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resources

검색결과 816건 처리시간 0.025초

직무 리뷰 분석을 통한 산업군별 직무만족/존속 요인 및 직무불만족/이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atisfaction/Retention Factors and Job Unsatisfaction/Turnover Factors by Industries using Job Reviews)

  • 이종서;김성근;강주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6
    • /
    • 2017
  • Keeping good, talented people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a company's success. HR analytics is an important area for applying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to human resources. It provides organizational insight that enables effective management of employees, allowing management to reach their business goals quickly and efficiently.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analysis are the keys to HR analytics. Job review web services have been becoming popular. Because people exchange information ab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through these web services, useful information about HR Analytics is accumulated on the job review web sites. In this paper, we identified factors of employee retention by analyzing a Job Satisfaction/Retention group, and the factors of employee turnover by analyzing a Job Unsatisfaction/Turnover group.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classified employees according to whether their self-reported job satisfaction or turnover was true.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Jobplanet, a popular job review site. Through dominance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 found major factors, topics, and keywords of the classified groups by IT, service, and manufacturing domains. Our approach is a novel model to apply the analysis of reviews and text mining to the HR domain, and it will be practically helpful for setting new strategie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LMX 관계의 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Exploring of Factors Influencing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MX on Job Satisfaction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 남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64-76
    • /
    • 2020
  •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 이하 JD-R모형)에 기반을 두어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이하 WFC)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의 질이 직무만족 간에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여성가족패널데이터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총 945명을 대상으로 하고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근로자의 WFC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WFC는 직무스트레스를 통해서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의 질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어주어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성과를 이끌어 내는 다차원적인 심리적·맥락적 요인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A Study o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ged)

  • 변미경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5-85
    • /
    • 2013
  • Purpose: The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examine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caring for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Methods: Data were gathered during September 2009, through a survey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189 caregivers who worked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home care clinics located in city and rural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r=.503, p<.01). Empowerment explained 52.5%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empowerment influences job satisfaction. Therefo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planning should focus on increasing empowerment in these caregivers in order to raise their job satisfaction.

Effects of Training Contents on the Work Effectiveness of Learning Workers in the Software field

  • Yoo, Hang-Suk;Seo, Jeong-M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29-35
    • /
    • 2019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on job behavior, the effects of job behavior on job effectivenes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on job effectiveness were studied when working in the Software field.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ing workers who conducted the training in the IT field, and 30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to test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The effects of job behavior on job effect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의료기관 근로자의 성격유형별 직무만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Satisfaction by Personality Types of General Hospital Workers)

  • 양종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2
    • /
    • 2022
  • Purposes: This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satisfaction b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general hospital workers.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workers of 3 general hospitals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Personality types were examined using the enneagram, and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personality 9 types. Findings: In all personality types,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had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1 type, reward system, working environment·welfare, an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7, 9 types, empowerment an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Pract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hospital workers, job satisfac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reference material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hospitals.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의 IT자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집단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IT Resources of the Firms Adopting Smart-Work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 조무호;양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45-1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도 스마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는 바,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 즉 빈도, 요인,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의 도구인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 도입기업의 IT자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워크 도입기업의 IT자원은 집단지성과 독립적으로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지성 중 개방과 협업이 IT자원과 업무개선 간을 매개하고, 집단지성 중 참여, 개방 및 협업이 IT자원과 업무협조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동일 산업군내에서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과 미도입 기업간 재무성과를 비교하거나 동일 기업 내에서 스마트워크 도입 전후의 재무성과를 동태적으로 비교하는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nsion insurance o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SME workers)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93-99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은 연금보험에 가입한 충남지역 60개 중소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총 128명이며, 분석 자료는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사후분석을 포함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금보험이 인적자원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변수(명확성, 적합성, 만족성)와 종속변수(직무효율성)간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금보험과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는 명확성과 직무성과(.339), 적합성과 직무성과(.541), 만족성과 직무성과(.531), 직무성과와 직무효율성(.563), 직무성과와 이직의도(.549) 간에는 p<.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금보험에 가입한 근로자의 근속년수에 따른 이직의도 간의 차이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 재직 촉진 및 인력양성으로 성공적인 정책목적 달성을 위한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Effects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on Work Overload and Stress Moderation of Hospital Employees

  • Choi, Young-Jin;Noh, Jin-Won;Boo, Yoo-Ky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9호
    • /
    • pp.35-44
    • /
    • 2018
  • Purpose - In endless competition, companies pursue cost reduction and work efficiency. So, entrepreneurs try to increase job intensity, which may lead to job stress and high turnovers because of job burnout. But, Information systems are acknowledged as a work support tool that secures work convenience and the productivity of employee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firm the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in reduing the work overload of employees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surveys given to hospital employees working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Results - The research revealed that information systems reduced the work overload of employees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as a job resource based on JD-R theory, and presentation of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systems alleviate employee job overload and increases job satisfaction in the medical services industry. In the medical services industry,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decreases in work overload, which results in employees gaining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time management, reducing job stress, and leading to job satisfaction.

사회적기업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이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Effect of Job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Commitment of Social Enterpris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 이은희;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205-218
    • /
    • 2022
  • 급변하는 시장 환경속에서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는 점점 힘들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기업의 열악하고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인적자원의 핵심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안정적으로 본인의 업무에 몰입할 수 있게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했다.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26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 적합성의 하위 요소인 직무 지식, 직무 기술, 직무 경험, 직무 욕구와 조직 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은 직무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조직 공정성의 하위 요소 중의 하나인 상호작용 공정성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영향력의 크기는 절차 공정성, 직무 경험, 직무 욕구, 분배 공정성, 직무 기술, 직무 지식 순이었다. 감성적 리더십은 직무 지식, 직무 기술, 직무 욕구,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과 직무 몰입 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직무 경험, 상호작용 공정성과 직무 몰입 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이 검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는 학술적인 차원에서는 사회적기업이라는 범주내에서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직무 관련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였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는 다양한 영향 요소 중 직무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향후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각종 제도 시행시 필요한 유의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deration of Meaningful Work o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with Work Engagement

  • Ahmed, Umair;Majid, Abdul Halim Abdul;Zin, MdLazim Mohd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6권3호
    • /
    • pp.15-20
    • /
    • 2016
  • Purpose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utline the concept of work eng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pertaining to work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work engagement and what empirical evidences suggest about its relationship with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Result -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has indicated towards strengths and pitfall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and coworker at work,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work engagement thus, requiring further empirical attention. Accordingly, the article has also indicated towards the critical significance of meaningful work for fostering employee well-being at work. Conclusions - The article has highlighted noteworthy empirical gaps in the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to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The article has also underlined the lack of research and potential of 'meaningful work' towards enhancing work engagement as well as, acting as a moderator between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