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 Input-Output Tabl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접속불변에너지산업연관표 00-05-08을 이용한 산업별 에너지소비 변화량의 구조분해분석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for Energy Consumption of Industrial Sector with Linked Energy Input-Output Table 00-05-08)

  • 김윤경;장운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255-289
    • /
    • 2011
  • 본 논문은 2000년, 2005년, 2008년의 3개년을 대상으로 접속불변에너지산업연관표(76개의 산업분류)를 작성하여 집계통계와 함께 산업별 미시적 통계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업별로 에너지소비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부가가치 총액 변화, 부가가치비중 변화, 산출구조 변화, 에너지원단위 변화의 4가지 요인을 고려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우리나라가 수출주도형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급측 모형을 이용한 구조분해분석을 적용하였다. 집계통계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기에 상관없이 부가가치 총액 변화는 에너지소비량을 증가시켰지만, 산출구조 변화는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감소시켰다. 부가가치비중 변화와 에너지원단위 변화에서는 시기별로 에너지소비 변화량의 증감이 반대로 도출되었다. 산업별 통계를 이용한 결과에 따르면 부가가치비중 변화는 시점과 상관없이 전자기기에서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증가시키고, 석유제품, 시멘트, 석탄제품에서 에너지소비량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에너지원단위 변화는 석유제품, 화력, 사업서비스, 금융 및 보험, 보관 및 운수관련서비스에서의 에너지원단위 변화가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처럼 집계통계를 이용하면 각 산업에서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정부가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할 때에 집계통계만을 기준으로 하면 효율적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 PDF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효과 추이 변화와 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Employment Effect and Employment Policy in the Digital Bio-healthcare Industry)

  • 장필호;김용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5-1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연관산업에 대한 고용유발효과를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한 기본데이터는 한국은행이 실측했던 3개년의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산업분류 기준이 다른 시기별 통계자료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7대 산업으로 재작성하였다. 둘째, 한국은행의 산업연관분석 방법론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격차 조정을 위해 가중치를 반영하여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 생산, 투자 부문에서 유발 효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고용 부문에서는 전체 산업의 평균보다 높은 효과가 있고, 둘째, 생산 부문에서는 낮았고, 셋째, 투자 부문에서는 서비스 분야의 투자가 필요하였다. 분석에서 도출된 결론은, 고용 부문에서 직접투자 및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고, 전문 인력의 육성이 시급하며, 생산 부문에서는 직접투자와 장기투자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 광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of Mongolia's Mining Industry)

  • 친공;짱신단;이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3-374
    • /
    • 2021
  • 본 연구는 Asian development bank/ ERCD가 2021년 발표한 201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광산업이 몽골 국민 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여 몽골 경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몽골 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과 몽골 경제 활성화 방안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몽골 경제를 35개 산업으로 분류하여 국가 경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몽골 광산업의 총생산 유발액은 38,418백만 달러, 생산유발계수는 열 합계는 1.473, 감응도계수는 1.696,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07, 생산유발계수는 1.473 로 나타났다. 몽골 광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생산유발효과가 높고, 다른 산업을 이끌어가는 전략산업으로써 발전 잠재력이 큼을 알 수 있다.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Climate Industry -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Industry -)

  • 홍준석;박성환;박중구
    • 에너지공학
    • /
    • 제21권1호
    • /
    • pp.109-117
    • /
    • 2012
  • 기후산업은 세계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기후변화를 창출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모든 산업군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중 신재생에너지산업에 한정하여, 2011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년 현재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은 1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1644원의 생산을 유발하였으며, 0.3544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0.065명의 취업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산업구조 전체 속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하는 산업연쇄효과는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 더욱 활발하게 추진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부가가치사슬망(value-chain)에 관련된 산업들에 대한 정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분석 중심 (Economic Impact of Gwangyang Bay Area Shipping and Port Logistic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A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김상춘;장흥훈;김승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73
    • /
    • 2015
  • 본 논문은 2010년 29부문 광양만권특화 지역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여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에서의 위치, 지역산업과의 연관성 그리고 지역경제에의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 기준 국가 해운항만산업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생산액, 부가가치액, 취업자의 비중은 각각 약 10.8%, 6.06%, 2.92%이며, 지역 전체산업 대비로는 각각 약 1.96%, 2.28%, 2.44%이다. 국가 총 항만서비스 수요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서비스 수요의 비중은 약 6.4%이다. 입지분석결과, 생산액 기준, 부가가치 기준, 그리고 종사자 수 기준 모두에서 해운항만산업은 광양만권 서비스부문 중 유일하게 전국대비 특화도가 1보다 큰 부문으로, 지역의 서비스부문은 해운항만산업에 특화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해운항만산업은 지역주력제조업과 지역의 주요 생산자서비스업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유 및 화학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1차금속은 전방연관성이 높다. 도소매 및 기타운수 보관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 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금융 보험, 부동산, 사업서비스 등은 후방연관성이 높다.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약 6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약 2조5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만 6천 명의 취업유발효과 등으로 광양만권 지역경제 총 생산의 약 4%, 총 부가가치의 약 5.8%, 그리고 총 취업자의 약 6.7%가 해운항만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환율급등이 국내물류산업의 생산비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s of the Depreciation of Korean Won on the Production Costs of the Korean Logistics Industry)

  • 윤재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7-164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우리 화폐의 대미 환율 급등이 국내 물류산업의 생산비에 미치는 충격효과를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하다면(C.ter.s paribus) 우리나라 물류산업 전체의 생산비는 환율이 10% 상승할 때마다 4.74%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산업별로는 국제물류 위주로 영업을 하는 외항운송과 항공운송이 각각 7.66%와 5.53%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택배 2.60%, 연안 및 내륙운송 2.58%, 도로화물운송 2.13%, 철도화물운송 1.98% 등의 순서로 환율 10% 상승에 따른 비용증가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환율은 2007년 12월~2008년 12월 사이에 50% 가까이 상승하였다. 이를 본 연구의 결과에 대입하면, 같은 기간 동안에 국내 물류산업에는 약 15.5조원 정도의 생산비 증가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다. 만약 국내 물류업계가 이 비용증가요인을 순전히 매출액 증대를 통해서 만회할 수밖에 없다고 가정한다면, 우리 물류업계의 총산출액은 현재의 2.12배 수준인 138.88조원이나 증가해야 한다. 지난 1년 동안의 급격한 환율 상승이 국내 물류산업에 미치는 충격이 그만큼 파괴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Future Economic Model: A Study of the Impact of Food Processing Industry,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in a Thai Context

  • Maliwan SARAPAB;Duangrat TANDAMR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7호
    • /
    • pp.65-7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backward linkage and output multipliers, and investigate the price fluctuation and the price forecast amongst the manufacturing sectors associated with food processing industrial output of Thailan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Thailand Input-Output table with a size of 180 x 180 sectors from 2005, 2010, and 2015 was utilized while the secondary data of the time serie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21 were processed via a multiplicative model and Box-Jenkins model. Results: The backward linkage analysis indicates that canning and preserving of the meat sector majorly utilized the factors of production from the slaughtering sector; canning and preservation of fish and other seafoods sector largely used those factors from the ocean and coastal fishing sector; and the sugar sector used those of the sugarcane sector. Notably, the output multiplier analysis indicated that output multipliers of those 3 manufacturing sectors were highly increased; meanwhile the price fluctuation continually existed in all forms. Besides, the price forecast suggested that prices of chicken and sugarcane tended to be higher; whereas, the price of shrimp was unstable. Conclusions: Food processing industry contains the favorable components to be one of the industries of the future of Thailand.

발전부문 천연가스 사용 확대에 따른 도시가스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Impact of City-Gas Industry by the Expansion of Natural Gas Use in Power Generation)

  • 양민영;김진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4호
    • /
    • pp.549-575
    • /
    • 2017
  • 앞으로 우리나라의 발전원 구성은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석탄화력과 원자력이 감소하고 가스복합과 신재생에너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러한 변화로 도시가스 산업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원 변경에 따른 영향을 정량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석탄화력과 원자력을 각각 가스복합과 연료전지로 대체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시나리오별로 도시가스 산업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책의 영향이 나타날 시점을 고려하여 2030년 산업연관표를 추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스복합으로 발전원을 대체하는 경우는 전체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이 감소하고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시나리오에서 전체 산업에 유발하는 부가가치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전원 변경 시, 변경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며 진입장벽이 낮은 가스복합을 단기적으로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적절함을 의미한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정보보호 산업의 경제 파급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conomic Impact for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정은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2-80
    • /
    • 2020
  • 인공지능, IoT 등의 4차 산업의 등장으로 정보화는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보호 산업의 중요성과 시장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가하는 정보보호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부문을 정보보호 제품산업과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을 분류한 후에, 35개의 산업으로 산업연관표를 재분류하였고,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고용유발계수 등을 산출하였다. 정보보안 제품산업과 정보보안 서비스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각각 1.571, 1.802이고, 부가가치유발계수는 각각 0.632, 0.997이고, 고용유발계수는 각각 2.494, 7.361이다.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만이 전체 산업보다 다소 높고, 나머지 유발계수는 모두 전체 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보호 제품산업에는 전·후방연쇄효과가 없고,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에는 후방연쇄효과는 없으나 전방연쇄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액은 359.9조원, 부가가치유발액은 164.8조원에 달하고, 803천명의 고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산업의 ICT 융합 유형과 ICT 기여 가치 탐색 (Exploring Silver ICT Convergent Typology and ICT Contribution Value)

  • 한현수;강태욱
    • 경영과학
    • /
    • 제34권1호
    • /
    • pp.57-70
    • /
    • 2017
  •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aging population is one of the crucial social and economic issues in these day. In this paper, drawn from the industrial application cases and relevant literatures, we present the typology of ICT convergent applications targeted for silver generation, referred as silver ICT. Subsequently, the contributional value of ICT as the enabling technology is estimated. We firstly conduct keyword search to collect currently used silver ICT applications. Secondly, drawn from the social welfare literature, we organize distinctive needs of the silver generations. Then, on the basis of task technology fit framework, typology of ICT enabled silver applications is organized through the fit of ICT in the sense of fulfilling those silver needs. Finally, using the industry input-output table figures, potential ICT contributions for silver ICT are estimated. The proposed silver ICT typology and ICT contributions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further research in the area of ICT convergence and silver marke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