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interac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1초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 Interpersonal Competence, Job Stress and Spiritual Wellness)

  • 심봉희;이영숙;안성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75-386
    • /
    • 2016
  • 본 연구는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 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6월1일부터 10월20일이며, 자료수집은 J시에 소재한 G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험군14명, 대조군 15명으로 총 29명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6주간 진행하였고, 간호사의 근무특성상 1주에 3회기를 진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소요된 시간은 60분이었으며, 대조군에게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았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증, Fisher's exact t-test로 분석하였다. 대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은 대인관계 능력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다(F=7.726, p=0.002). 둘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0.142, p=0.851). 셋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은 정신적 웰니스는 시기와 집단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다(F=31.355, p=0.000). 결론적으로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은 임상간호사들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신적 웰니스를 증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반복연구가 시행되어야할 것이다.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on Resilienc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65-271
    • /
    • 2019
  • In this paper,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eveloped so that Multicultural students can adapt to national, school, peer, and teacher. The effects of Resili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op were investigated. The develop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target students became more intimate with each other and adapted to Korean culture, peers, and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Resilience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a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interaction, teacher's interest and support, self - identity, and cultural acceptance. Communication abili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ability, self presentation ability, goal setting ability,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ople's orientation toward people, facing people, and away from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effects on adaptive flexi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with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various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Research on Storytelling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Cinema through the Process of Image Abstraction: A Case Study of 'AR Campus Diary'

  • Tae-E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62-269
    • /
    • 2024
  • The "AR Campus Diary" project innovates in the realm of art through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AR) with interactive storytelling, fostering personal and interpersonal development through artistic expression. This artistic endeavor metaphorically represents the growth and fruition of individual stories, facilitated by a series of progressive art activities that emphasize continual intera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 university campus, the project employs AR markers designed to unfold stories in phases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llowing participants to experience and influence the narrative uniquely. Diverging from traditional film editing techniques, "AR Diary" offers viewers the autonomy to navigate through story segments of their choosing, marking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 cinematic storytelling by leveraging marker-based plot progression. This project not only showcases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art but also pioneers a participatory form of art education based on engagement and play.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성미경;이유희;윤정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51
    • /
    • 2020
  • 치위생과 학생들은 임상 현장에서 치과의사 및 환자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며, 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여 유능한 치과위생사 양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M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 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유의수준은 .05,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5.0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 조사결과, 인간관계 정도와 새로운 환경 적응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간관계정도(p=.019)와 새로운 환경 적응도(p=.001)가 유의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임상현장에서의 대인관계 능력이 중요 시 됨을 감안할 때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서비스 종업원의 매력성이 대인신뢰와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ractiveness of Service Employee's on Interpersonal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 김유경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0호
    • /
    • pp.23-34
    • /
    • 2019
  • Purpose - Most past studies related to this focused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service employees, but this study emphasizes the social attractiveness and not just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employe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categorize attractiveness as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ocial attractiveness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social attractiveness for service industry employees. Secondly, this study aimed at verifying the impact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ocial attractiveness on interpersonal trust. Third, it aimed at revealing the impact of interpersonal trust on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satisfaction on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stomers that used beauty salon services, among the various service industri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lso, hypothesis was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ethod using Amos 20.0. Results - When presenting the results on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it was found that physical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attractiveness. Second, while physical attractiveness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trust, social attractiv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trust. Such results show that in forming interpersonal trust, social attractiveness was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attractiveness for service industry employees. This result is in contrast with the results of past studies, but it is different in that previous studies suggested only physical attractiveness and did not present social attractiveness in the hypothesis. Thir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trust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hile satisfaction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loyalty. Conclusions - The bigges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social attractiveness, which was rarely dealt with in past studies.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ocial attra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service industry, the role of human elements such as service employees is important and that in addition to physical attractiveness, social attractiveness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can also be an important strategic element.

Dynamic Web Pages Personalization using Intimacy Theory

  • Kim, Ji-Hwa;Byurn, Hyun-Soo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4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150-153
    • /
    • 2004
  • ■ Face-to-face ■ Object-medium-object ·Digital interaction with Internet ■ Setting Interpersonal Distance · Intimacy theory · Web interface development(omitted)

  • PDF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조절효과 (Use of the Internet and Internet addiction of youth in th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control of the pursuit)

  • 유병혁;김수민;강일모;백현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9-318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요인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각추구와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 13.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계수산출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절회귀분석(MMR)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추구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인터넷 사용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관계와 감각 추구는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여성에 대한 에니어그램상담 단일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of Enneagram Counseling for Adult Women Experiencing Interpersonal Conflict)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3-298
    • /
    • 2022
  •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상담기법을 활용하여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여성을 상담한 사례연구이다. 에니어그램상담을 통해 내담자는 현재 직장에서 겪고 있는 대인관계 어려움에 대해 감정과 생각을 억압하지 않고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현재 과제를 중심으로 가장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집착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대인관계의 어려움은 자아의 왜곡된 감정과 생각 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에니어그램상담 과정 동안 내담자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새로운 의사소통방식을 이해하고, 자신감 회복을 위해 성격변화와 사회생활 속에서 교류방식 및 태도 변화를 실천하고 직장 동료와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ource's Social Distance on Consumer's Responses to Corporate Facebook Pag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blatant persuasive intention, n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

  • 김하림;조창환
    • 광고학연구
    • /
    • 제25권5호
    • /
    • pp.7-42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즉 메시지 태도와 온라인 구전의도(e-WOM)를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의 주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n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 정보적 대인민감성(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사회적 거리감 원/근)${\times}2$(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고/저)${\times}2$(규범적 대인민감성 고/저)${\times}2$(정보적 대인민감성 고/저)의 요인 설계를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먼 경우보다 메시지 태도와 온라인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가 낮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메시지 태도, 온라인 구전의도 각각에 대한 차이가 크게 나타난 반면,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가 높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 효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규범적 대인민감성과 사회적 거리감 각각은 광고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아, 규범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보적 대인민감성이 높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메시지 태도와 온라인 구전의도 각각에 대한 차이가 크게 나는 반면, 정보적 대인민감성이 낮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의 광고 효과에 관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 차원에서도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와 관련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초 정보로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학교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chool Stress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Adolesc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s)

  • 임경빈;이봉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01-710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를 탐색하고, 그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노표현양식의 하위변인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10월 충북 소재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 척도와 분노표현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1개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이 대인관계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서 학교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영역 중 통제지배를 분노표출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에서 학교스트레스와 분노 감정을 다루는 방식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예방 교재의 개발 및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