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ompetence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6초

아파트 공사에서의 건설기술자 역량 분석 연구 - 공무업무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Competence of Construction Engineers in Apartment Construction)

  • 김후용;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4-23
    • /
    • 2018
  • 국내 건설 산업에서 국내 상위 10위권의 건설 회사들이 대규모 주택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건설기술자의 역량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요소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개인의 능력을 중요시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 차원에서 체계화 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있지만, 건설현장구성원 각자의 구체적인 역량 수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대표 업무 중 하나인 공무업무를 중심으로 하여 세부역량을 정의하고, AHP 분석방법과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건설기술자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과 이들이 생각하는 세부역량의 중요 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아파트 공사현장 기술자들의 현재 보유 역량이 그들이 생각하는 역량의 중요 정도보다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에 따라, 직급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역량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력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보유하고 있는 역량이 달라진다는 뜻으로 근무경력이 짧고, 직급이 낮은 건설기술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와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Career Anchor and Career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지안;박수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93-30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무 유형을 통해서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먼저 부산 경남 지역에 있는 K 대학과 P 대학의 간호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커리어앵커 질문지를 이용하여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 유형 중에서 상위 유형의 경향성을 보이는 간호대학생 28명을 선별하여 4개의 팀으로 나누어 맵을 작성하였고, 작성된 맵의 내용을 기반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실제적 목소리를 통해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 유형은 라이프스타일과 안전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커리어앵커 유형은 순수한 도전과 관리적 역량이었다. 둘째,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크게 4개의 영역, 전공역량, 실무역량, 인성역량, 자원관리역량으로 범주화하였다. 전공역량은 간호 전문지식 및 기술, 실무역량은 병동 업무처리, 의사소통, 위기대처능력, 인성역량은 협력, 책임인식, 자원관리역량은 시간 관리 능력, 스트레스 관리능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대학생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간호실무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년지도사의 역량과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th Instructors' Competence and Job Environment on Their Burnout)

  • 박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36-24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사의 역량과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청소년지도사의 소진을 경험하는데 있어 역량과 직무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소진예방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들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장에서 재직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58.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17.125, p<.001).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의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70.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19.339, p<.001).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역량과 직무환경을 차례로 투입했을 때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81.0%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27.368, p<.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지도사의 역량과 직무환경이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청소년지도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정책적 지원과 청소년지도사의 처우개선과 승진 등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소진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소진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 손연정;이연아;심경란;공성숙;박영수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8-28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in intensive care units (ICU).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09 nurses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Measurements included a socio-demographic and job related survey, communication competence inventor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a nursing performance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6 to 24, 2012,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8.0 software. Results: The mean scores for communication competence, burnout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50.49, 84.72, and 62.18, respectively. Communication competence (r=.44, p<.001) and burn out (r=-.32, p<.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erformance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 age and burnout. These variables explained about 46% of the total variance of nursing perform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beta}$=.34, p<.001)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Nurses' poor communication skills and burnout can influence the occurrences of medical errors in ICU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good communication and burnout resolution skills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efficiency.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 안혜경;강인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04-61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August until 7th, August, 2005. The subjects were 238 nurses from a general hospital in Busan.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rogram. Resul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flexibility, satisfaction, competence factor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factors and centralization factor.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of Nurs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as managerial strategy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factor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ffiliative-dominant culture and conservative- dominant culture and innovative-dominant culture were powerful predictor factors. The Other powerful predictors of nurses's job satisfaction were satisfaction factor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communication and centralization factor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iliative-dominant culture and conservative-dominant culture, professional image factor of nurse imag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mportant factors for nurs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manager should be make effective managerial strategy and encourage that nurse have more satisfy to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manager make constant efforts to create an affiliative culture in hospital.

  • PDF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관계 연구: K대학 IPP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influence factors of long-term on-site training using multi-group analysis: Focusing on IPP of K university)

  • 이지영;이상곤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49-6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i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 requirements on practice performance in university long-term on-site training.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cope, job content, coaching, benefits), practical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competenc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gender types, major types, corporation typ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75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 university long-term on-site tra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characteristics (job scope job content, coaching, benefits) had structural relationship affecting occupational competence through mediation of practice satisfaction. Second, As fo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Based on the resul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 요구도 분석 (Assistive Product Users' Need Analysis on Job Competence of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 조미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복지용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올바른 복지용구 사용을 위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 분석 과정을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에게 우선시되어야 하는 핵심작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지용구 이용자 84명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 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를 바탕으로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용구 전문가의 5개의 책무와 12개의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와 10개의 핵심작업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핵심작업은 복지용구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높은 작업으로써 복지용구 전문가가 직무 수행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요구를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노인들이 독립성을 확보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유아교사의 역할놀이 유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A Pre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etend Play Competence)

  • 한찬희;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9-124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 teacher training program aimed at promoting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in relation to pretend play and examined its effects on the teachers'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 in pretend play. Regarding the learner's job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a small group session of 90 minutes per week was conducted for 8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on the teachers' knowledge and the efficacy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the teachers' interaction by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fourteen child care cent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both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in which 38 teachers were included. In conclusion, the pretend play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teacher was obser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s in pretend play.

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참여자 개인역량과 프로젝트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공급업체 흡수역량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ticipant Personal Competence and Project Characteristic on Performance in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Focused on Knowledge Sharing and Supplier Absorption Capacity)

  • 이명기;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09-221
    • /
    • 2019
  •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부품 공급업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개발 참여자의 개인역량을 키우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직무역량과 리더십역량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업체의 상호의존성이 공급업체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개발참여자와 공급업체의 지식공유가 성과에 기여함을 확인하고, 공급업체와의 협력적 관계의 필요성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제품개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요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개발 참여자들의 개인역량이 뛰어날수록 지식공유 활동을 향상시키며, 지식공유와 상호의존성은 공급업체 흡수역량에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첨단기술이 융복합되는 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성과 향상에 필요한 공급업체의 흡수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성과를 위한 사내 관련부서의 프로젝트 지원활동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VA를 활용한 NCS 기반 교과목의 직무능력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Job Competence Evaluation for the A Course Based on NCS Using VA(Visual Analytics))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9-370
    • /
    • 2017
  • 본 연구는 VA(Visual Analytics: 시각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NCS 기반 교과목 운영에 따른 직무능력평가의 적합성 여부를 밝히고 수행준거별 직무능력 평가 유형의 분석 자료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