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ection buffer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5초

Biodistribution of 99mTc Labeled Integrin Antagonist

  • Jang, Beom-Su;Park, Seung-Hee;Shin, In Soo;Maeng, Jin-Soo;Paik, Chang H.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21-25
    • /
    • 2013
  • The selective targeting of an integrin ${\alpha}_v{\beta}_3$ receptor using radioligands may enable the assessment of angiogenesis and integrin ${\alpha}_v{\beta}_3$ receptor status in tumor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label a peptidomimetic integrin ${\alpha}_v{\beta}_3$ antagonist (PIA) with $^{99m}Tc(CO)_3$ and to test its receptor targeting properties in nude mice bearing receptor-positive tumors. PIA was reacted with tris-succinimidyl aminotriacetate (TSAT) (20 mM) as a PIA per TSAT. The product, PIA-aminodiacetic acid (ADA), was radiolabeled with $[^{99m}Tc(CO)_3(H_2O)_3]^{+1}$, and purified sequentially on a Sep-Pak C-18 cartridge followed by a Sep-Pak QMA anion exchange cartridge. Using gradient C-18 reverse-phase HPLC, the radiochemical purity of $^{99m}Tc(CO)_3$-ADA-PIA (retention time, 10.5 min) was confirmed to be > 95%. Biodistribu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nude mice (n = 5 per time point) bearing receptor-positive M21 human melanoma xenografts. The mice were administered $^{99m}Tc(CO)_3$-ADA-PIA intravenously. The animals were euthanized at 0.33, 1, and 2 hr after injection for the biodistribution study. A separate group of mice were also co-injected with 200 ${\mu}g$ of PIA and euthanized at 1 hr to quantify tumor uptake. $^{99m}Tc(CO)_3$-ADA-PIA was stable in phosphate buffer for 21 hr, but at 3 and 6 hr, 7.9 and 11.5% of the radioactivity was lost as histidine, respectively. In tumor bearing mice, $^{99m}Tc(CO)_3$-ADA-PIA accumulated rapidly in a receptor-positive tumor with a peak uptake at 20 min, and rapid clearance from blood occurring primarily through the hepatobiliary system. At 20 min, the tumor-to-blood ratio was 1.8. At 1 hr, the tumor uptake was 0.47% injected dose (ID)/g, but decreased to 0.12% ID/g when co-injected with an excess amount of PIA, indicating that accumulation was receptor mediated. These results demonstrate successful $^{99m}TC$ labeling of a peptidomimetic integrin antagonist that accumulated in a tumor via receptor-specific binding. However, tumor uptake was very low because of low blood concentrations that likely resulted from rapid uptake of the agent into the hepatobiliary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99m}Tc(CO)_3$-ADA-PIA to be useful as a tumor detection agent,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increase the hydrophilicity of the product to minimize rapid hepatobiliary uptake.

L-3-[$^{123}I$iodo-${\alpha}$-methyltyrosine 합성과 9L Glioma 이식 백서 분포조사 (Synthesis of L-3-[$^{123}I$]iodo-${\alpha}$-methyltyrosine and Biodistribution in 9L Glioma Bearing Rats)

  • 양승대;임상무;우광선;정위섭;전권수;서용섭;임종석;박현;윤용기;이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5-109
    • /
    • 1995
  • Tyrosine의 유도체인 [$^{123}I$]IMT를 각종 악성종양의 SPECT에 이용하기 위하여 표지시 반응조건과 뇌종양이식 백서에서의 체내 동태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MT의 [$^{123}I$] 표지에 chloramine-T 보다 Iodobead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수율이 높았으며, Iodobead 1개, AMT $200{\mu}g/100{\mu}L$ phosphate buffer, PH 5.5, 상온에서 7분간 반응시키는 것이 최적 반응조건이었다. 9L glioma 이식 백서 체내동태는 [$^{123}I$]IMT가 신장으로 배설됨과 체내에서 탈요오드 반응이 일어남이 추측되었고, 정상조직의 3배 방사능 섭취가 관찰되어, 각종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 후 경과 관찰에 이용 가능성이 보여 임상연구의 진행이 기대된다.

  • PDF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바이오센서와 회전 타원분광계를 이용한 펩타이드-항체 접합의 동특성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Dynamics of Peptide-Antibody Interactions Using an Ellipsometric Biosensor Based on a Silicon Substrate)

  • 이근재;조현모;조재흥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7
  • 실리콘 기판으로 만든 바이오센서에서 펩타이드-항체의 접합 동특성을 회전 타원분광계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극도로 낮은 몰농도의 펩타이드를 측정할 때, 시료가 놓이는 바이오센서의 표면의 불완전한 편평도와 완충용액 굴절률 변화로 인한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금속박막의 유리 프리즘 대신에 실리콘 기판 위에 덱스트란 SAM을 직접 적층하여 바이오센서를 만들었다. $100{\mu}l/min$의 완충용액 주입속도에서 바이오센서에 올려진 항체 및 펩타이드의 접합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리터당 5 ng의 낮은 항체농도에서도 항체-덱스트란 SAM 사이의 동특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100 nM까지의 펩타이드에 대한 미세한 흡착 및 해리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며, 접합 동특성 식에 이 실험결과를 피팅하여 흡착계수와 해리계수를 구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펩타이드의 평형상태의 해리상수인 $K_D$는 97 nM이었고, 이 수치는 Class I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당화단백질의 형성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 (Effects of Ginseng on the Formation of Glycated Protein)

  • 맹성호;전강웅;배진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173-177
    • /
    • 2002
  • 당화헤모글로빈의 형성을 포함한 당뇨병에 대한 인삼의 보호작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인산완충용액으로 포도당(1.5 g/dl), 헤모글로빈(10 g/dl) 및 홍삼액기스(0.5 g/dl)의 혼합용액(1 : 1 : 1, v/v/v)을 생산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37$^{\circ}C$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웅성 백서를 각 군당 20두씩 할당하여 건강한 군과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인삼투여군과 그 대조군으로 나누어 홍삼액기스를 음용수에 용해하여 100 mg/kg/day의 용량을 3개월 동안 투여하였다. 혈당의 농도와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은 시판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홍삼액기스를 첨가한 시험관의 당화헤모글로빈이 첨가하지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12.17$\pm$1.01% : 15.9$\pm$ 1.95%, p<0.01)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의 혈당은 그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3개월 후의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15.1$\pm$2.06% : 20.1$\pm$2.9%, p<0.05). 또한 3개월 후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는 그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 되었으며 음수량이 감소 되었다. 이런 결과들로 보아 인삼은 당화단백질의 형성을 저혈당 작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이 Streu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인슐린, 혈청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 Extract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형래;조정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1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s extract (BG515), which consisted of multi extracts of Mori foliu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Dioscorea japonica,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radix,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 (STZ) induces a type 1 diabetes mellitus in rats. Type 1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islet cell autoantibodies (ICA), autoantibodies to insulin (IAA), and autoantiboid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which identify the autoimmune process that leads to $\beta-cell$ destruction. Thirty-five male Sprague-Dawley (SD) rats weighing $150\sim170g$ each (6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 and 4 STZ-induced diabetic groups, and were subj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 for 12 weeks. Groups A and B were fed basal diets and Group C, D, and E received the same diets as groups A and B, but with supplements of 150 mg/kg, 300 mg/kg, and 600 mg/kg of BG515 orally for 12 weeks, respectively. Diabetes was induced in Groups B, C, D, and E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mg/kg of STZ per body weight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5) via the tail vein. In the BG515 groups, we found increases in serum insulin level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but these data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ast, blood glucose and serum MDA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e BG515 groups compare to the STZ-control group. At the 5th week, in all the BG515 administered groups, there were decreases in serum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STZ- control group, and this activity was very strong in the BG515-1 group at the 12th week.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bio-complex compounds (BG515) may slightly suppress STZ-induced changes in serum MDA concentration via the maintenance of serum insulin levels, due to the prevention of $\beta-cell$ and glucagon destruction by STZ.

  • PDF

서양민들레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 횐쥐의 뇌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 및 제거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delion on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System of Bra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0-505
    • /
    • 2002
  • 뇌조직에서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민들레의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Wistar계 횐쥐에게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4주간 급여하였다. 실험결과 유해 활성산소 생성효소계인 시토크롬 P450 함량,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은 당뇨를 유발한 대조군에 비하여 서양민들레 잎과 뿌리 급여군 모두 감소되었다.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 역시 서양민들레의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민들레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뇌조직 중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GSH 함량은 대조군에 비 하여 서양민들레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과산화지질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서양민들레 급여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양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급여는 당뇨로 인한 횐쥐의 뇌조직 중 유리기 생성과 지질과산화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Uterine Lipopolysaccharides Injection on Immunological Response of Uterus in Lactating Holsteins)

  • 백광수;박수봉;박성재;이왕식;김현섭;정경용;기광석;전병순;안병석;이현준;;김태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01-206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착유우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처리구 5두 및 대조구 3두를 공시하여 LPS 처리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PMNL의 비율, PMNL의 생존율 및 탐식 PMNL의 비율 등을 분석하였다. PMNL의 비율에 있어서, 처리전(0시간째)에는 대조구 및 처리구가 각각 41.0% 및 47.2%였으나 24시간째에는 41.7% 및 72.1%, 48시간째에는 41.0% 및 81.6%, 72시간째에는 44.3% 및 79.0%로 24시간째, 48시간째 및 72시간째에 공히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와 처리구의 PMNL의 생존율은 처리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탐식 PMNL의 비율에 있어서, 처리전(0시간째) 및 처리 후 24시간째에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8시간째에는 각각 1.1% 및 7.7%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다가 72시간째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K-통로개방제가 배양심근세포와 생쥐 체내의 Thallium-201역동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tassium-Channel Opener on Thallium-201 Kinetics: In-vitro Study in Rat Myocyte Preparations and In-vivo Mice Biodistribution Study)

  • 이재태;김은지;안병철;손상균;이규보;하정희;김천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7-515
    • /
    • 1996
  • 1) 강력한 $K^+$ 통로개방제인 pinacidil은 투여한 pinacidil의 농도, T1-201의 방사능양, 실험에 사용된 심근세포 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배양된 심근세포의 T1-201섭취를 1.6-2.5배 감소시켰고, 심근내로 유입시킨 T1-201의 세포외로의 배출을 1.6-3.1배 증가시켰다. Pinacidil의 T1-201의 세포내로의 섭취억제는 세포내로 유입되는 T1-201의 세포 내에서의 저류가 억제되어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2) 생쥐체내에 주사한 pinacidil의 효과는 실험관내의 심근세포의 변화처럼 뚜렸하지는 않았지만 T1-201을 주사한 생쥐에서 10분 이후 pinacidil의 정맥주사한 경우에는 혈액과 간장의 방사능치는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약간 높았고, 신장과 심장의 방사능치는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배양된 심근세포와 생쥐체내 실험의 연구결과는 항고혈압약제나, 항협심증약, 기관지천식 치료제로 사용되는 $K^+$통로개방제는 심근내로의 T1-201 축적을 억제하고 배출을 촉진시켜. T1-201 심근관류스캔의 판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흡수성 차폐막에 접목된 두개관골세포의 골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varial Cell Inoculated Onto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on the Bone Regeneration)

  • 유부영;이만섭;권영혁;박준봉;허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483-509
    • /
    • 1999
  •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guided bone regeneration capacity on the animal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ured calvarial cell inoculated on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for the regeneration of the artificial bone defect. In this experiment 35 Sprague-Dawley male rats(mean BW 150gm) were used. 30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n group I, defects were covered periosteum without membrane. In group II, defects were repaired using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In group III, the defects were repaired using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seeded with cultured calvarial cell. Every surgical procedure were performed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by using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Pentobarbital sodium(30mg/Kg). After anesthesia, 5 rat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to obtain the calvaria for bone cell culture. Calvarial cells were cultured with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contain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under the conventional conditions. The number of cell inoculated on the membrane were $1{\times}10^6$ Cells/ml. The membrane were inserted on the artificial bone defect after 3 days of culture. A single 3-mm diameter full-thickness artificial calvarial defect was made in each animal by using with bone trephine drill. After the every surgical intervention of animal, all of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2, 3 weeks after surgery by using of perfusion technique. For obtaining histological section, tissue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0.1M cacodylate buffer, pH 7.2) and Karnovsky's fixative solution, and decalcified with 0.1M disodium ethylene diaminetetraacetate for 3 weeks. Tissue embeding was performed in paraffin and cut parallel to the surface of calvaria. Section in 7${\mu}m$ thickness of tissue was done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ll the specimens were observed under the light microscop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 During the whole period of experiment, fibrous connective tissue was revealed at 1week after surgery which meant rapid soft tissue recovery. The healing rate of defected area into new bone formation of the test group was observed more rapid tendency than other two groups. 2 . The sequence of healing rate of bone defected area was as follows ; test group, positive control, negative control group. 3 . During the experiment, an osteoclastic cell around preexisted bone was not found. New bone form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remaing bone wall, and gradually extended into central portion of the bone defect. 4 .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was observed favorable biocompatibility during this experimental period without any other noticeable foreign body reaction. And mineralization in the newly formed osteoid tissue revealed relatively more rapid than other group since early stage of the healing process. Conclusively, the cultured bone cell inoculated onto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may have an important role of regeneration of artificial bone defects of alveolar bone. This study thus demonstrates a tissue-engineering the approach to the repair of bone defects, which may have clinical applications in clinical fields of the dentistry including periodontics.

  • PDF

들쭉이 약물에 의해 유도된 당뇨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Effect of Vaccinium uliginosum L. on STZ-induced Diabetes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 한은경;권혁세;신세계;최윤희;강일준;정차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27-1733
    • /
    • 2012
  • 본 연구는 들쭉을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고지방과 당뇨를 유발시킨 후의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컷 SD rat를 정상군, 고지방군, 당뇨군으로 분류, 들쭉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들쭉은 식이 5% 첨가의 경우 식이 섭취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중증가량은 감소시켰다. 들쭉의 투여는 또한 STZ에 의해 유발된 당뇨대조군의 증가된 혈청 중성지질 수준을 감소시켰고, HDL-cholesterol 수준을 유의적(p<0.05)으로 증가시켰으며, 당뇨로 증가된 동맥경화지수 수치를 유의적(p<0.05)으로 감소시켰다. 간 지질의 경우 고지방 식이로 인해 증가된 총지질량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을 감소시켰다. 이는 들쭉의 투여가 지질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질 과산화물은 고지방의 투여와 당뇨유발로 증가하였고 들쭉의 병용투여가 이를 감소시켰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Oral glucose tolerance test(경구당부하검사)에서 정상군에서는 혈당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당뇨유발쥐의 포도당 투여 후 30분에서 261.20 mg/dL로 높은 혈당을 들쭉 투여로 약 27% 정도 감소시키고, 120분 후에는 공복 수준으로 혈당 수준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들쭉의 투여는 당뇨쥐의 혈청과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당대사를 촉진하여 혈당을 강하시키며, 간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지질과산화량을 감소시켜 간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고지방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흰쥐의 혈청과 간 지질대사를 촉진함으로써 당뇨발생 시 간기능 보호와 더불어 당뇨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