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zyme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9초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I. 한국산 뱀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김순옥;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5
    • /
    • 1973
  • 한국에서 서식하는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에 속하는 몇종의 파충류에서 각 장기별로 MDH 및 LDH isozyme을 조사하였던 바 MDH는 2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대륙유혈목이의 MDH isozyme은 이동속도가 빠른 점이 다른 종과 다르다.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구성원 각 종에서 4개의 LDH isozyme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과 간조직의 LDH isozyme은 근본적으로 같은 pattern이었고 $LDH_4$가 없는 것이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특징이었다. 한편 심장에서는 2개의 LDH isozyme이 발견되는데 근조직과는 반대되는 pattern 이었다. 위 homogenate에서 나타나는 LDH isozyme은 심장의 pattern과 동일하다고 볼수 있는데 살모사과와 북살모사과에서는 4개의 isozyme이 나타나는 점이 독특하였다. 따라서 실험 동물의 MDH 및 LDH isozyme pattern에서 의미있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 개구리목 뇌조직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박상윤;조동현;고정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1972
  • cellulose acetate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의 동물 6종에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개구리목의 MDH 와 L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포유류나 조류와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참개구리와 금개구리에서는 LDH 나 MDH 모두 두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두 isozyme의 pattern 역시 거의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산개구리 전뇌의 LDH isozyme 역시 두개의 isozyme만을 보였으나 그 pattern은 참개구리나 금개구리와 근본적으로 달랐다. 두꺼비와 무당개구리는 다섯개의 LDH isozyme을 가지고 있으나 그 pattern은 전혀 달랐다. 한편 옴개구리에서는 세개의 LDH isozyme을 볼 수 있었다. 모든 시험동물에서 두개의 MDH isozyme을 발견 할 수 있었는데 참개구리의 후엽과 소뇌 및 연수혼합 물에서는 단 하나의 MDH isozyme만이 검출되었다.

  • PDF

한국산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 Homogeneous Gel-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I. Homogeneous Gel-)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4
    • /
    • 1988
  • 한국산 느타리버섯 균주의 균사, Primordia, 갓, 줄기의 전피영동 isozyme 패턴을 비교한 결과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의 패턴은 모두 아주 유사하였으나 균사의 패턴은 자실체의 것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자생지역이 다른 한국산 Pleurotus ostreatus의 전기영동 isozyme 패턴중 Mal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는 유사하였으나 Esterase, Peroxidase, Leucine amino peptidase, Superoxide Dismutase의 패턴은 차이가 있었다. Pleurotus osteatus, P. cornucopiac, P. florida의 종간 Esterase 밴드 패턴은 많은 차이가 있어 전기영동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의 가능하였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V. 한국산 개구리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고정식;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1973
  • Cellulose acetate strip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 동물 6종에서 각 장기별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LDH isozyme은 포유류와 조류의 그것과는 달리 뇌와 골격근의 isozyme형이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과에 따른 LDH isozyme의 특징은, 무당개구리는 5개의 isozyme이 모두 나타났으며 두꺼비과의 물두꺼비는 5개의 isozyme이 나타났으나 무당개구리에 비하여 이동속도가 빠르고, isozyme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다. 개구리과의 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및 산개구리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isozyme만이 나타났다. 개구리목의 LDH 와 M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과 사이의 특징도 아울러 살필 수 있다.

  • PDF

녹두의 Peroxidase Isozyme C의 생화학적 성장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roxidase Isozyme C from Mung Bean)

  • 이상갑;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19-226
    • /
    • 1987
  • 녹두의 자엽에서 peroxidase isozyme을 $(NH_4)_2SO_4$ 침전, Sephadex G-75, DEAE-cellulose 및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등으로 63배 정제하여 그 특성 및 결정구조를 조사하였다. Isozyme C는 Rm 값이 0.24로서 분자량이 50,000 dalton인 단량체였다. 이 효소의 반응 최적 PH는 o-dianisidine에 대하여 5.0, guaiacol에 대해서는 6.0, 반응 최적온도는 $70^{\circ}C$였으며 열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하였다. o-dianisidine과 guaiacol에 대한 Km 값은 각각 0.11mM, 60.98mM이었으며, isozyme C에 대한 기질과 cyanide는 경쟁적 저해형식을 나타내었다. Isozyme C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결정구조를 하고 있었다.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품종별 Alcohol Dehydrogenase ( ADH ) 와 Esterase의 Isozyme Banding Pattern에 관한 (Studies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 ADH ) and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 of Italian Ryegrass Varieties)

  • 이성규;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2-87
    • /
    • 1994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37개 품종을 대상으로 ADH와 Esterase 의 Isozyme을 Starch gel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염색하여 품종간 band 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1. ADH isozyme은 Rf 0.60과 0.63 두 개의 band zone으로 나타났으며 Rf0.60이 main band이었다. 2. ADH isozyme의 banding pattern은 5개의 type으로 구별이 되었는데 type I은 7개품종, type II는 2개 품종, type III는 6개 품종, type IV은 18개 품종, type V는 4개 품종이었다. 3. Esterase isozyme은 Rf 1.00으로 한 개의 band만 나타났다. 4. Esterase isozyme의 banding pattern은 3개 type으로 구별되었는데 type I은 22품종, type II는 8품종, type III는 7개 품종이었다. 5. ADH와 Esterase isozyme의 banding pattern 으로 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품종별 차이는 없으나 염색 강도에 따라 일부 품종의 변이를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온도, pH 및 염도가 굴(Crassostrea gigas)의 MDH isozyme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the Mal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Oyster (Crassostrea gigas) Exposed to Different Temperature, pH and Salinity)

  • 김지식;김종환
    • 환경생물
    • /
    • 제17권2호
    • /
    • pp.209-215
    • /
    • 1999
  • 온도, pH및 염도 stress가 굴(Crassostrea gigas)의 malate dehydrogenase isozyme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의 MDH isozyme은 2개의 band가 양극 쪽으로 이동되어 분리되었다. 각 실험 온도와 pH를 12시간 노출시킨 실험군에서는 1개의 band만 양극 쪽에서 분리되었고, 24시간과 48시간 노출한 실험군에서는 2개의 band가 모두 양극 쪽에서 분리되었다. 염분 농도가 5ppt 와 3ppt에서 12시간 노출시켰을 때 각각 2개의 band가, 10ppt와 40ppt에서는 각각 3개의 band가 분리되었고,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실험군에서는 2개의 band가 양극 쪽에서 분리되었다. 모든 isozyme pattern에서 각 band의 활성도는 실험 조건에 따라 각각의 특이성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MDH isozyme의 변화는 굴이 환경 stress에 대한 생화학적 반응의 결과로 간주된다.

  • PDF

부족강 10종의 NAD-MDH Isozyme (NAD-dependent MDH Isozyme of Ten Species of Bivalvia)

  • 박상윤;김상엽;조동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3-166
    • /
    • 1974
  • Cellulose acetate 전기영동법으로 부족류의 MDH isozyme 은 1$\\sim$2개의 band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부족류의 MDH isozyme은 종에 따라 특징적이므로 생화학적인 다양성의 한가지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MDH isozyme pattern은 계통상의 유연 관계를 뚜렸하게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몇 가지 실험하여본 종에 있어서 NAD-MDH 다형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동아와 달개비의 전기영동에 의한 Isozyme의 변이 (Isozyme Patterns on Esterase, Peroxidase and Amylase in Benincasa hipspida (Thunb) Cogn and Commelina communis L.)

  • 채규인;최정식;김영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4-176
    • /
    • 1991
  • 동아(Benincasa hispida(Thunb) Cogn)와 달개비 (Commelina communis L.)의 종자, 잎 및 줄기등을 공시재료로 하여 몇가지 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sterase isozyme의 pattern은 band수나 Rf값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동아의 육질에서는 단 1개의 band가 출현하였다. 2. Peroxidase isozyme은 동아의 육질에서 4개의 band가 출현하였으나, 달개비의 줄기에서는 band 가 전혀 없었다. 3. Amylase isozyme의 전기영동대는 동아의 종자 및 육질에서만 각각 1개씩 뚜렷한 band를 나타냈다.

  • PDF

녹두(綠豆)에서 Peroxidase 동위(同位) 효소(酵素)들의 분리(分離)와 효소적(酵素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Isoperoxidases from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79-287
    • /
    • 1986
  • 발아초기(發芽初期) 녹두(綠豆)의 부위별(部位烈) peroxidase 활성(活性)은 뿌리가 타부위(他部位)보다 약 $1.5{\sim}3.5$배 더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발아(發芽)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予葉), 뿌리에서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증가(增加)하다가 점차 감소(滅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인 반면에 타부위(他部位)에서는 계속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isozyme의 수는 발아(發芽),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모든 부위(部位)에서 계속 증가(增加)하여 활성도(活性度)와는 무관(無關)하게 발아(發芽) 후 6일(日)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Ammonium sulfate에 의한 단백질(蛋白質)의 분획(分劃), Sephadex G-75 Column, DEAE-cellulose column한 결과(結果) isozyme A는 16배 정제(精製)되었으며, isozyme B는 조금도 순도(純度)가 증가(增加)되지 않았으며 isozyme A와 B의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Rm값은 각각(各各) 0.22와 0.62였다. isozyme A와 B 모두 PH5.6에서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반응최적온도(反應最適溫度)는 각각(各各) $65^{\circ}C$$70^{\circ}C$였으며, 열(熱)에 대해서도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Lineweaver-Burk Polt를 이용(利用)하며 Km값을 측정(測定)해 본 결과(結果) 0-dianisidine에 대한 isozyme A는 0.071mM, isozyme B는 0.052mM이었으며 $H_2O_2$에 대한 isozyme A는 0.28mM, isozyme B는 0.23m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