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Mentor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멘티의 성격특성과 가치성향이 군(軍) 조직의 비공식적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ee's Characteristics and Value Orientation on Informal Mentoring Function of ROK Military)

  • 이호복;이규만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4호
    • /
    • pp.81-101
    • /
    • 2013
  • 본 연구는 군 조직의 비공식적 멘토링 관계에 있는 조직구성원의 성격특성인 심리적 유사성과 내재적 통제위치, 가치관 성향인 개인주의와 권력거리가 멘토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육군 사단급의 초급간부 54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심리적 유사성과 내재적 통제위치는 멘토링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권력거리 성향은 멘토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인주의 성향은 가설의 의도와는 다르게 멘토링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군 조직의 비공식 멘토링 관계에서 멘티가 멘토와 심리적 유사성을 높게 지각하거나 내재론자 또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멘티일수록 멘토링 기능을 많이 지원받는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반면에 권력거리를 높게 지각하는 멘티일수록 멘토링 기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군 조직의 멘토링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분석결과가 공식적 비공식적 멘토시스템 운영 및 향후 멘토링 관계 연구에 일조할 수 있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과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Mentoring,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Security Agents)

  • 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51-35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이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서울소재 5개소 경호경비회사의 시큐리티요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227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자료를 토대로 멘토링유형, 경력개발, 경력만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변수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06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혁신적 자기 개발, 전문능력 개발, 정보경쟁력 개발은 촉진된다. 반면 비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정보경쟁력 개발이 촉진된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될 경우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셋째, 시큐리티 요원의 경력개발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혁신적 개발, 전문능력 개발이 촉진되면,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난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제주지역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The Case Study on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for Social Workers -Ba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Jeju-)

  • 김정희;고수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87-111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나는 무형식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무형식학습 촉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일상적인 무형식학습 방법은 '상사의 피드백, 지인접촉, 회의참여, 자료 검토' 등이었다. 업무숙련 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무형식학습은 '상사의 피드백과 지인접촉'으로 인적자원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보수교육과 같은 제도적인 형식학습 지원뿐 아니라 개인학습 지원, 비공식모임, 멘토링, 슈퍼비전,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무형식적 활동을 촉진하는 업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 PDF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의 경험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mentee'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서혜정;원계선;임진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92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티인 신입생의 경험과 그 의미를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13명이었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10년 3월 21일에서 2010년 9월 9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멘티들이 기록한 저널, 서술식 질문지, 면담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세그멘팅, 초기 코딩, 심층 코딩의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멘티들은 첫 만남에서 독특한 경험과 감정, 관계형성에 대한 기대감, 멘토로부터 얻는 다양한 정보들을 경험하였고, 전체 프로그램에서 시간관리, 발표 방법, 자료 찾는 방법, 시험 잘 보는 요령, 진로설계 등을 배우고 실천하였다. 그러나 멘토들과의 사적인 만남이 없어 아쉬웠다는 경험도 이야기 하였다. 멘티들은 이러한 멘토링 경험을 인생에서 좀처럼 만나기 힘든 행운이라 생각하게 되어서, 이후 자신이 받은 것을 멘토, 예비 후배와 나누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한편으로 멘티들은 멘토와의 관계 교류 보강을 포함하는 더 진보된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사 조직에 있어서 여성인력의 지위에 관한 연구 (Female Employees' Status in the Three Major Over-the-air Broadcasting Companies in South Korea)

  • 윤석민;이철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2권
    • /
    • pp.167-210
    • /
    • 2003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사 조직에 있어서 여성인력의 지위를 지상파 방송사의 공식적, 비공식적 조직 구조의 측면에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외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식적 통계자료에 근거한 양적 분석 및 1대1 면접, 전화인터뷰, 서면 질의 등을 통한 질적 분석이 병행되었다. 그 결과,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사의 여성 인력의 비중은 전체 인력 중 10% 내외의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며, 수직적 직급 사다리의 최하위 직급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평적 직무분담 및 직위의 안정성면에서도 여성인력은 남성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고, 조직문화, 비공식적 네트워크, 멘토링 등 비공식적 조직 구조 측면에 있어서도 소외현상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최근 들어 기자, PD, 아나운서 등 방송사 핵심 인력 신규 채용에 있어서 여성 인력의 뚜렷한 신장세가 관측되고 있음은 고무적인 일로 평가된다.

  • PDF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 박영신;이정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881-901
    • /
    • 2011
  • 과거 과학관은 단순히 수집품 전시와 관람객들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체험에 그쳤지만 근래 과학관은 과학관에 대한 일반인 및 학생들의 높아지고 있는 교육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즉, 도슨트를 양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관람객들의 교육적 만족도를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도슨트는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전시품 등을 설명하고 안내하는 사람으로 관람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과학관을 대상으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한 국내 도슨트 양성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도슨트 활동과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 4곳과 국외 4곳을 선정하고, 이 연구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도슨트 양성프로그램, 도슨트 양성 및 관리 책임자와 활동 중인 도슨트의 현장 인터뷰, 전자메일, 그 외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비형식교육기관인 과학관의 교육적 역할에 있어서 도슨트 양성과 운영이 국내 과학교육에서 얼마나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대중화 목적을 위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를 일반적 자원봉사자와 차별화하여 모집 양성해야 한다. 둘째,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서 이론적인 전시내용을 벗어난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전시해설 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경력 도슨트와의 멘토링을 통해 양성 및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셋째, 도슨트 교육을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 학교교육에서 실행하지 못하는 과학적 소양의 요소-전시물을 이용한 과학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윤리의 습득-을 과학관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슨트의 전문화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학설계활동과 팀 내, 팀 간 협력 기반 고등학생 공학 캠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식물공장을 주제로 (Case Study on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y and Intra-/Inter-Team Works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t factory as main theme)

  • 조경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8
    • /
    • 2015
  • 고등학생의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대학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비정규 공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농업 기술인 식물공장을 주제로 선정하여 공학설계 및 팀 내 팀 간 활동 중심의 공학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의 첨단 강의실을 이용하여 38명의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참가학생들은 생물공학, 정보통신공학, 에너지공학, 기계공학 및 건축공학 등 5가지 식물공장 요소 기술 중심으로 팀 내 활동과 팀 간 협력을 통해 '교정에 식물공장 세우기'라는 최종 미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팀 활동은 8단계로 구성된 공학설계과정(문제와 필요 확인하기, 기준과 제한조건 확인하기, 가능한 해결책 찾기, 최선의 해결책 선택, 시작품 제작, 시험과 해결책 평가하기, 해결책에 대한 의사소통, 재설계 및 설계 수정하기)으로 진행되었다. 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공학설계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8점 이었고, 창의적 활동 및 탐구방법의 합리성/체계성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4.43점 이었다. 참가학생의 94%가 팀워크에 만족한다고 답변하였고, 대학(원)생들이 제공한 진로 멘토링 활동에 대해서도 참가학생의 92%가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설계과정 및 팀 내 및 팀 간 협업을 기반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은 참가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동심,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공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공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초등 교사의 SW교육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 옥지현;안성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9-53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활동들에 대해 유형별로 분류하고, 최근 3년간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정도, 활동 후 성과 등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 2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결과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고, 컨설팅 장학 멘토링 동료관찰(82%), 관련부처 및 시도교육청 주관 강좌 워크숍 세미나(69%), 교과연구회(66%)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비공식적 활동 중 독서가 가장 많았고, 유튜브, 깃허브 등 웹사이트 정보 활용(80%),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네트워크(76%)순으로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 대다수가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후 수업 전문성 향상 도움도, 직무역량 향상도, 현업적용도 및 수업 효능감, 긍정적 효과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SW교육 관련 교과 지도를 위한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속적 전문성 개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