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419

The Effects of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Yu, Li-Hyang (서울신남초등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8 sessions: 1st session was for introducing programs and making positive nicknames, 2nd~5th sessions were for abandoning inferiority and discouraged thoughts, displaying posters of success experiences, creating merit trees, 6th~7th sessions were for self-encouragement and other people encouragement, 8th session was for closing the program. Subjects were 40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t I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21) and a control group(N=19).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cale(Kim, 2010), Self-efficacy scale(Han, 2003) and Self-esteem scale(Choi & Jeon, 1993).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ut didn'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e encouragement, a key technique in Adlerian psychology,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hilosophy and method for healthy development and democratic class management.
Keywords
Adler; Encouragement Program;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Self-este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대현,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 J. R. Bitter, M. A. Sonstegard, and P. Pelonis, Adlerian group counseling and therapy: Step-by-step, Brunner-Routledge, 2004.
3 정지선, 마음챙김에 기반한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 R. Dreikurs, B. B. Grunwald, and F. C. Pepper, Maintaining sanity in the classroom: Classroom management techniques(2nd ed.), Accelerated Development, 1998.
5 이순옥, 격려집단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 신지희, 김광운, 이숙자,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제19권, 제3호, pp.617-632, 2012.
7 정지운,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김진옥, 대인관계향상 훈련이 초등학생의 갈등해결방식과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송리나, 초등학생을 위한 학급 단위 격려 중심 연극놀이 기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은혁기,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인식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1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2 L. Losoncy, Handbook of innovative therapy, John Wiley & Sons Inc, 2001.
13 D. Jr. Dinkmeyer and J. Carson, Consultation: Creating school-based interventions, Routledge, 2006.
14 정은숙,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R. Dreikurs and V. Soltz, Children: the challenge, Hawthorn books, 1964.
16 신은정, 격려집단상담프로그램이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존감, 우울, 자살사고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7 허정철,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639-648, 2021.   DOI
18 김재희, 격려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A. Adler,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In H. Ansbacher & R. Ansbacher (Ed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20 신봉석,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1 문은주, "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27권, 제1호, pp.19-44, 2019.
22 김순례, 중학생 자기격려가 사회적 관심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3 강지영,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4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 & 진단, 제421권, pp.1-25, 2020.
25 고지영, 비폭력 대화기법을 활용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6 R. Bahlmann and D. L. Dinter, "Encouraging an self-encouragement: effect study of the encouraging-training Schoenaker-concept," J. of Individual Psychology, Vol.57, No.3, pp.273-288, 2001.
27 나성곤,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L. A. Hjelle and D. J. Ziegler, Personality theories, McGraw-Hill Book Co, 1981.
29 노안영, 오익수, 강만철, 김광운, 강영신, 정민, 임수진, 유리향, 개인심리학적 상담: 아들러 상담, 학지사, 2021.
30 E. D. Ferguson, Adlerian theory: An introduction,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2006.
31 H. Pomeroy and A. J. Clark, "Self-Efficacy and Early Recollections in the Context of Adlerian and Wellness Theory," J. of Individual Psychology, Vol.71, No.1, pp.24-33, 2015.   DOI
32 L. Sperry and V. Binensztok, Learning and Practicing Adlerian Therapy, Cognella, 2018.
33 김경희,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4 강경미, 격려 프로그램이 아동의 열등감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5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 최기홍,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2권, 제1호, pp.251-270, 2013.
36 유리향, 선영운, 오익수, 교사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 학지사, 2018.
37 D. Dinkmeyer and D. Eckstein, Leadership by encouragement. St. Lucie Press, 1996.
38 김춘경, 아들러 아동 상담: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39 안영민, 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0 박순하, 그림책을 활용한 격려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1 양미옥,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2 R. Dreikurs, Social equality: The challenge of today,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1971.
43 S.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ise,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44 D. Dinkmeyer and L. Losoncy, The skill of encouragement, CRC Press LLC, 1996.
45 J. Yang, A. Milliren, and M. Blagen,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10.
46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1093-1106, 2006.
47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8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Freeman, 1967.
49 A. W. Pope, S. M. McHale, and W. E. Craighead,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Pergamon Press, 1988.
50 권선경, 이지연, 장진이,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87-106, 2015.
51 김현숙,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475-486, 2020.   DOI
52 A. Lew and B. L. Bettner, Responsibility in the Classroom: A teacher's Guide to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Students(revised edition), Connexions Press, 1998.
53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전한가," 이슈 & 진단, 제414권, pp.1-25, 2020.
54 T. Kottman and K. Meany-Walen, Partners in Play: An Adlerian Approach to Play Therapy(3rd ed.),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6.
55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696-706, 2021.   DOI
56 최보가, 전귀연,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2호, pp.41-54, 1993.
57 안현주,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8 김학미, 김광수, "가정연계 칭찬.격려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제11권, 제1호, pp.1-2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