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Impact of Gwangyang Bay Area Shipping and Port Logistic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A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분석 중심

  • 김상춘 (영남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 장흥훈 (순천대학교 무역학과) ;
  • 김승철 (영남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Received : 2015.10.28
  • Accepted : 2015.12.1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impact of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Bay Area on the regional economy.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structs an input-output table of 29 sectors for 2010 in the a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share of employment, the regional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accounts for approximately 10.8 percent, 6.0 percent, and 2.9 percent of the national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respectively. Moreover, the economic impact of the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is estimated to be an increase in terms of production of about 6 trillion Korean won), to be an increase in value added of about 2.5 million Korean won, and an increase of about 16,000 in employment. Furthermore, the industry is found to have strong inter-industry linkages with the main manufacturing as well as the main producer service industries.

본 논문은 2010년 29부문 광양만권특화 지역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여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에서의 위치, 지역산업과의 연관성 그리고 지역경제에의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 기준 국가 해운항만산업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생산액, 부가가치액, 취업자의 비중은 각각 약 10.8%, 6.06%, 2.92%이며, 지역 전체산업 대비로는 각각 약 1.96%, 2.28%, 2.44%이다. 국가 총 항만서비스 수요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서비스 수요의 비중은 약 6.4%이다. 입지분석결과, 생산액 기준, 부가가치 기준, 그리고 종사자 수 기준 모두에서 해운항만산업은 광양만권 서비스부문 중 유일하게 전국대비 특화도가 1보다 큰 부문으로, 지역의 서비스부문은 해운항만산업에 특화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해운항만산업은 지역주력제조업과 지역의 주요 생산자서비스업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유 및 화학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1차금속은 전방연관성이 높다. 도소매 및 기타운수 보관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 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금융 보험, 부동산, 사업서비스 등은 후방연관성이 높다.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약 6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약 2조5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만 6천 명의 취업유발효과 등으로 광양만권 지역경제 총 생산의 약 4%, 총 부가가치의 약 5.8%, 그리고 총 취업자의 약 6.7%가 해운항만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춘.최봉호(2008), "울산지역 항만산업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2호 통권76호, 559-586.
  2. 김상춘.최봉호(2015), "부산지역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재조명", 무역연구, 제11권 1호, 379-409.
  3. 김안호, 기성래(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집, 제21집, 제4호.
  4. 부산발전연구원 (2005), "부산신항건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5. 이주호(2009),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다지역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해양물류연구, 113-131.
  6. 정봉민(1999),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5권.
  7. 정봉민 외(2004), "해운, 항만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8. 주경원.박병인.배종옥(2009), "광양항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2호, 통권61호, 285-309.
  9.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2),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10.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각 연도.
  11. Lim. Jung Duk(2008), "Impact of Port and Port Related Industries on Busan Regional Economy,"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24 No.2, 113-129.
  12. Miller, R. and P. Blair(1985),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