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anchov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북서 태평양 멸치(Japanese anchovy)에 대한 측면 음향 반사강도 특성 (In situ side-aspect target strength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northwestern Pacific Ocean)

  • 이형빈;강돈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3호
    • /
    • pp.248-256
    • /
    • 2010
  • Acoustic side-aspect target strength (TS) of living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was measured at 120kHz during in situ experi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lowering and horizontally projecting the splitbeam transducer into the anchovy school.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side-aspect TS data, acoustic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fish morphology, and dorsal-aspect TS data were used. Total length of the anchovy ranged from 6.6 to 12.8cm (mean length 9.3cm). The side-aspect TS distributed between -40 and -55dB, has an obvious length dependency. The mean side-aspect TS of the anchovy was -47.8dB, and the TS was about 2dB higher than mean TS generated from dorsal-aspect measurements. With reference to maximum TS, the results of the side-aspect T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the theoretical and dorsal-aspect TS. Apparently these tendency indicates that side-aspect TS measured from the study is useful data. These in situ measurements of side-aspect TS can be applied to improve acoustic detection and estimates of the anchovy, and is necessary to measure with a various frequency and length for making enhance data.

이론모델을 이용한 멸치의 음향산란강도의 검토 및 적용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arget Strength for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s) by theoretical acoustic scattering model)

  • 황강석;이경훈;황보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87-494
    • /
    • 2012
  • Acoustical back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nchovy can be estimated by Kirchhoffray mode model (KRM model) due to estimate exact body and swim-bladder shape of the fish, the samples were rapidly frozen by dry-ice and alcohol. X-ray photos for ventral and lateral direction for 6 samples were taken and the 3D coordinates of the body swim-bladder were estimated by digitizing from the photos. The angles between the axis of body and swim-bladder were about $9^{\circ}$ at 38kHz and $7^{\circ}$ at 120kHz, 200kHz. General formula of TS and BL estimated were < $TS_{38kHz}$ >=20logBL-67.3, < $TS_{120kHz}$ >=20logBL-66.6, < $TS_{200kHz}$ >=20logBL-67.0. As a result, we confirmed KRM model is very useful to estimate TS (Target Strength) for design of experiment and it also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abundance of Japanese anchovy distributed by 2 frequency difference method in the survey area.

광양만 멸치(Engrauiils japonica) 후기자어의 먹이생물 (Food Organisms of Postlarva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Kwangyang Bay)

  • 박광재;차성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7-252
    • /
    • 1995
  • 멸치의 초기 먹이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0년 6월 광양만에서 채집된 멸치의 장내용물을 조사하였다. 멸치는 난황의 흡수를 끝낸 척색장 3.0mm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멸치 자어의 먹이는 요각류의 난과 nauplius 유생, 유종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척색장 3.0-3.8mm의 자어에서는 요각류 난과 요각류 nauplius 유생이 주요 먹이생물이었으나, 척색장 3.8mm 이상에서는 요각류 nauplius 유생만이 관찰되었다.

  • PDF

김치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A Surr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 한재숙;최영희;김영진;김태선;한준표;일본명;일본명;일본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4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05 Japanese (male 224, female 381) residing in Kobe, Kyoto, Osaka, Himezi, and Tokyo. Of the respondents, 90.2% have not visited Korea however, 83.3% experienced Korean food. On their first impression of Kimchi, 56.9% answered that it was ‘good’, and 65.4% answered ‘good’ for their after taste impression. Total 92.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ationality of kimchi is ‘Korea’. The most familiar kimchi is Baechu kimchi, and they preferred the part from white stem of the Chinese cabbage. On their perception of kimchi, ‘Kimchi is stamina food’ had the highest score of 4.17${\pm}$1.11 from male and 4.25${\pm}$0.85 from female, respectively. Their favorite sub-materials were red pepper (37.4%), radishes (33.6%) and garlic (28.4%), and unfavorable sub-materials were anchovy (28.4%) and garlic (16.5%). The most popalar dishes using Kimchi were Kimchi Ramyun (84.0%) and Kimchi Bokumbab (60.7%).

  • PDF

미토콘드리아 12S 리보종 RNA 유전자배열에 의한 한국해역 멸치 개체군의 유전자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Korean waters Based on Mitochondrial 12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 김진영;조은섭;김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38-950
    • /
    • 2004
  • 한국해역에 분포하는 멸치의 유전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12S 리보좀 RNA 유전자배열 (339 bp)을 분석하였다. 황해남부, 제주연안, 남해동부 등 3지역의 시료로 부터 총 35 mtDNA의 haplotype을 구하였다. 황해남부에서 채집된 멸치의 AN8T103은 PAUP 분석에서 $0.2-4.1\%$로 분리되는 독립적인 계통을 보이므로서 다른 연구해역으로부터 유입된 개체군인 것으로 보이나 금후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AN8T103을 제외한 유전자 다양성은 $0.3-3.8\%$로서 개체군 내 염기다양성은 0.015(황해), 0.013(제주도), 0.015(남해)로 나타났다. 암컷유전자이동은 상당히 높았으며(Nm=25.5-36.44), 지역간 유전자거리(FST)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P>0.01)$. 이러한 결과는 한국해역에 서식하는 멸치가 지리적으로 무작위 분산된 개체군임을 암시한다.

수산음향기법을 이용한 아산만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기타어군의 분포 및 현존량 추정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Other Fishes in Asan Bay, Korea, estimated Hydroacoustic Survey)

  • 이형빈;강돈혁;임양재;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71-681
    • /
    • 2014
  •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astal fish species in Asan Bay, Korea, were estimated from hydroacoustic survey and net catches.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with 38 and 200 kHz from July to October of 2012, and converted to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mile^2$) for $0.25n{\cdot}mile$ along ten transects.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was the dominant specie in the net catches. The virtual echogram technique was used to distinguish E. japonicus from other specie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Delta}MVBS$) at 38 and 200 kHz. Engraulis japonicus and other fish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center channel and outer part of Asan Bay. E. japonicus tends to move from inner to outer Asan Bay in summer and fall. From NASC data, the target strength and length-weight function of E. japonicus and other fishes were used to estimate the E. japonicus stock at 24.1-93.3 tons, and other fish at 40.6-88.4 tons from July to October 2012. The estimated anchovy biomass compared well with the cumulative catch weight from stow net catches. The hydroacoustic method offer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spatial/temporal structure and estimating the biomass of fish aggregations in coastal areas.

우리나라 멸치의 기록에 관한 연구 (A Historical Literature Review on the Records of Korean Anchovies)

  • 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39-45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음식문화에서 대표적인 반찬이자 영양소의 보고인 멸치에 관한 역사적 문헌 고찰에 관한 것이다. 멸치에 관한 문헌은 1803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魚譜)라고 말할 수 있는 담증이 쓴 우해이어보이다. 그 후 정약전이 1814년에 쓴 현산어보(자산어보)와 1820년경에 서유구가 쓴 난호어목지의 어명고에도 멸치가 소개되고 있다. 멸치가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된 것은 조선시대 훨씬 이전부터였으나, 그 당시에는 그물 등 어구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였고, 가공기술도 미처 발전하지 못하여 충분한 어획고를 올리지 못하여 사람들에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 일본 식민지 시대 멸치를 이용한 농업의 비료화 또는 식자재로 그 가공기술이 급진전 되었다. 지금의 멸치산업은 우리나라 수산업 중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오백년 넘게 이어온 죽방렴을 이용한 죽방멸치는 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뿐 아니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중요하다. 이에 멸치에 관한 역사적 연구는 산업적 관점에서 어족자원에 관한 연구로서 뿐만 아니라, 죽방렴의 세계문화유산과 국제식량기구의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등재를 위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2007년 남해안 멸치의 산란밀도와 어장가입 (Spawning Density and Recruitment of Jan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07)

  • 차병열;양원석;김주일;장선익;추은경;박주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0-197
    • /
    • 2008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멸치의 주 산란기인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멸치 난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권현망에 의한 해역별 어획량과 체장조성 자료와 종합하여 멸치의 시공간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1. 멸치의 난은 5월부터 8월까지 분포하였으나, 분포밀도는 7월에 가장 높고 8월에 가장 낮았다. 2. 난의 주 분포해역은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이며, 난이 많이 채집된 곳의 수온범위는 $15{\sim}24^{\circ}C$, 그리고 염분범위는 32~34이었다. 3. 멸치의 자치어의 분포밀도는 난의 분포와 같이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높았다. 4.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의한 2007년 멸치 어획량은 통영이 11,409톤, 마산이 4,137톤, 사천이 2,487톤, 그리고 여수가 4,411톤으로 대부분이 남해도와 거제도 사이 해역에서 어획되었다. 5.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어획된 멸치는 3~4월에는 큰 멸치(4.6 cm 이상)가 많았고, 8월 이후에는 0.7 cm의 소형에서부터 13.0 cm의 대형 크기까지 분포하였다. 작은 멸치(4.6 cm 미만)는 연안측 가까이에서 많이 분포하였고, 큰 멸치(4.6 cm 이상)일수록 어장의 외해측에 분포하여 멸치는 내만측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고 성장하면서 외해측으로 이동 확산해 나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남해 연안 해역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에 따른 멸치 섭이 특성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 김민정;윤석현;김진영;오철웅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75-287
    • /
    • 2013
  • 멸치는 한국 남해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는 어류이며, 상업적으로도 중요한 수산 자원 중 하나로써, 이 연구는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멸치의 지역별, 계절별 먹이생물의 차이를 통해 멸치의 주 먹이생물과 섭이 생태를 알고, 이를 통해 멸치의 생태학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 남해의 통영, 진도 그리고 여수에서 채집된 멸치의 먹이생물 분석과 멸치가 채집된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멸치의 먹이생물은 조사 해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여수와 진도에서 7월에 출현한 멸치의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의 cyprid기(>35%)와 요각류인 Calanus sinicus (>22%)가 우점하여 나타난 반면, 통영에서는 소형 요각류인 Paracalanus parvus s.l. (41%)와 Corycaeus affinis (22%)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같은 조사기간 동안 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여수에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 진도에서 Paracalanus parvus s.l. (28%)와 통영에서 Evadne tergestina (14%)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살펴보면, 하계에 우점한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과 요각류였고, 추계에는 식물플랑크톤과 요각류 Pseudodiaptomus marinus, 동계에는 Paracalanus parvus s.l.와 냉수성 요각류인 Centropages abdominalis가 가장 우점하는 먹이생물로 출현하였다. 계절에 따라 채집된 멸치의 먹이생물 선택성은 하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보다 작게 출현한 Calanus sinicus (3%)의 선택성이 높았고, 추계와 동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종이었던 Paracalanus parvus s.l. (30%, 21%)보다 각각 Pseudodiaptomus marinus (0.5%) and Centropages abdominalis (0.9%)를 높게 선택하였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의 차이에 따라 먹이생물의 선택성이 달라졌다. 또한, 계절에 따른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따라 먹이생물의 종류와 섭이 형태가 달라졌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식물 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모두 섭이하면서 높은 적응력과 먹이생물에 유연성을 보였다. 이러한 멸치의 먹이생물 섭이 방식은 공간적 또는 계절적으로 많은 변동이 일어나는 한국 남해 연안 해역에서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Microsatellite을 이용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 계군 분석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in the West, South and East Seas of Korea Based on Microsatellite DNA Analysis)

  • 오택윤;김주일;서영일;조은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4-178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8월경에 어획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집단을 분석하기 위하여 6종류의 microsatellite로 하였다. 서해멸치의 경우, 샘플수 72마리에 대한 allele 범위가 19-41로 평균 28.5를 보였다. 특히 EJ9 locus에서 평균보다 약 1.4배 많은 41를 나타내었다. 남해멸치의 평균 allele는 24.5로 서해보다는 적었고, EJ2, EJ9, EJ27.1 loci는 평균보다 높은 29-37의 범위를 보였다. 동해멸치는 평균 allele가 25.0으로 EJ35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loci에서 평균 이상을 보였다. 그러나 서해, 남해 및 동해멸치의 allele 빈도율은 대부분 0.24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Hobs보다 Hexp에서 0.5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유전적 다양성도 0.9 이상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6종류의 microsatellite에 대한 지역간의 유전적 차이 및 거리는 0.258과 0.019로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p>0.05). 따라서 서해, 남해 및 동해 멸치계군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