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val Ratio

검색결과 2,391건 처리시간 0.031초

해양심층수에 의한 해역 비옥화 효과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Ocean Fertilization by Deep Sea Water)

  • 시오카리 메구미;다베타 시게루;가토 타카요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8-207
    • /
    • 2012
  • 본 연구에서 식물플랑크톤 뿐 아니라 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하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해양 심층수의 해역 비옥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델은 2종의 식물플랑크톤, 3종의 동물플랑크톤, 질산염, 암모늄염, 규산염, 입자성 유기질소, 용존 유기질소, 입자성 규소 총 11개 요소로 구성된 NEMURO에 기초하고 있다. NEMURO의 11개 요소 외에도 두 종의 식물플랑크톤내 질소 셀 쿼터와 대형 식물플랑크톤내 규산염 셀 쿼터를 추가하였다. 해역 비옥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즈 오시마 섬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본 실험에서 심층수의 유무에 의한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실험 결과의 원인들을 모델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하였으며, 그 원인의 하나는 실험에 사용된 표층수의 높은 영양염 농도이다. 다른 원인은 무기질소 섭취율이 $NH_4$에 대한 $NO_3$의 비율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무기질소의 총 농도의 증가가 광합성 속도를 반드시 증진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모델로 실험 결과들을 재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모델을 이용하여 해양 심층수에 의한 해역 비옥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해양 심층수의 공급 간격이 너무 짧거나 해양 심층수의 양이 너무 많을 때 해역 비옥화 효과는 나타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해양 심층수의 첨가가 너무 비번하거나 너무 많이 첨가하면 플랑크톤 농도의 희석이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증진 효과를 초과해 버린 것으로 추측된다.

연간 최대해일고 변동의 일반화 극치분포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to the Variation of Annual Maximum Surge Heights)

  • 권석재;박정수;이은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41-253
    • /
    • 2009
  • 기상변화로 인한 해일고의 장기간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수와 통영 조위관측소의 30년 이상의 해수면자료를 이용하여 해일고를 추출하고 연간 최대해일고의 변동경향 및 상위해일고의 기본특성 고찰과 연간최대해일고의 통계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형회귀에 의한 연간 최대해일고의 증가율은 여수와 통영에서 각각 약 34.5 cm/34 yr와 33.6 cm/31 yr로 동해안 속초와 묵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에서 최대해일고는 각각 71%와 68%가 태풍 시기에 관측되었으며, 해일고가 높을수록 태풍에 의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해일고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시간 경향을 고려한 일반화 극치분포를 이용하여 이뤄졌다. 또한 검블 분포도 고려하였는데, 어떤 분포가 더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우도비 검정을 실시하였다. 미래에 대한 통계적 예측방법을 위하여 리턴레벨과 90%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일고의 변동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및 예측을 통해 강화된 태풍에 의한 해일피해를 경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장일과 암기중단 처리가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day and Night-break Treatment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강진호;박진서;김재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00-607
    • /
    • 1995
  • 최근 바위솔은 항암제로서 효능이 알려지면서 일부 독농가를 중심으로 인공재배되기 시작하였으나 자연산과 출하기간이 중복되고 그 기간 또한 짧음으로서 재배 바위솔의 출하기간을 임의로 조절하거나 연장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시험은 바위솔의 개화를 억제함으로서 출하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여 바위솔의 인공재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무처리의 자연일장에서 재배한 것에 비하여 추대기에 가해지는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바위솔의 생장 및 개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화서의 신장을 지연시켰으며 처리 6주후인 10월 하순경부터는 엽과 구엽수도 많고, 경직경의 감소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는 엽과 구엽중은 처리 2주후부터, 경중은 처리 4주후부터, 근중은 처리 4주후부터 많았던 반면, 소화중은 처리 4주부터 6주까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수량인 지상부 건물중은 10월 하순 이후부터 자연일장보다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가해진 6주후인 10월 하순까지 소화수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월 하순부터 일제히 개화하는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는 소화의 개화 및 개체의 개화율을 현저히 감소시겼다. 4. 추대 후 자연일장에서 자라는 바위솔은 소화가 sink로, 잎과 뿌리가 source로 작용하나,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는 줄기 및 소화가 sink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급성 제 5형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치료 (Acute Type V Acromioclavicular Injury Treated by the Modified Bosworth Technique)

  • 김승기;이상훈;박종범;박원종;장일석;장 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26-132
    • /
    • 1999
  • Purpose :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radiographic outcome of the modified Bosworth method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ype V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5 to May 1998, 20 patients were operated on for acute and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Rockwood type V). The operative technique includes fixation of the coracoclavicular joint with Bosworth screw or 6.5mm cancellous screw and imbrication of trapezius and deltoid muscles. The average age was 34 years(range, 19 to 51 years). These 20 patients with an average follow-up of 18months, were evaluated clinically using the UCLA scoring system. Additional radiograph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with stress radiographs. Results: Excellent or good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in 95%(19 cases). And the average coracoclavicular interval ratio was decreased from 3.31(2.2-6.0) to 1.13(1-1.4) in stress radiographs. There were 4 cases of hetero­topic calcification postoperativel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clinical result. Posttraumatic A-C joint arthritis was developed in one case. In that case, the distal clavicular resection was done under the arthroscopic technique. Conclusion: The severe displacement observed with type V injuries is incompatible with normal shoulder function if the shoulder is left in its displaced position. In type V injuries, significant damage to the deltoid and trapezius musculature and overlying fascia occurs, therefore open reduction and good fixation must be obtained with imbrication of trapezius and deltoid muscles. In our type V acute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he modified Bosworth technique provides excellent results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 PDF

한국 성인 남녀 대사증후군 집단의 영양소 섭취와 식사의 질 및 hs-CRP와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Intakes, Dietary Quality, and hs-CRP in Korea Metabolic Syndrome Patients -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김미성;김병숙;이종신;오경재;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5-434
    • /
    • 2018
  • Metabolic syndrom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and type 2 diabe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nutrition intake, meal quality,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Korean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2,536 subjects, aged 19~64, who participated in 2015 National Nutrition Surve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24-hour recall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nutrition intake and dietary quality. Subjects were grouped into either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n=1,938) or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n=598). Total males and femal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 to study its relationship to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cluding odds ratio (OR) and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showed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value was higher in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3.37) than non-metabolic syndrome group (1.57) (p<0.001). In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males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showed higher niacin (p<0.05) than males in metabolic syndrome group. Females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had higher vitamin $B_1$ (p<0.01), vitamin $B_2$ (p<0.001), niacin (p<0.05), calcium (p<0.001), and phosphate (p<0.01). Female in the high hs-CRP group showed high OR in blood glucose component (OR 2.488, 95% CI: 1.269~4.879) and metabolic syndrome risk (OR 2.856, 95% CI: 1.292~6.314). Females in the middle hs-CRP group had high triglycerides component (OR 2.956, 95% CI: 1.920~4.551), compared to the low hs-CRP group. The study showed females with higher hs-CRP had a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치과기공 소음 노출이 치기공과 학생의 스트레스와 순음청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and pure tone audiometry on noise-exposed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by dental instrument)

  • 연정민;이주희;김대현;이옥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63-370
    • /
    • 2016
  • 소음은 원하지 않는 소리로서 소음의 노출은 스트레스와 난청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과 학생의 치과기공 소음 노출에 의하여 스트레스와 순음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박변이도와, 공기전도검사와 골전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치기공과 학생의 나이, 키와 체중은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스트레스의 저항도를 나타내는 심박 표준편차와 부교감신경의 활성과 관련 있는 norm HF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박수, 교감신경의 지표인 norm LF,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공기전도검사 결과 치기공과 학생의 오른쪽 귀의 125, 250, 500, 1000, 2000, 3000, 4000, 6000 Hz와 왼쪽 귀의 125, 250, 500, 1000, 2000 Hz에서 역치와 골전도검사 결과 오른쪽과 왼쪽 모두 250, 500, 1000, 2000, 4000 Hz에서 역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순음청력검사 결과를 4분법을 이용하여 어음영역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치기공학과 학생에서의 역치가 모두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치기공학과 학생들에게 노출된 치과기공 소음에 의해서도 스트레스의 증가와 청력소실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예방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Prediction of Colorectal Cancer Risk Using a Genetic Risk Score: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 Jo, Jae-Seong;Nam, Chung-Mo;Sull, Jae-Woong;Yun, Ji-Eun;Kim, Sang-Yeun;Lee, Sun-Ju;Kim, Yoon-Nam;Park, Eun-Jung;Kimm, Hee-Jin;Jee, Sun-H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0권3호
    • /
    • pp.175-183
    • /
    • 2012
  • Colorectal cancer (CRC) is among the leading causes of cancer deaths and can be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genetic factors. Therefore, we developed a prediction model of CRC using genetic risk scores (GR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conventional risk factors, including family history of CRC, in combination with GRS on the risk of CRC in Koreans. This study included 187 cases (men, 133; women, 54) and 976 controls (men, 554; women, 422). GRS were calculated with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with CRC through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increased by 0.5% to 5.2% when either counted or weighted GRS was added to a prediction model consisting of age alone (AUC 0.687 for men, 0.598 for women) or age and family history of CRC (AUC 0.692 for men, 0.603 for women) for both men and women. Furthermore, the risk of CRC significantly increased for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CRC in the highest quartile of GRS when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a family history of CRC in the lowest quartile of GRS (counted GRS odds ratio [OR], 47.9; 95% confidence interval [CI], 4.9 to 471.8 for men; OR, 22.3; 95% CI, 1.4 to 344.2 for women) (weighted GRS OR, 35.9; 95% CI, 5.9 to 218.2 for men; OR, 18.1, 95% CI, 3.7 to 88.1 for women). Our findings suggest that in Koreans, especially in Korean men, GRS improve the prediction of CRC wh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age and family history of CRC.

지반보강재로서 폐타이어의 활용; (1) 지반보강 효과 (Utilization of Waste Tires as Soil Reinforcement; (1) Soil Reinforcing Effect)

  • 윤여원;최경순;윤길림;김방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07-1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를 활용하여 새롭게 고안한 타이어셀 매트의 모래지반 보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평판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계하시험조건은 셀 간의 연결을 위한 볼트 수, 상대밀도, 복토두께, 보강층수, 타이어셀 매트 폭을 변수로 보강효과를 조사하였다. 재하시험 결과 연결용 볼트의 수는 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의 볼트로 주어진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었다. 보강토의 극한지지력과 무보강토의 극한지지력의 비로 정의되는 지지력비(BCR)는 낮은 밀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극한상태에서의 침하감소효과도 낮은 밀도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토에 따른 보강효과는 복토두께가 1.0B이내에서 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그 이상에서는 보강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강층의 간격이 재하판폭의 0.4내지 0.5배일 경우 보강효과는 보강층이 2층일 때까지는 보강효과가 있으나 3층 이상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강층이 1개층일 때 지지력 증가 효과가 크며 2개층으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율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셀 매트폭이 2.0B에서 최대지지력을 보였으나 매트폭의 영향은 타이어셀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미소하였다. 타이어셀 매트의 지반보강효과는 문헌상의 상업용 지오웹과 비교하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Risk Factor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Pulmonary Embolism Combined with Infectious Disease

  • Lee, Gi Dong;Ju, Sunmi;Kim, Ju-Young;Kim, Tae Hoon;Yoo, Jung-Wan;Lee, Seung Jun;Cho, Yu Ji;Jeong, Yi Yeong;Jeon, Kyung Nyeo;Lee, Jong Deog;Kim, Ho Ch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2호
    • /
    • pp.157-166
    • /
    • 2020
  • Background: Infectious conditions may increase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 for combined infectious disease and its influenc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pulmonary embolism (PE). Methods: Patients with PE diagnosed based on spiral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of the ches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atients who developed PE in the setting of infectious disease or those with PE without infection based on review of their medical charts. Results: Of 258 patients with PE, 67 (25.9%) were considered as having PE combined with infectious disease. The sites of infections were the respiratory tract in 52 patients (77.6%), genitourinary tract in three patients (4.5%), and hepatobiliary tract in three patients (4.5%). Underlying lung disease (odds ratio [OR], 3.69; 95% confidence interval [CI], 1.926-7.081; p<0.001), bed-ridden state (OR, 2.84; 95% CI, 1.390-5.811; p=0.004), and malignant disease (OR, 1.867; 95% CI, 1.017-3.425; p=0.044) were associated with combined infectious disease in patients with PE. In-hospital mortality was higher in patients with PE combined with infectious disease than in those with PE without infection (24.6% vs. 11.0%, p=0.006).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combined infectious disease (OR, 4.189; 95% CI, 1.692-10.372; p=0.002) were associated with non-survivors in patients with PE. Conclusion: A substantial portion of patients with PE has concomitant infectious disease and it may contribute a mortality in patients with PE.

제올라이트(faujasite)를 이용한 치환탈착공정에서 에탄, 에틸렌의 흡, 탈착 동특성 (Adsorption and Desorption Dynamics of Ethane and Ethylene in Displacement Desorption Process using Faujasite Zeolite)

  • 이지인;박종호;범희태;이광복;고창현;박성열;이용택;김종남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768-775
    • /
    • 2010
  • 제올라이트(faujasite) 흡착제가 충진된 흡착탑에서 에탄/에틸렌 혼합가스의 흡착 동특성과 탈착제로 프로판을 이용한 치환탈착 시의 동특성을 실험 및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물질수지와 에너지수지를 고려하고 다성분 흡착평형으로 이상흡착상 모델을 적용한 전산모사는 흡탈착 파과곡선 실험 결과를 잘 예측하였다. 흡착파과 시 에탄의 롤-엎은 흡착압력이 높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에탄/에틸렌 혼합가스로 포화된 흡착탑으로 탈착제인 프로판을 주입하여 치환탈착할 때 탈착단계의 일정 시간 동안에 거의 100%에 가까운 에틸렌을 얻을 수 있었다. 탈착제의 흡착세기는 에틸렌의 탈착 및 재흡착 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판 대신 흡착세기가 강한 이소부탄을 탈착제로 사용한 경우에 탈착단계 후 재흡착에서 에틸렌 흡착용량이 많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전산모사를 통하여 ${(q_s{\times}b)}_{C_2H_4}/{(q_s{\times}b)}_{C_3H_s}$의 비율이 0.83일 때, 즉 탈착제와 에틸렌이 거의 유사한 정도의 흡착세기를 가질 때 치환탈착공정의 성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