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Area Revitaliza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6초

지역자산을 활용한 연안정주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 자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astal Settlement Activation Plan using Regional Assets Focusing on Waterfront Area Assets around Yeongdodaegyo Bridge -)

  • 박성은;권도헌;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84-4290
    • /
    • 2015
  • 최근 도심형 연안정주지역은 전통적인 산업기능 쇠퇴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면개발방식보다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활용한 재생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의 지역자산을 조사하여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자산으로 분류한 후, 이지역의 장소가치를 높일 수 있는 통합적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물리적 재생은 장소와 문화적 특성을 둘째, 사회적 재생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브랜드를 셋째, 경제적 재생은 역사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자산 기반형 문화체험을 제공하고, 연안정주지 일원의 도시 활력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제조업 집적의 외부효과가 지역경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단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mpact of Agglomeration Externalities in Manufacturing on Regional Productivit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ustrial Complex)

  • 우한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59
    • /
    • 2022
  • 우리나라 제조업 성장을 견인해 온 산업단지는 지역 단위에서 제조업 집적의 외부효과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가? 본 연구는 질문의 답을 위해 제조업 집적과 지역경제 생산성 간 관계에서 산업단지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집적효과 논의를 수행하였다. 2010-2019년 기간의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불균형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수도권 그리고 비수도권을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의 경우 제조업 특화와 다양성 증가에 따른 긍정적 외부효과가 산업단지를 통해 더욱 강화되어 나타나는 환경이 조성된 반면 수도권에서는 산업단지의 조절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 집적효과 극대화, 비수도권의 경제 활성화,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산업단지 역할을 재조명할 수 있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속가능한 도시산업공간 정책 -미국 주요 도시의 경험과 시사점- (Sustainable Urban Industrial Space Policy: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from US Cities)

  • 김진오;박정일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53-65
    • /
    • 2020
  • 본 연구는 미국 도시의 도시산업용지 보존 및 산업 교외화 방지 정책과 도시재생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산업공간 조성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뉴욕시의 Industrial Business Zone, 시카고의 Planned Manufacturing District, 산호세의 순상실 방지(no-net-loss)정책, 그리고 필라델피아와 시애틀에서 최근 도입된 용도지역제를 중심으로 미국 도시의 도시산업공간 정책과 제도를 검토하였다. 이들 정책과 제도의 시행은 도심의 산업용지가 타용도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업활동 증진과 도시민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보다 세분화되고 진화된 형태의 용도지역제의 도입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도시산업공간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포틀랜드 Willamette Industrial Urban Renewal Area, 애틀랜타 BeltLine, 밀워키 메노모니 밸리를 중심으로 도시재생 프로젝트 계획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산업용지의 보전과 활성화를 위해 용도지역제 등을 통한 공간계획적 차원의 정책을 보완·강화할 것. 둘째, 산업용지의 효과적 보전과 재생을 위해서는 기존 산업용지의 토지이용과 고용주 및 고용인을 우선적으로 배려할 것. 셋째, 산업용지의 보전과 재생을 위한 용도지역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배려를 위한 주민참여형 계획을 수립할 것. 마지막으로 도심 산업용지의 보전 과정에서 제기되는 민감한 환경오염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토지이용 전략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전문계 고등학교 농업기계 관련학과 재학생 전공 만족도 및 진로계획 실태조사 (Status Survey on Satisfaction Contentment and Career Plan of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al Machinery in Technical High Schools)

  • 정동욱;정선옥;노광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47-152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plan for agricultural machinery departments in technical high schools. A status survey on satisfaction and career plan of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al machinery in technical highschool was measu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on motivation for technical high school was mainly due to the academic score obtained during middle school, and an academic major for agricultural machinery was mainly based on personal interest and aptitude. About 90% of the students answered as "normal" or "satisfied" to the questions asking satisfaction level for agricultural machinery major and education. For career plan, 68.5% of the students answered as "entrance into academic schools for higher level education" and 31.5% answered as "employment". Most preferred higher level education area was "engineering" (30.8%) and "agricultural machinery" was only 12.6%. Expecting employment area was also automobile or other industrial machinery rather than agricultural machinery.

참여기업 중심형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 progra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concentrating the enterprise participation)

  • 채명석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4권4호
    • /
    • pp.337-342
    • /
    • 2015
  • The company of 4 core materials that are needed for photovoltaic generation is located in area around this university in Gunsan, Saemangeum. And also, it was almost completed the value chain about the production of Polysilicon, Ingot, Wafer, modules and the design, construction of generation system. The industry-academy-government has understood that because of the relative companies' production and investment, it leads to a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and thus will have field centered manpower education. This program will help the problem of lack of manpower in relative companies by establishing competitive major agreement lik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lso, the university and the participating company in joint have pushed ahead field business education to make the least of industrial-education's mismatc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connected with related industries to make the universities chemical characteristics, companies securing excellent manpower and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In this paper, are aware that photovoltaic industry is a future strategic industry for the country, so we will train the immediately site adapting manpower for the area of photovoltaic material and system as our goal. This is shown results of education operation for 4 years.

A Study on Tourist Satisfaction of Rural Tourism Products in Southern Jiangsu Area of China

  • Shan YI;Xu YI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9호
    • /
    • pp.13-19
    • /
    • 2023
  • Purpose: Rural tourism, as a green and sustainable new development method, has become a new economic growth point in China's rural revitalization. The current research on rural tourism has not formed a complete and mature theoretical system, especially the study of tourist satisfac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ourist satisfaction and takes rural tourism in southern Jiangsu,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Starting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in southern Jiangsu, it elaborat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in southern Jiangsu.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ourist satisfaction are divided into four major aspects: personal factors, perceived effect factors, destination experience factors, and social factors. Design a survey questionnaire from four aspects: diversity, safety, convenience, agreeableness, and draw conclusions through data analysis. Results: From the four dimensions of the survey, tourists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greeableness, and convenience of rural tourism products. This requires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and improving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rural tourism products. Conclusions: Therefore, optimization measures such as continuously implementing local rural cultural construction, establishing brand effects, and increasing policy support have been proposed.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수관광 활성화 방안 (Methods to Propel Tourism of Yeosu City Using Big Data)

  • 임양의;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39-746
    • /
    • 2020
  • 2016년 세계 경제포럼에서 처음 소개된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분석, 사물인터넷, 인공 지능 등의 핵심 정보통신 기술의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 업계에도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 오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여수시의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소셜 메트릭스를 사용하여 여수 관광에 대하여 감성어와 긍부정 추이를 추출하고, 네이버 데이터랩을 사용하여 여수 관광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R 언어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여수지역을 방문하는 493명의 여행객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SPSS를 사용하여 빈도, 요인, 차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여수 여행과 해양 케이블카의 감성어 분석에서는 긍정이 부정보다 월등히 많았다. 설문조사 분석에서 여수지역이 여수 관광 만족도와 활성화에 유의미하고, 연령별로 선호하는 관광지와 검색 기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과 설문조사에서 관광객들은 함께 즐기면서 힐링 할 수 있는 해양공원 같은 소프트 컨텐츠가 있는 관광지를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광주 한복산업 집적지의 특성과 최근 변화 (Characteristics and recent changes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 in Gwangju, Korea)

  • 허승연;안명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7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recent changes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activation of the Hanbok industry and to seek future policies. A total 32 companies comprise the 'Small Manufacturer Specialized Support Center of Hanbok' and were surveyed with a 41 questions with questions in four categories. The Gwangju Hanbok area has been in existence for more than 40 years and was composed of small groups of one or two manufacturers. They are experiencing the same difficulties as other Hanbok clusters, such as the aging of workers, the downturn of dress culture, and changing consumption paradigms. However, since 2015,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seek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such difficulties, particularly with the foundation of the 'Small Manufacturer Specialized Support Center of Hanbok'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Small Venture Busin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alterations in the current Hanbok industry due to the IT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locations of the Hanbok clusters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old towns by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problems therein and seek the solutions. Small manufacturers of the Hanbok cluster are trying to improve their entrepreneurship, digital technology application, and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socio-economic trends, but they have limitations to practically apply it to business, barely keeping the minimum production bas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Gwangju should reinforce and expand the support for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for the Hanbok to foster the designer population, to establish mutual brands, to raise brand awareness, and to promote the technological perfection of the individual businesses, to allow them to cope with the current market trends, in order for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firm settlement of the local Hanbok industrial cluster.

기존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천안시 명동패션거리 일대 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for Downtow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Myeong-dong Fashion Street in Cheonan City-)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65-517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극심한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천안역 앞 명동패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심재생차원에서의 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천안시내 기존도심 지역의 물리 환경적 측면, 역사 문화적 측면,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가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가로이용행태와 가로활성화와 관련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해당 지역의 잠정적인 가로활성화 방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 토지소유자들의 개발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법적 인센티브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명동거리' 내에 휴식 및 녹지공간 조성, 기존건물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하공간을 활용한 공영주차장 조성 등이 제안된다.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가로별 업종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획일적이지 않도록 '명동거리', '은행길', '옛시청길' 등 가로별로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고 각각의 테마업종들이 예시된다. 역사 문화적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이 갖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역사탐방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패션거리와 연계하여 보행네트워크화 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지하도 상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From the cases in Busan Metropolitan Region-)

  • 한승욱;장진혁;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97-307
    • /
    • 2017
  • 본 지하 공간은 대도시에 남아있는 가용성 높은 공간으로서 효율적, 집약적 토지 이용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지하도 상가는 물리적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도심의 활성화를 이룩할 수 있는 수단으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지하도 상가는 노후화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하 상권의 침체를 가져왔다. 이에 지하도 상가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안하여 지하 상권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진행하였다. 부산지역 지하도 상가 7개소를 공간적 범위로 대인 면접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용자가 느끼는 지하도 상가 만족도 결정요인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순서형 로짓모형을 통해 위 설문내용을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만족도, 지하 환경 만족도, 공공시설 만족도, 3개 요인이 지하도 상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신규 지하도 상가 개발 혹은 기존 지하도 상가 리뉴얼 시 해당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통해 지하도 상가 이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지하상권의 재활성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