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Satisfaction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students)

  • 조은희;김현숙;황순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0-29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9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two universiti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 2019 to November 1, 2019.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measuring tool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and empathy. SPSS/23.0 program was used. The analysi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tests. Results: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nursing major satisfaction (t=8.25, p<.001), and last year's average grade (t=7.29,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2.51, p=.013) and nursing major satisfaction (t=10.99, p<.001).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r=.37, p<.001),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r=.77, p<.001),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 (r=.43, p<.001)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empath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Z=2.97, p<.001), and explanatory power was 62%. Conclus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ersonalized and empathy-enhanced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ade.

의과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Medical School Life)

  • 전수경;박귀화;송필현;배영경;김성용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3호
    • /
    • pp.174-17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personal variables,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t a medical school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medical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a medical school. The Dundee Ready Medical Environment Measure (DREEM) and the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were used. Questions measuring satisfaction of medical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with senior/junior students, and with friends) were asked using a 5 point Like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tisfaction of medical school life of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increased with years of schooling. In DREEM, the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s decreased by school years. The relationship with senior and junior students of third year students was higher than other school year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satisfaction of medical school life show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senior and junior students, the students' social self-perception,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medical schools in their plans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happiness and successful academic achievements of their students.

세종특별자치시 의용소방대원의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mpacti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Volunteer Firefighter's Satisfaction in Sejong City Upon their Activities as a Volunteer Firefighter)

  • 김선웅;이원주;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96-103
    • /
    • 2016
  • 본 논문은 의용소방대원의 참여동기, 대인관계, 인정 및 보상 요인이 의용소방활동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세종특별자치시의 의용소방대원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의 빈도분석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더하여 참여동기, 대인관계 그리고 인정 및 보상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참여동기, 대인관계, 인정 및 보상 요인 모두는 유의확률 0.05 이하에서 전반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동기, 인정 및 보상 요인, 대인관계의 순서로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rom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김나원;고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36-648
    • /
    • 2016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아이돌봄사업의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S특별시 지역 아이돌보미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일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일부는 영향이 없었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 대인관계특성, 직무만족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근무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인관계특성은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관계, 이용자가족 관계, 돌봄대상아동 관계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치위생과 학생의 인성과 대인관계 (Personal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신명숙;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2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과 대인관계가 어느 정도 인지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조사는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인성은 3.42점, 대인관계는 3.46점이었으며, 일반적으로 대인관계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인성과 대인관계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p<.001). 임상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대인관계 중 친구관계와 교수관계에 대한 점수는 낮았다. 인성의 하위영역 중 도덕성과 사회성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r=.674), 대인관계에서는 친구관계와 교수관계가 높은 상관관계(r=.606)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예비 치과위생사인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치과의료 현장 적응을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인성과 대인관계 함양에 대해 대학에서도 장기적인 전략과 지속적인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며, 치과위생사의 직무와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주부의 대인적 지지, 생활긴장감 및 만족도 (Interpersonal support, Tension in life changes & Life satisfaction in Urban Housewives)

  • 오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4호
    • /
    • pp.83-8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personal support, tension in lifechanges & satisfaction. The selected sample is composed of 387 housewives in ChongJoo city. SAS pc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F-test, percentage, mea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s follows: 1)At wedding & funeral ceremony, kin networks of her parents & parents-in law side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tension in life changes. And the number of social organization participated were a variable to ha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The age of couple, education of couple, duration of marriage, income, family lifecycle, the number of children, pattern of family were variables to influence tension in life changes, but were not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2) At usual or wedding & funeral ceremony, kin networks of her parents side were variables to influence on instrumental & companionship support. And the number of friends was a variable to influence on companionship & informational support. The number of neighbors was a variable to influence on instrumental, companionship & informational support. The number of social organization participated was a variable to influence on companionship & emotional support. The age of couple, education of couple,income, duration of marriage, family life cycle, number of children, family size, family type were variables to influence on interpersonal support. 3)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on and satisfaction in life changes was negative, and between instrumental support and satisfaction was negative also. But between companionship support and satisfaction was positive relationship and between tension of personal &social life and instrumental support was positiv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on of marriage life and companionship support was negative and between tension of family life and information support was negative relationships. The received companionship support was lower tension in life changes than not received it. But the received instrumental support was higher tension of personal & social life. The received companionship & informational support was higher satisfaction than not received them. But the received instrumental support was lower satisfaction than not received it. 4) Instrumental & companionship support, at usual kin network of her parents in taw side, at wedding & funeral ceremony kin network of her parents side,were variables to influence on tension in life changes. Instrumental, companionship& informational support, at wedding & funeral ceremony kin network of her parents side, were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외식 기업 종사원의 신체적 매력도와 대인관계, 직무만족도, 조직시민행동과의 인과관계 연구 - 성별과 기업 형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mployees' Physical Attractiveness in Foodservice Compan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s of Gender and Company Types -)

  • 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126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외식 기업 종사원의 신체적 매력도가 대인관계, 직무만족도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별과 기업 형태의 조절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553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3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 적합도는 $x^2$(df 179)=627.230, p<0.01, CMIN/DF=3.504, RMR=0.228, GFI=0.903, AGFI=0.875, NFI=0.935, CFI=0.953, RMSEA=0.067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외식 기업 종사원의 얼굴($\beta=0.213$) 과 체형($\beta=0.111$)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대인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의적인 대인관계($\beta=0.375$)도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종사원의 긍정적인 직무 만족도($\beta=0.756$) 또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 기업 종사원의 인지된 신체적 매력도와 대인관계, 직무만족도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성별과 기업 형태의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유리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이며,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및 긍정 별칭 만들기, 2~5회기는 열등감과 낙담시키는 생각 버리기, 성공 경험 포스터 전시회, 장점 나무 만들기, 6~7회기는 자기 격려와 타인 격려, 8회기는 종결하기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I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40명이며, 한 학급 21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19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인관계 만족도 척도(김진옥, 2010), 자기효능감 척도(한혜진, 2002),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 전귀연, 1993)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격려 프로그램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아들러 심리학의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 기법인 격려가 건강한 발달 및 민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중요한 교육 철학이자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 최민경;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07-21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학 중인 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학교생활만족도,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이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의 학습자신감, 학습열정, 학습책임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학습책임감, 학습열정, 학습자신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대학 교육 현장에서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생에 대한 교육 서비스, 학습 지원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및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충북 ○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mpact of volunteers' participation motiv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volunteer satisfaction - Fucusing on ○-gun in Chungcheongbuk-do -)

  • 강희진;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및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중부권 ${\bigcirc}$군에 소재한 자원봉사단체 회원 313명이며, 2014년 4월2일부터 8월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는 여성, 고학력, 기혼자의 봉사활동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역특성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는 장기거주자, 봉사활동이 지역발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높은 봉사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 활동 참여동기가 높은 자원봉사자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자들의 대인관계가 원만할수록 봉사활동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봉사활동 참여동기와 대인관계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향후 자원봉사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정책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