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factors

검색결과 837건 처리시간 0.027초

성과요인과 개인성과 평가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factors and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 김재붕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의 종업원의 성과요인을 개인적, 조직적, 제도적 요인으로 나누고 이에 따른 성과평가결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41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와 AMOS를 이용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과 요인 중 직무 만족과 공정한 성과제도는 개인성과 평가결과에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보였고, 안정적 대인관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직무 만족(β= 0.432, t= 7.375***)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공정한 성과제도(β= 0.127, t= 2.406*)가 그 다음이었다. 이는 성과 원인이 직무에 만족 한 경우와 조직의 성과제도가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안정적 대인관계 즉, 다른 사람들로부터 원만한 관계를 하고 심리적 안정이 동반되는 대인관계는 성과요인이 아님이 밝혀졌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요인에 대한 논의, 그리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 전원희;차경숙;이기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6-28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through December 2013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surveyed the level of gra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41,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55, p<.001).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53,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37, p<.001).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included gratitude (${\beta}=.38$,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28$, p<.001) and major satisfaction (${\beta}=.17$, p=.002).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9.3% of subjective happiness.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cluded gratitude (${\beta}=.42$, p<.001), academic achievement (${\beta}=.15$, p=.006),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16$, p=.008) and major satisfaction (${\beta}=.12$, p=.035).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5.3%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gra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보건계열 대학생의 인성과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effected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college)

  • 전미진;노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33-442
    • /
    • 2018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보건계열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평균 3.49점(1-5점), 대인관계는 평균 3.40점(1-5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33점(1-5점)으로 중간수준이었다.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과 인성(r=.62, p<.001), 대학생활 적응과 대인관계(r=.80, p<.001), 전공만족과 대학생활 적응(r=-r=-.3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수준을 보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인성의 행동영역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F=102.97).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학 교육과정 내의 인성교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본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관계 (Convergenc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임은정;이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79-28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은 3.36점, 임상실습스트레스는 2.80점, 임상수행능력은 3.48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으로 설명력은 26.4%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시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체중걱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Weight Concer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 서가원;김태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1-4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체중걱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D시와 C도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검정, 일원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별, 성격, 생활만족도와 체중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격 중 긍정적인 그룹(β=.31, p=.027), 심리적 안녕감(β=.21, p=.022)과 자아존중감(β=.24, p=.007)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대인관계 유능성을 25.2% 설명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중고등학교급별 비교 (Th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of Interpersonal Skills on Impulsivity, Aggression and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n School levels)

  • 권재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87-98
    • /
    • 2010
  • 본 연구는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중고등학교급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연구모형에 제시된 5개의 경로[(충동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충동성$\rightarrow$게임중독), (공격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공격성$\rightarrow$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rightarrow$게임중독)]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변인인 충동성과 공격성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 역할을 하며, 대인관계기술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의 높고 낮음이 게임중독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매개효과도 입증되지 않은 반면, 고등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게임중독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대인관계기술을 증진해주는 개입방안은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 전공 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와 자기통제력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control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김다희;조자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5-523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artment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departmen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β=0.609), volunteer activities_dummy 1 (No/Yes) (β=0.131), and year_dummy 3 (1/4) (β=0.128). The most deterministic factor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7%.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n department satisfaction needs to be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adequate measures and programs to enhance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between Associate and Bachelor Nursing Students)

  • 구현영;임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1-321
    • /
    • 2013
  • 본 연구는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를 확인하고,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비교하기 위해 두 도시의 1개 전문대학 간호과와 2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다니는 2~4학년생 420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년제와 4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는 자존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전공만족도와 유의한 순 상관 관계가 있었다.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였고, 26.8%를 설명하였으며, 4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성별이었고, 31.9%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 등의 영향 요인을 기초로 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신체비교와 신체만족도가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존감의 매개효과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Influence on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 위은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09-218
    • /
    • 2015
  •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s and teaching programs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in the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analyzed adolescents'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related in the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med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87 adolescents in Gwangju.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 19.0 for Windows: frequency, mean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effected the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sson plans and teaching programs related to awareness, and improve appearance. A body comparison with similar aged people did not affect self-esteem;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body satisfaction because it affects self-esteem. Self-esteem was also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adaptation of body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b-factors, adaptation of relationships with friends, adaptation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daptation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It is important that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s key factor in planning training programs, and improving the capacity of adolescents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젊은 성인에서 대인관계문제 및 신체불만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Body Dissatisfaction on Suicidal Idea of Young Adults)

  • 이재민;김정란;왕성근;지익성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3-169
    • /
    • 201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body dis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 Methods : Two hundred ninety-four participants filled out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 Body dis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Body Dysmorphic Disorder Examination-Self Report (BDDE-SR) ; Interpersonal problems was measured with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was used to assess suicidal idea.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body dis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s. Results : 'Socially inhibited (KIIP_C4)', 'overly-accommodating (KIIP_C6)', age, and gender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body dissatisfaction, and those factors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suicidal ideas. Also, 'cold (KIIP_C3)' and body dis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icidal idea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can help to identify how interpersonal problems and body dissatisfaction influence the suicidal ideas of people. It would be useful to consider and assess suicidal ideas in the patients with 'cold (KIIP_C3)', 'socially inhibited (KIIP_C4)', 'overly-accommodating (KIIP_C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