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 of th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2,934건 처리시간 0.033초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 심기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8
    • /
    • 2011
  •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재료의 활용 실태 조사를 통해서 한국 약선음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재 음식을 배우고 있거나 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여 조사 항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요인분석에서 얻은 요인의 점수를 이용해 군집분석 하여 다섯 가지 유의한 군집을 도출하였다.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요리경력이 오래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국 약선음식 관련 경험에서는 재료를 구매하여 조리하는 경우는 전업주부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가격 만족도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 조리나 완전 조리 제품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요리 경력이 많을수록 맛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문음식점을 이용하는 경우는 요리 경력이 적은 집단이 맛과 영양 만족도가 높았다. 한국 약선음식 재료 활용 실태에 대하여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재료의 위생과 품질 관리, 유통과 판매, 홍보 등 모든 부분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약선 음식을 전략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PDF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보건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dex in Korean Elderly)

  • 박명호;박미영;이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89-4995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노인대상의 구강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료는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활용 구강검사 까지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1419명중 검사가 미흡한 노인 707명을 제외한 71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잔존치아 수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DMF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가 적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DMFT 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CPI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CPI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FS-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여성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FS-T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Health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구강보건행위는 구강보건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구강건강교육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해양레저스포츠 체험센터의 안전교육이 응급처치 대처능력 및 체험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Model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afety Education by a Marine Leisure Sports Experience Center to First-Aid Coping Skills and Experience Satisfaction)

  • 최미영;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52-5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해양 레저스포츠 체험센터가 제공하는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대처능력, 체험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을 규명하기 위하여 K도 S시에 위치한 해양레저스포츠 체험센터를 이용하는 남녀 3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지난해 6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조사를 받았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PC+ 20.0 및 Amos 16.0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레저스포츠 체험센터가 제공하는 안전교육이 응급처치 대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425, p<.001). 둘째, 해양레저스포츠 체험센터의 안전교육은 체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751, p<.001). 셋째, 해양레저스포츠 체험센터의 응급처치 대처능력은 체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6.781, p<.001).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한 측정모형은 적합지수 .90이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78, NFI=993, CFI=984). 이러한 연구 결과를 감안할 때, 해양 레저스포츠 체험센터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의무적으로 안전교육을 받아야 해양 레저스포츠를 보다 안전하게 즐길 수 있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안전교육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의 계획지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독일 함부르크와 덴마크 코펜하겐 사례를 중심으로 (Indicators and Planning Features of Ecologically Based Urban Regeneration -Cases from Hamburg, Germany and Copenhagen, Denmark)

  • 이범훈;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58-166
    • /
    • 2018
  • 도시재개발과 달리 도시재생은 개발대상지에 대해 보완이 아닌 보존, 복원, 관리를 통해 해결하는 과정이다. 특히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이란 생태환경을 고려한 지역의 삶의 질 개선, 안정적 정주 공간 구축, 그리고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고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해외 선진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기성시가지의 물리 환경적 재생과 함께 사회 경제적 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첫째, 교통정체를 해소하고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자전거에 대한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통근체계를 고려하여 대중교통 노선인 버스, 지하철 등에 대한 연계방안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의 자연환경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규모의 공원 및 수변산책로에 대한 계획과 전기자동차 도입 및 풍력발전시스템 등 자연요소의 활용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에너지효율성을 제고하는 도시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 건물 배치 및 밀도 등 건축계획적 측면과 대체에너지 이용, 폐기물 관리 등의 건축설비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였다. 넷째,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며, 재생 과정에서 시민들에게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관찰 등 민관 파트너쉽이 요구되었다.

사이즈를 조절한 홍삼분말의 첨가가 어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ze Adjusted with Red Ginseng Powders on Quality of Fish Pastes)

  • 심도완;강군;김진효;김원우;강위수;최원석;허선진;김동영;김규천;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48-1453
    • /
    • 2012
  • 고품질 어묵 개발을 위하여 홍삼(red ginseng)을 크기가 다른 미세 분말화하여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보존성, 가열감량, 지방산화, 총균수와 같은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삼분말이 첨가된 어묵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1%와 850 ${\mu}m$ 크기의 홍삼분말첨가가 최적으로 나타났다. 홍삼분말이 들어간 어묵의 경우 색도의 변화에서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대체적으로 첨가물이 들어간 다른 어묵들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물성검사에서 홍삼분말 90 ${\mu}m$ 처리군에서만 경도와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열감량에서도 홍삼분말이 들어간 어묵이 시중 어묵에 비해서 가열했을 때 어묵 자체의 무게 변화가 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패도 측정결과 홍삼분말이 들어간 어묵이 일반 어묵에 비해 지질산화 억제효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이즈가 가장 작은 10 ${\mu}m$의 홍삼분말을 첨가했을 때 지질산화 억제 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1% 수준의 홍삼 분말을 어묵에 첨가하는 것이 풍미 증가와 이화학적인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성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홍삼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첨가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 효능을 가진 홍삼이 함유된 고품질의 어묵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에서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일상생활훈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t a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 송영진;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3호
    • /
    • pp.35-45
    • /
    • 2018
  • 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내 작업치료사 및 환자들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시범사업 안에서의 작업치료가 환자들의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적절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전국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 환자군의 응답을 허가한 8개 기관의 환자 296명의 응답지를 대상으로 설문분석 하였다. 치료사용 설문에는 일상생활활동 관련 평가도구 및 적용하는 중재에 관한 항목들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용 설문에는 퇴원 후 직업복귀 여부 및 이를 위한 희망 중재 활동을 묻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재활운영 지정운영 시범사업'이 환자들의 빠른 사회복귀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가이며 치료적 목표인 일상생활활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의료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본 시범사업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직업재활을 위한 평가 및 중재의 기반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시범사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불필요한 사회적 지출 감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Impact of postoperative dietary types on nutrition and treatment prognosis in hospitalized patients undergoing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 comparative study

  • Sung Bin Youn;Se-Hui Ahn;Dong-Ho Cho;Hoon Myoung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43
    • /
    • 202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 nutritionally balanced soft blend diet (SBD) with a soft fluid diet (SFD) on the health of inpatients who have undergone oral and maxillofacial (OMF) surgery, ultimately aiming to enhance care outcomes,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hospital. Methods: Thirty-two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sixteen received SFD and sixteen received SBD. Anthropometric, laborat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upon admission and discharge. Patients filled out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s, diet satisfaction, food intake amount, and health-related QOL on the day of discharge, assessed using the EuroQoL 5 Dimensions 3 Level and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EQ-VAS) instrument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s for group differences, and paired nonparametric t-tests for within-group comparisons. The Mann-Whitney U test evaluated inter-group differences in preoperative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postoperative changes, meal satisfaction, intake, health-related QOL, and self-assessed health status. P-values were se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The SBD group had higher dietary intake (63.2% vs. 51.0%) and greater diet satisfaction (80.6 vs. 48.1, P < 0.0001) compared to SFD group. Health-related QOL, measured by EQ-VAS, was better in SBD group (70.3 vs. 58.8, P < 0.05). Postoperative weight and BMI decreased in SFD group but increased in SBD group (P < 0.01). Changes in laboratory results showed more stability in the SBD group. No postoperative infections were reported in SBD group, whereas SFD group had a 31.25% complication rate. Conclusions: While SFD is often recommended after OMF surgery to protect oral wound healing process, our study reveals that SBD not only enhanc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outcomes but also, somewhat unexpectedly, supports wound healing and reduces complications. Essentially, SBD promotes physical recovery and enhances health-related QOL than SFD by supporting both somatic and mental healing aspects.

휴대형 근적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의약품 분류기법 (Classification of Tablets Using a Handheld NIR/Visible-Light Spectrometer)

  • 김태동;이승현;백경진;장병준;정경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628-635
    • /
    • 2017
  • 의약품은 인간의 건강 및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증상에 맞는 의약품을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더욱이 세계적으로 위조 의약품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품 의약품들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기술은 점점 중요해진다. 그러나 의약품을 제대로 분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인력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의약품을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분광기를 이용하여 의약품의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Support Vector Machine(SVM)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학습시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근적외선과 가시광선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하여 6종의 의약품을 학습시키고 분류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99.9 %의 정확도를 얻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위조 의약품 검출을 위한 2단계 SVM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품과 위조 의약품을 구분하는 정확도가 향상되고, 처리속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주환경 포용성이 고령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ttlement Inclusivity on Older People's Mental Health)

  • 이새롬;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6권4호
    • /
    • pp.3-23
    • /
    • 2020
  • 본 연구는 고령층의 사회적 배제와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정주환경 포용성'을 개념화하고 이를 분석틀로 하여 고령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거지 인근 환경은 일상생활이 시작하는 장소이자 사회적 관계가 맺어지는 공간으로 생활 범위가 좁은 고령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포용의 공간 범위를 주택을 구심점으로 하는 정주환경으로 삼았다. '정주환경 포용성'은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영역과 주택 내외의 환경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고 기본적인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적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상호의존, 참여, 안전성, 접근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개인 및 정주환경의 속성이 고령자 우울 증상 수에 미치는 영향을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주환경의 사회적 포용성에 해당하는 지역사회관계망과 사회활동 참여 수준이 우울감을 완화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다. 둘째, 정주환경의 공간적 포용성 요인 중 근린환경 만족도와 대중교통시설·구매시설에 대한 우수한 접근성은 우울감의 심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포용적 정주환경의 공간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 사이의 상호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지역사회관계와 참여가 우울증상의 심화에 미치는 영향은 고령친화형 주택 및 안정적 점유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분석 결과는 정주환경 포용성이 다면적일 뿐 아니라 복합적으로 고령자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며, 고령자의 심리적 안녕을 제고하기 위한 도시 계획 및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한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 (The intervention effects of the Clean Diet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ttitudes and the physiological indices of an elderly)

  • 신소홍;김현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95-509
    • /
    • 2016
  • 이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하여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로 2015년 6월 24일부터 2015년 9월 18일까지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C 노인대학에서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0명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30명씩 배정하였다.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만 적용되었으며 웰니스, 건강행동, 주관적 건강감, 우울 및 생리적 지수(혈압, 혈당, TG/TC, BMI)에 대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웰니스(t=7.069, p<.001), 건강행동(t=6.196, p<.001), 주관적 건강감(t=6.624, p<.001) 수준이 향상되었고, 우울(t=4.038, p<.001)은 완화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생리적 지수는 BMI(t=5.974, p<.001)에서만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입증한다. 따라서 노인에게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삶의 질을 높이는 총체적인 생활방식이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양식 그리고 우울증 완화와 BMI관리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