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1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35초

Associations between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of the interleukin-18 gene and breast cancer in Iraqi women

  • Zakariya, Bilal Fadil;Almohaidi, Asmaa M. Salih;Simsek, Secil Akilli;Kamal, Areege Mustafa;Al-Dabbagh, Wijdan H.;Al-Waysi, Safaa 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0권2호
    • /
    • pp.18.1-18.7
    • /
    • 2022
  • According to long-term projections, by 2030, the world's population is predicted to reach 7.5 billion individuals, and there will be roughly 27 million new cancer cases diagnosed. The global burden of breast cancer (BC) is expected to rise.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Iraqi Cancer Registry, cancer is the second largest cause of death after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leukin-18 (IL18)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607C/A rs1946518 and -137G/C rs187238 using the sequence-specific amplifica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pproach. Regarding the position -607C/A,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expected frequencies in patients and controls (χ2 = 3.16 and χ2 = 16.5), respectively. The AA and CA genotype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BC risk (odds ratio [OR], 3.68; p = 0.004 and OR, 2.83; p = 0.04, respectively). Women with the A allele had a 5.03-fol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BC. The C allele may be a protective allele against BC (OR, 0.19). Although position -137G/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C genotype distribution (p = 0.18), the frequency of the CC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s. In contrast,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GC genotypes than controls (p = 0.04),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BC (OR, 2.63). The G allel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s (55.0% vs. 76.2%, respectively). This SNP may be considered a common genotype in the Iraqi population, with the wild-type G allele having a protective function (OR, 0.19) and the mutant C allele having an environmental effect (OR, 2.63).

맥문동 물 추출물의 선천면역 활성과 염증억제 효과 (The Effects of Liriopis Tuber Water Extract on Innate Immune Activation and Anti-Inflammation)

  • 강누리;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28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anti-cancer activity by innate immunomodulat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riopis tuber water extract (LPE). Methods: Cell cytotoxicity was tested with 4T1 mouse mammary carcinoma cells, spleen cells, macrophage, and RAW264.7 cells. To investigat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LPE on macrophage, we measur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12 (IL-12), and interleukin-10 (IL-10). To investigat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LPE on RAW264.7 cell, we measured TNF-α, interleukin-6 (IL-6). In addition, TNF-α and nitric oxide (NO)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were measured after treating with LPE to observ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 of LPE on RAW264.7 cell. Also,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nuclear factor κB (NF-κB)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LPE affected tumor cell growth above specific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of TNF-α, IL-12, and IL-10 were increased in macroph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of TNF-α and IL-6 were increased in RAW 264.7 cell. The expression of TNF-α and NO induced by LPS after treating LPE was decreased. In addition, treatment of RAW 264.7 cell with LPE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p-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 p-Jun N-terminal kinase (p-JNK), and p-p38. Conclusions: LPE might have impact on the anti-cancer effect by activation of innate immune system and inflammation control.

천년초 뿌리의 항산화 및 염증 매게 물질 조절 효과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ediators Regulation Effects of the Roots of Opuntia humifusa)

  • 김예진;박찬익;김수진;안은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80% MeOH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EtOAc Fr., n-BuOH Fr. 및 $H_2O$ Fr. 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scavenging 방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든 분획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중 OHRE 분획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179.3 mg/g)을 나타내었고, $IC_{50}$ 값이 DPPH는 $77.0{\pm}1.38{\mu}g/mL$, ABTS는 $26.3{\pm}2.02{\mu}g/mL$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과는 PMACI로 HMC-1 cells에 염증을 유발시킨 뒤 천년초 뿌리 분획물을 처리하여 TNF-$\acute{\alpha}$를 비롯해 IL-$1{\beta}$, IL-6, IL-8등의 염증 매게 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뿌리는 높은 항산화 활성과 및 염증 매게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uteolin의 IL-1β에 의한 MCP1 단백질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teolin on IL-1β-Induced MCP1 Protein Expression)

  • 임준희;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4-519
    • /
    • 2009
  • 혈관벽에 단핵구, 대식세포 등의 세포와 지질 등의 축적은 중요한 동맥경화 발병 요인이다. 이들 세포의 혈관벽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chemokine인 MCP1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평활근세포에서 $IL-1{\beta}$의 처리에 의하여 MCP1의 발현이 증가되는 기전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IL-1{\beta}$의 처리는 전사인자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해 MCP1 발현을 전사단계에서 증가시켰다. 이러한 $IL-1{\beta}$에 의해 증가된 MCP1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여러 항염증작용을 하는 물질들을 전처리하여 확인해 본 결과 luteolin이 선택적으로 $IL-1{\beta}$에 의해 증가된 MCP1의 발현을 전사단계에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전사인자 $NF-{\kappa}B$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Luteolin이 염증작용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본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고 이는 식용식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luteolin이 어떠한 기전으로 항 염증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이 흑색종(黑色腫)의 폐전이(肺轉移) 억제(抑制)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ungsangbohahwan on Murine Melanoma-induced Lung Metastasis)

  • 하지용;유병길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9-175
    • /
    • 1998
  • 1. 연구배경 최근 놀라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병이라고 생각되어 오던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어 가고 있으나 평균수명의 연장,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고지방식, 스트레스 및 과학기술발전의 부작용 등을 이유로 새로운 질환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양도 이런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로 최근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투자를 해왔으나 아직까지 그 발생원인이나 성장기전 등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후(哮吼)를 치료하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을 이용하여 흑색종의 폐전이 억제능과 이에 의한 면역증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2. 연구결과 B-16 세포를 이용한 C57BL/6계 마우스에 있어서의 폐전이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검액처리 7일후에는 52.70%, 14일후에는 19.43%의 유의성있는 억제율을 보였으며,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B-16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항암작용을 알아 보기 위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용량이 $5{\mu}g/well$, $2.5{\mu}g/well$, $1.25{\mu}g/well$, and $0.625{\mu}g/well$인 경우 유의성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었으며 생존율에 의한 $IC_{50}$$2.17{\mu}g/well$이었다. NK-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작동세포와 표적세포의 비율이 100:1, 50:1의 경우에 있어서 $72.63{\pm}5.17%$, $26.94{\pm}2.43%$를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1.12%, 43.68%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은 $1392.00{\pm}22.31pg/ml$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4.04%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 PDF

소양인(小陽人) 인동등지골피탕(忍冬藤地骨皮湯)이 중소합병증(中消合倂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s of Soyangin Indongdeungjikolpitang on the Complication of Diabetes)

  • 서용배;송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6-200
    • /
    • 2000
  • 소양인(少陽人) 인동등지골피탕(忍冬藤地骨皮湯)이 중소(中消) 합병증(合倂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장관운동(腸管運動)을 억제(抑制)하였다. 2. Acetic acid에 의한 writhing syndrome을 억제(抑制)하였다. 3. Evans blue에 의한 모세혈관투과성(毛細血管透過性)을 억제(抑制)하였다. 4. Histamine에 의한 급성족부종(急性足浮腫)을 억제(抑制)하였다. 5. Cotton pellet에 의한 육아종(肉芽腫) 형성(形成)을 억제(抑制)하였다. 6. 흉선세포(胸線細胞) 및 비장세포(脾臟細胞)의 세포생존율(細胞生存率)을 증가(增加)시켰다. 7. 흉선세포(胸線細胞)로부터 ${\gamma}-IFN$ 및 IL-2의 분비(分泌)를 억제(抑制)하였다. 8. 비장세포(脾臟細胞)로부터 IL-4의 분비(分泌)는 증가(增加)시켰으나, $TNF-{\alpha}$$IL-1{\beta}$의 분비(分泌)는 억제(抑制)하였다. 9. 복강(腹腔) 대식세포(大食細胞)로부터 $TNF-{\alpha}$, $IL-1{\beta}$ 및 nitric oxide의 분비(分泌)를 억제(抑制)하였다. 10. 복강(腹腔) 대식세포(大食細胞)의 lucigenin chemiluminescence 및 FITC-conjugated E. cole engulfment를 촉진(促進)하였다. 이상의 실험(實驗) 결과(結果) IJTE는 장관운동(腸管運動)을 억제(抑制)하였으며, 진통(鎭痛) 및 항염작용(抗炎作用)을 나타냈고, 이들 작용은 면역세포(免疫細胞)로부터 $TNF-{\alpha}$, $IL-1{\beta}$ 및 nitric oxide의 생성(生成)을 억제(抑制)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機轉)에 의하여 인동등지골피탕(忍冬藤地骨皮湯)은 중소(中消) 합병증(合倂症)의 하나인 염증(炎症)을 억제(抑制)하는데 유효(有效)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동충하초(冬蟲夏草) 약침(藥鍼)이 백서(白鼠)의 기관지평활근(氣管支平滑筋) 장력(張力)과 염증(炎症) 및 면역(免疫) 반응(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Mycelia(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on airway smooth muscle, airway inflammation, IgE and Interleukin-4 in mouse model of allergic bronchial asthma)

  • 윤대환;최관준;채우석;나창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2호
    • /
    • pp.111-123
    • /
    • 2004
  •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Cordyceps militaris Mycelia(CMM) has an effect on deficiency allergic asthma(虛喘) clin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oriental treatment and the doses of CMM to treat asthma. Methods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f the CMM on allergic asthma, the mouse were pretreated by 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2 days later Mice were actively sensitized with a subcutaneous injection of ovalbumin(OA) and 13 days later they were provoked with OA aerosols. IL-4, lymphocyte, macrophag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IgE in serum, WBC, RBC, HGB in blood, and in vitro isometric contractile responses of the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TSM) to acetylcholine$(ACh,\;0.1-1000\;{\mu}M)$, KCl were measured. Results : Contractile responses of TSM to A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group $(Ach\;1000\;{\mu}M)$, CMM herbal acupuncture 2 group $(ACh\;1,\;10\;{\mu}M)$,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Ach\;0.3,\;1,\;30,\;300\;{\mu}M)$. The sensitivity of TSM to A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A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3 group.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KC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2, 3 group. The counts of lymphocytes in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The counts of macrophages in BAL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Interleukin-4 level in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3 group. and it was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2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Serum Ig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2, 3 group. The counts of WBC in blo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3 group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assumed that 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can help the treatment of deficiency allergic Asthm.

  • PDF

닭의 전염성 F낭병 바이러스 유전자백신에 의한 방어 면역에 Genetic Adjuvant (Chicken Interleukin-6)와 Chemical Adjuvant (Levamisole)의 효과 (Efficacy of Genetic Adjuvant (Plasmid-Expressed Chicken Interleukin-6) and Chemical Adjuvant (Levamisole) on the Protective Immunity of Genetic Vaccine against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 박정호;성환우;윤병일;박선일;권혁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1-98
    • /
    • 2009
  • 닭의 전염성 F낭병 바이러스(IBDV)가 원인 바이러스인 전염성 F낭병은 전 세계 양계산업에 경제적으로 피해가 큰 중요한 질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닭에서 IBDV에 대한 방어면역을 유도하기 위한 in ovo 초회항원자극(priming)과 불활화백신에 의한 보강접종 방법에 항원보강제(adjuvant)로 chicken interleukin 6 (pcDNA-ChIL-6;plasmid encoding chicken interleukin-6)와 levamisole (LMS)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IBDV의 VP2, VP, VP3 prote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백신인 plasmid DNA vaccine (pcDNA-VP243) 단독 또는 pcDNA-ChIL-6 또는 LMS와 함께 18일령 부화란의 양막낭(amniotic sac)에 접종하고 부화한 1주령의 병아리에 불활화 IBD 백신을 근육 접종한 다음 3주령에 고병원성 IBDV인 SH/92 주로 공격 접종하고 10일 동안 관찰하였다. 백신하지 않은 공격접종 대조군이 100%의 폐사율을 보인 반면 pcDNA-VP243 단독 접종군과 pcDNA-VP243에 pcDNA-ChIL-6 또는 LMS를 첨가한 실험군은 모두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공격접종 후 F낭의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IBDV RNA의 검출, B/B ratio와 F낭의 병변지수(lesion score) 등을 분석한 결과 pcDNA-VP243에 pcDNA-ChIL-6 또는 LMS를 첨가한 실험군은 pcDNA-VP243 단독 접종군보다 향상된 방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실험결과는 유전자백신에 의한 in ovo 초회항원자극-불활화백신에 의한 보강접종법이 고병원성 IBDV로부터 닭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었으나 pcDNA-ChIL-6 또는 LMS의 첨가로 인한 방어효과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IL-1 Receptor Antagonist Reduced Chemical-Induced Keratinocyte Apoptosis through Antagonism to IL-1α/IL-1β

  • Lee, Hyejin;Cheong, Kyung Ah;Kim, Ji-Young;Kim, Nan-Hyung;Noh, Minsoo;Lee, Ai-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4호
    • /
    • pp.417-423
    • /
    • 2018
  • Extracellular interleukin 1 alpha (IL-$1{\alpha}$) released from keratinocytes is one of the endpoints for in vitro assessments of skin irritancy. Although cells dying via primary skin irritation undergo apoptosis as well as necrosis, IL-$1{\alpha}$ is not released in apoptotic cells. On the other hand, active secretion has been identified in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IL-1ra), which was discovered to be a common, upregulated, differentially-expressed gene in a microarray analysis performed with keratinocytes treated using cytotoxic doses of chemical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IL-1ra, particularly extracellularly released IL-1ra, was involved in chemically-induced keratinocyte cytotoxicity and skin irritation. Primary cultured normal adult skin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cytotoxic doses of chemicals (hydroquinone, retinoic acid, sodium lauryl sulfate, or urshiol) with or without recombinant IL-1ra treatment. Mouse skin was administered irritant concentrations of hydroquinone or retinoic acid. IL-1ra (mRNA and/or intracellular/extracellularly released protein) levels increased in the chemically treated cultured keratinocytes with IL-$1{\alpha}$ and IL-$1{\beta}$ mRNAs and in the chemically exposed epidermis of the mouse skin. Recombinant IL-1r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chemically-induced apoptotic death and intracellular/extracellularly released IL-$1{\alpha}$ and IL-$1{\beta}$ in keratinocytes. Collectively, extracellular IL-1ra released from keratinocytes could be a compensatory mechanism to reduce the chemically-induced keratinocyte apoptosis by antagonism to IL-$1{\alpha}$ and IL-$1{\beta}$, suggesting potential applications to predict skin irritation.

키토산이 Th1과 Th2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Production of Th1 and Th2 Cytokines in Mice)

  • 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1-4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이 마우스에서 Th1과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키토산에 의한 IL-2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FN-$\gamma$ 생성의 변화, 그리고 키토산에 의한 IL-4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L-10 생성의 변화를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LPS, Con A, PHA-P와 같은 세포자극물과 키토산이 함께 작용되었을 때 상기 사이토카인의 생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1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농도의 키토산에 의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 Con A와 같은 세포자극물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IL-2와 IFN-$\gamma$의 생성은 큰 상승을 나타냈으며 LPS의 경우 키토산에 의해서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증폭되었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IL-10의 생성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에 의한 IL-4와 IL-10의 상승이 키토산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부터 키토산이 LPS와 같은 세균독소가 존재하는 가운데 Th1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에 따른 면역반응 환경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앞으로 키토산에 대한 더 많은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되면 임상에서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용될 가능성도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