m$으로 표시된 이 liner regression from에 math. rom pack을 사용한 Hewlett Packard 75C(HP 75C) computer의 계산 결과는 목재 섬유 복합재(複合材)에 사용된 matrix의 종류, 섬유판의 밀도와 목재 밑 목질 섬유의 종류에 관계없이 a=3.27~3.54와 b=-2.47~-2.80의 일정한 범위의 값을 보여주므로, 지금까지 무(無)질서한 방향성을 지닌 장(長)섬유로 된 복합재(複合材)에만 적용되어 왔던 Paul과 Jones의 혼합이론(混合理論)과 이것과 같은 방향을 지닌 단(短) 섬유로 된 목재(木材)나 목질(木質) 섬유 composites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