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n teaching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37초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MIL) 인식과 협력수업 경험 분석 -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원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Awareness and Cooperative Class Experience of the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MIL): Targeting the Teachers i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임정훈;백영선;김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3-157
    • /
    • 2024
  •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원들의 MIL 인식과 협력수업 경험을 분석하여 MIL 협력수업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01명을 대상으로 협력수업, 미디어, MIL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 교원을 대상으로 협력수업의 경험을 제공하고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MIL 협력수업 모델과 메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② MIL 교육과정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고 필요한 경우 협력수업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③ MIL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미디어 유형은 발달단계와 교육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④ MIL 교육과정에서 'MIL 윤리'와 '정보 이해(독서) 및 평가 역량 교육'을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⑤ 학생의 MIL 향상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후속 연구로 MIL 협력 수업 모델과 MIL 교육과정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수학 학습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learning situations)

  • 김소민;서보억;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411-436
    • /
    • 2024
  • 본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제공하는 수학 수업이 수준 높은 교육 경험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의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학 학습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수학 수업의 형식적 측면과 수행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포괄적인 설문 조사를 활용하여 15,418명의 학생의 응답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실 환경, 교육 방법 및 전반적인 학습 경험에 대한 그들의 견해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다. 조사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학 수업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졌으며, 수학 수업은 여전히 교사 중심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수학 교구나 공학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급 규모와 수학 교과 전담 교실의 유무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효과적인 수학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거나, 교구나 공학도구 같은 교수학습 도구를 주체적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특히 공학도구를 단순 계산을 넘어 다양한 목적과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절한 학급 규모를 유지하고 수학 교과 전담 교실의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고려사항은 발전하는 교육 표준에 부합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보다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수학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수학 교육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투약에 관한 간호원의 기초지식 정도 (Basic Knowledge Level of Nurses on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 한윤복;이인자;김명자;노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22
    • /
    • 1976
  • Amongst varieties of clinical nursing role,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is often highlighted as of prime importance. In order to attain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strategies of medication, diagnostic evaluation of the knowledge level is a necessity.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August through December 1975. 449 registered nurses, randomly sampled from general hospitals:16 of Seoul and 7 of Taegu and Pusan, were tested through 54 test questionaries based on 4 practical dimensions of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 1. Status of respondents: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s; the average length revealed to be 2 years and 7 months, 72% revealed to have had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38.6%-less than 1 year, 19 .2%-over 1 year and less than 2 years, and 14, 2%-over 2 years and less than 3 years. Type of Nursing education received ; 9.4% revealed to have graduated technical high school of nursing, 67.5o/o the 3 year diploma school and 21, 7% the baccalaureate degree program. The knowledge Level; Degree of self-satisfaction on knowledge level revealed that;27, 4% responded to "more or less satisfied", 48.8% "more or less un-satisfied" and 19.8% to "not satisfied". The average level of basic knowledge revealed to be moderate by 66.95 points. The level of knowledge of 4 questionnaire categories revealed that; drug action category by average of 66.5 points, methodology category by 65.4 Points, safety measure category by 71.4 points and terminology and concepts category by 64.6 points, Questionnaire items which revealed high points are of;6 of drug action category, 4 of methodology, 4 of safety measure, and 3 of terminology. The items of low points are: 8 of drug action, 3 of methodology, 3 of safety measure and 5 of terminolology categories. 3. The type of nursing education reveal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knowledge on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4. The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reveal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knowledge. 5. 75. l% responded that the actual practice of medication modes are "similar" to that included i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6. In-service education on medication; 54.0% revealed to have some incidental in-service education on medication while 34.0% receive programmed in- service education. 61.8% revealed to have expressed the need of systemic In-service education as one of the means for improvement of medication. 32.7% revealed to obtain information concerning medicine by reading commercial publications on drug package, while only 20.9% by reading specific information channel.

  • PDF

임상영양팀의 업무생산성 및 효과분석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nutrition team)

  • 김영혜;신은수;강은희;김주현;김미경;김계진;홍희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권2호
    • /
    • pp.199-215
    • /
    • 1996
  • In Korea, the majority of hospital dietitians expend most of their time performing food management related activities, and only a few carry out nutrition care activities in full-time.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productivity of the clinical nutrition team and assess the role of clinical dietitians in the only 2200-bed teaching hospital in Korea. Six full-time clinical dietitians collected time data for four weeks according to the nutrition care activities outlined. Three clinical dietitians assigned to 7 units recorded how often physicians implemented their recommendations for two months. Two kinds of survey questionaire were developed and sent to the patients and the health care team.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e results. 1. The clinical nutrition team of 6 full-time dietitians expended 75% of their time performing patient care activities, 20% in non-patient care activities and 5% in delay and transit. 2. Each clinical dietitian assigned to the units carried out 56 patient care activities on daily basis. 3.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the clinical nutrition services was 60.2 minutes for outpatient counseling, 89 minutes for inpatient counseling, 72.5 minutes for nutrition management, 95 minutes for malnutrition consult and 121 minutes for dysphagia diet management. 4. Physicians' implementation of clinical dietitians' recommendations was 98.5%. 5. Most physicians and nurses viewed the clinical dietitians on the units assertive, contributing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s, and helpful to the patients as well as the health care team. 6. Most patients viewed the clinical dietitians on the units considerate, attentive and helpfu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1) daily meal round and nutrition care monitoring are effective tools for nutrition intervention in the hospital setting. (2) unit assignment of clinical dietitians enhances the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nutrition services provided as well as the perceptions of health care team on clinical dietitian's expertise.

  • PDF

Student Team-Achievemenl Division(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 박홍서;조용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640-64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에서의 과제 작성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per Writing Education in Academic Library)

  • 이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69-395
    • /
    • 2011
  •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일환으로 일부 대학도서관에서 과제 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과제 작성 교육은 대학생들이 과제 작성을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 즉, 주제선정, 정보 유형 및 소재 파악, 정보검색,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표절 유형 그리고 과제 작성 구성 체재(표지 목차 본문구성)에 관한 교육 등을 주된 내용으로 히는 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제 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교육시기, 교육방법, 교육자, 교육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도서관에서는 정보 유형 및 소재 파악과 정보검색 부분에 많은 치중을 두고 있었으며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특히 표절 관련 교육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그리고 주제선정과 과제 작성 구성 체재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도서관도 있었다. 교육방법에도 개선점이 필요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그리고 앞으로 교육을 실시하게 될 대학도서관에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Focusing on the Nationwide Tests for the 12th Graders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 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72-487
    • /
    • 2014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 내용 중 GIS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평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에 초점을 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포함, 2004~2012년에 시행된 전국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특성과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문항에의 집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답율의 경우 전체 평균 보다 다소 높았으나 문항의 유형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과정 및 교실 수업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는데, 지형이나 인구와 같은 일반 교과 내용과의 연계, 탐구 지향형 평가의 문항의 강화 및 적정 난이도 유지 등이 개선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고등학교 양호교사의 보건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Education Activities of the School Nurses in the Secondary School)

  • 권민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4-48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ealtk education activities of the 435 school nurses in the secondary schools in Seoul. A questionaire was sent by mail on March 11, 1985 and received a total of 252 responds till April 4, 1985. Among them, 230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Those of 22 school nurses who have worked not more than one year were excluded. The results of the findings obtained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 average number of health educ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chool nurses turned out to be 31.7 times/nurse/year. 2. The practice rates of health education activities by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were revealed as follows: on parasite disease 89.6%, hepatitis 89.1%, physical examination 87.3%, influenza 84.3%, etc. Health education on drinking and smoking, drug abuse were the lowest rate as 37.8% and 40.9%. 3. The practice rates of health education by the school nurses according to the health education methods were shown as follows: instruction by the teacher 90.9%, bulletin boards in the classroom 73.0%, message to home notices 72.676, etc. 4.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health education programs by the school nurse were analysed accord-ing to Likert's five point scale. The scores on item to the no availability of teaching tools and tips were 3.90, no availability of audiovisual aids 3.801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school principals 3. 30, insufficient time of the school nurse 3.26, no guidance or unproper form of health education material 3.20, lack of knowledge of educational method 3.18.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supporting system to health educ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for improve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is strongly needed from policy making level.

  • PDF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petency)

  • 간진숙;신미숙;권명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78-1491
    • /
    • 2016
  • This study h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at universiti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For the study, two procedures were performed. First, a flipped learning model for a project-based learning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s. The flipped learning model has three different steps: the pre-class, the in-class, and the post-class. In the pre-class, instructors provide mini-core courses using various technologies for learners outside the class. The in-class is the step to check whether learners prepare their learning or not. Also, in this step, the in-death learning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y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ould be performed. In the post-class, learners would be able to sustain the extended learning to develop the learning tasks and activities after flipped learning class. Through this step, the learners could be experienced integrated thinking and application, document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sharing and spread of their learning.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flipped learning model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was examin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model showed improvement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에 기초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The Interface Design and Development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 and Usability)

  • 백수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9-160
    • /
    • 2005
  • 본 연구는 e-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호작용성과 상용편이성을 고려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를 구현한 것이다. 상호작용유형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1) 학습자와 교수자 (2) 학습자와 학습자 (3) 학습자와 학습컨텐츠 (4) 학습자와 학습운영시스템으로 나눈다. 학습운영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설정하여 구현한다. 학습컨텐츠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기초로 단순한 네비게이션, 일관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연결성, 사용자 지원, 즉각적 피드백이라는 여섯 가지 인터페이스 전략을 기초로 학습자의 사용편이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현한다. 본 연구개발은 학습운영시스템의 자기 주도적 기능을 보완하고 그러한 기능들을 학습컨텐츠와 연결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을 개선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e-러닝 학습 환경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