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Capabilities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Ambidextrous Innovation on Firm's Competitiveness

  • SIJABAT, Eduard Alfian Syamsya;NIMRAN, Umar;UTAMI, Hamidah Nayati;PRASETYA, Arik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711-721
    • /
    • 2021
  •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generating from empowering its dynamic capabilities is very important for established companies and new business ventures in facing intense competition and in responding to unanticipated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of a new business venture and its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ambidextrous innovation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new business venture. Data was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from 143 new Indonesian shipping agency companies that spread over two-thirds of Indonesia's territory and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ynamic capabilities of new business ventur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petitive advantage but not significant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empowering a new business venture's dynamic capability is not sufficient to generate a competitive advantage. However, a new business venture's dynamic capability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mpetitive advantage when mediated by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ambidextrous inno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new business venture can be gained from empowering a firm's dynamic capabilities through mediating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ambidextrous innovation in facing intense competition and in responding to unanticipated environmental changes.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자원이 기술혁신성과와 기술혁신 양면성에 미치는 영향;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Ambidextrous Innovation; with Meditation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 이완재;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33-150
    • /
    • 2017
  • 국내외 시장 환경의 변화가 심화되고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는 시대적인 변화를 감안할 때, 차별적인 기술혁신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기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기술혁신의 성과를 단기적측면의 기술혁신성과와 장기적측면의 기술혁신 양면성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전기, 전자, IT, 바이오 등 연구개발을 수반하는 업종의 중소기업 219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적역량이 기술혁신성과와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을 포함하는 기술혁신 양면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다차원적 특성이 동적역량 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성공적인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의 동적역량 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동적역량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동적역량과 기업성과에 대한 운영역량의 매개효과 분석 (Mediating Effect of Operational Capabilities on the Dynamic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of Korean SMEs)

  • 배순철;김병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5-3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se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We also test these relationships on two industry groups categorized into high-tech industries and low-tech industries. We collected 221 firms'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dynamic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influence performance positively. In high-tech industries dynamic capabilities directly affect performance while marketing capabilities appear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Dynamic capabilities show no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for low-tech industries; however, operational capabilities d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itness among Entrepreneurship,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 김진권;안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3-170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각각의 변수와 그 변수들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이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기업가정신과 혁신활동, 동적역량과 혁신활동 등 두 변수 간의 적합성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세 변수 모두의 적합성도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추가로 실시한 경로분석에서는 기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동적역량과 혁신활동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은 각각 경영성과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들 세 요인들을 조화롭게 구현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에 따른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novative SME CEO Types on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김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15-228
    • /
    • 2019
  •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CEO의 유형에 따른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특성에 따라 CEO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기부에 등록된 혁신형 중소기업 250사(社)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 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장중심형 CEO, 기술형 CEO,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 감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리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은 기술혁신역량의 R&D기술 소화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형 CEO와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관리형 CEO와 시장형 CEO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형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국가혁신역량과 제도의 질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at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stitutional Quality on Economic Growth)

  • 조형례;정선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4호
    • /
    • pp.33-61
    • /
    • 2015
  • 국가가 새로운 경제체제로 들어서게 되면서 겪는 어려움과 피해는 생각보다 크다. 지금까지 경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국가들이 겪었던 과정을 거치며 경제의 성장과 수렴을 일으킨 여러 가지 요인이 있었다. 특히 혁신과 제도는 그간의 경제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횡단면 분석이나 경제적 모형측면에서만 다루어졌던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혁신역량의 다양성과 제도의 질이 국가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최근 경제성장의 주요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인적자본역량과 해외직접투자와의 관계도 살펴보며, 경제성장 모형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한다. 경제수준에 따라서 총 4개의 국가그룹으로 64개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1995년부터 2011년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널모형을 사용해 연구문제에 대해 구조적인 측면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국가의 경제수준에 따라서 연구개발 비중과 혁신역량의 다양성은 경제성장에 의미있는 변화를 주었으며, 해외직접투자는 모든 소득그룹에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국가혁신역량에 있어서는 확산성과 개방성이 경제성장에 가장 의미있는 변수였으며, 이는 경제수준이 높은 국가들의 혁신역량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반대로,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혁신역량 및 제도의 수준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별 국가의 제도의 질 및 경제수준에 따라서 차별적이기에 모호한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가의 경제수준에 따른 혁신 요소 및 제도적 요인의 적절한 투입과 정책수립에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보인다.

Analysis on the Multi-technology Capabilities of Korea and Taiwan Using Patent Bibliometrics

  • Hwang Jung-Tae;Kim Byung-Keun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2호
    • /
    • pp.183-199
    • /
    • 2006
  • This paper explores multi-technology capabilities between Korea and Taiwan by analyzing the pattern of inventive activities concerning technology fusion by using patent bibliometrics. Although two countries exhibit a similar level of invention activities and high degree of specialization in emerging technologies measured by the number and technological fields of their US patents, innovation systems in two countries differ. MTCs (multi-technology corporations) are stronger in Korea national innovation system while small innovative firms play important roles in Taiwan national innovation system. Technology fusion has been an important sour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t suggests possible advantage for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because it is a common belief that global size firms - most of them are multi-technology corporations - can perform better in multi-technology fusion and scientific research. The result of patent bibliometrics suggests rather complex answers to the belief Even though Korea shows slight advantage, it may not be ascribed to the large MTCs.

  • PDF

지적자본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기술 기반의 동적능력을 중심으로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ital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Role of IT-enabled Dynamic Capabilities)

  • 안경민;이영찬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4호
    • /
    • pp.1-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T-enabled dynamic cap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ital and innovation performance under Industry 4.0. We approach the intellectual capit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ource-based view and define the components of intellectual capital as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IT-based dynamic capability means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utilization ability of the enterprise are combined to overcome the turbulent environ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IT-enabled dynamic capabil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ital and innovation performance as it revealed in theory. And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we found the importance of an organiz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to effectively utilize intangible resources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퍼지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지역혁신역량지수의 도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ve Capability Indices Using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허재용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1호
    • /
    • pp.1-21
    • /
    • 2008
  • We attempt to make regional innovative capability indices for overall understanding of regional innovation. We'll analyze various indicators on it using fuzzy set theory and compare regional innovative capabilities of 16 regions in Korea. The fuzzy set theory can reflect more normally the uncertainty of the stakeholder's responses than other decision making analysis method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experts on regional innovation rank GRDP most important and Daejeon is the most innovative region. Building up regional innovative capabilities should be made for more balanced national land development.

  • PDF

국내 제조기업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novation Capabilities)

  • 서영웅;최석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1호
    • /
    • pp.169-188
    • /
    • 2016
  • 본 연구는 각각의 혁신역량 요소가 기업의 혁신방법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EU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제조기업의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최신 자료를 통해 그 변화를 살펴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사한 데이터와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2005년 한국은 대략 EU의 부진국가와 중간국가 사이에 위치하며, 2014년에는 혁신비용지출에 따른 연구개발비 비중의 증가, 내부혁신활동 수행, 고기술업종의 연구개발 선택 등 혁신역량이 일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혁신역량제고를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비용지출에 대한 지원과 고기술기업, 특허출원 및 산학연 협력을 실시하는 기업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