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type

검색결과 802건 처리시간 0.025초

키토산으로 표면처리된 인공치아의 충격전달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 CHITOSAN COATING OF DENTAL IMPLANT ON THE SHOCK ABSORPTION UNDER IMPACT TEST)

  • 김기홍;이용찬;조병욱;권익찬;최귀원;배태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1호
    • /
    • pp.9-14
    • /
    • 2001
  • With the object of providing a temporary artificial periodonal ligament-like membrane around the dental implant, 10 Branemark type implants were co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hitosan(Fluka Co., Buchs, Switzerland) which has a molecular weight of 70,000 and 80% deacetylation degree. Once this bioactive hydrophillic polymer(chitosan) contacts with blood or wound fluids, it becomes swollen and penetrates into the adjacent cancellous bone. Thus the interface between implant and surrounding bone is completely filled with chitosan. This tight junction in early healing phase enhances primary stability. The chitosan coated dental implants were implanted into the fresh patella bones from porcine knees, since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 is relatively even and their cancellous structure is homogenous. To test the shock absorbing effect, 1mm delta-rogette strain gage was installed behind the implant. The results showed 1. The principal strain peak value directed to the impact of coated implant was 0.064 0.018(p<0.05) and that of uncoated implant was 0.095(0.032 p<0.05). 2. The peak time delay of coated implant was 0.056sec(0.011 p<0.05) and that of uncoated implant was 0.024sec(0.009 p<0.05). It can be reasoned from this results that the chitosan coating has a shock absorbing effect comparable with a temporary artificial periodontal ligament.

  • PDF

Tilted implants for implant-supported fixed hybrid prostheses: retrospective review

  • Woo-Hyun Seok;Pil-Young Yun;Na-Hee Chang;Young-K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9권5호
    • /
    • pp.278-286
    • /
    • 2023
  • Objectives: This review assessed the performance of implant-supported fixed hybrid prostheses in 21 patients who received a total of 137 implants between 2003 and 2010. The implants were evaluated for marginal bone resorption, complications, success rate, and survival rate based on their vertical angularity, type of bone graft, and measured implant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long-term evaluation factors and these variables. The mean initial bone resorption in the implant group with a vertical angle of more than 20° was 0.33 mm and mean final bone resorption was 0.76 mm. In contrast, the mean initial bone resorption in the implant group with a vertical angle of less than 10° was 1.19 mm and mean final bone resorption was 2.17 m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bone resorp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vertical placement angle of the implants used in fixed hybrid prostheses, as well as in the group without additional bone grafts and those with high implant stability. The success rate of implants placed after bone grafting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placed simultaneous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lant-supported fixed hybrid prostheses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edentulous patients, and intentionally placing implants with high angularity may improve outcomes.

두 종류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이용한 하악의 미니-임플란트지지 피개의치 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with two different mini-implant systems: A case report)

  • 박진홍;이정열;류재준;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7-272
    • /
    • 2016
  • 본 증례는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두 명의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서로 다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이용한 하악의 미니-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에 대한 증례보고이다. 두 환자는 하악 의치의 유지력 부족으로 인한 의치 사용시 불편감 및 동통을 주소로 호소하였다. 각각의 환자는 4개의 미니 임플란트를 이공사이에 판막의 거상없이 식립하였다. 첫번째 증례는 미니볼 어태치먼트와 일체형으로 된 미니-임플란트(Slimline, Dentium, Seoul, Korea)를 식립하고 구강내 직접법으로 어태치먼트를 연결하여 즉시하중을 시행하였다. 두번째 증례는 분리형으로 로케이터 어태치먼트와 연결되는 미니-임플란트(LODI, Zest Anchors, Escondido, CA, USA)를 이용하였으며, 임플란트 식립 8주 후 간접법으로 어태치먼트를 연결하였다. 최종 의치 장착 후 6개월 정기검진까지 미니볼과 로케이터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하악의 미니-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에서 환자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개선되었으며 주목할 만한 합병증 없이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다. 단 추후 지속적인 유지관리 및 장기적인 평가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 온병훈;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23-3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골증대술과 동반된 이식된 골의 3차원적인 형태를 평가하고 골이식 재료 및 임플란트의 종류, 수술 방법과 골흡수 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 골증대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골이식재의 부피 및 부위의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잔존 골 이식재의 비율로 측정된 부피 재생은 이식 재료의 형태 및 수술 방법과 연관성이 있었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병원에서 15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과 동반하여 53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촬영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P<0.05). 그리고 수술 방법에 따른 골흡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 비해 지연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이식재의 부피 변화율을 보였다.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 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또한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서 지연 식립한 그룹보다 더 낮은 흡수율을 보여주었다.

부산지역 치과환자의 임플란트 유형 및 분포 경향 (Types and Distribution of Implant Dental Clinic Patients in Busan Area)

  • 이미옥;윤현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74-282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지역 S치과에 내원한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299명이 식립한 871개의 임플라트를 대상으로 임플란트의 종류, 골 이식 종류, 치주상태, 임플란트 분포를 조사하여 임플란트 구강위생관리 및 환자관리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임플란트의 종류는 국산 임플란트 83.6%, 수입 임플란트 16.4%로 나타났다. 골 이식에서는 혼합 뼈로 골 이식을 한 환자가 17.1%로 가장 많았으며, 질병이 없는 환자는 있는 환자보다 자가 뼈로 골 이식을 많이 하였다($X^2$=14.66, p<.01). 치주상태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좋았으며(t=-2.73, p<.01), 연령별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F=14.20, p<.001), 질병 유 무에서는 질병이 없는 환자(t=-4.67, p<.001)에서 치주상태가 좋았다. 치아별 임플란트 분포에서 하악에 많았고, 하악 좌측 임플란트가 2개 있는 환자가 16.1%로 가장 많았다($X^2$=33.14, p<.01). 총 치아의 임플란트 유 무에서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1개, 60대 이상은 2개 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개수가 많아짐을 보였다($X^2$=74.09, p<.001). 또한 치주상태에 따라서도 양호한 경우 1개를 식립한 경우가 많았고 불량할수록 2개 가 많았다($X^2$=38.28, p<.01). 이상의 결과에서 임플란트의 식립 상태 및 치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환자 상태에 맞는 1:1 맞춤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하이브리드 보철물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using implant hybrid prosthesis)

  • 김성빈;김성회;박영범;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4-220
    • /
    • 2013
  •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보철 치료는 지지, 유지, 안정성, 발음 등의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료는 다양하며, 크게 가철성과 고정성으로 나눌 수 있다. 가철성 치료에는 임플란트 유지 및 지지 피개의치가 있으며, 고정성 보철치료에는 ceramo-metal 보철물과 임플란트 하이브리드 보철물(implant hybrid prosthesis)이있다. 치료계획의 수립은 잔존 치조제, 연조직, 악간 관계, 환자의 경제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보철물은 고정성 치료를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력을 제공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적절한 연조직의 회복을 통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73세 여환으로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과 하악 무치악 상태로 내원하였다. 상악에는 우측 견치부터 좌측 제1소구치까지 7개의 잔존치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하악은 양측 측절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 4개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보철물로 최종 치료 진행하였으며 치료 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지대주 각도와 연결방식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utment angulation and type of connection on the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s)

  • 김호성;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17
    • /
    • 2017
  • 목적: 내부 연결형과 외부 연결형의 임플란트에서 직선형과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를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내부육각 연결형 임플란트 20개와 외부육각 연결형 임플란트 20개에, 기성 직선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와, $17^{\circ}$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10개씩 체결하였다. 시편은 연결 방식과 지대주 각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내부 연결형/ 직선형 지대주, INS군; 내부 연결형/ 경사형 지대주, INA 군; 외부 연결형/ 직선형 지대주, EXS 군; 외부 연결형/ 경사형 지대주, EXA 군. 모든 시편은 만능시험기에서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30^{\circ}$ 하중을 가했다. 지대주의 파절강도를 측정하고, 2-way ANOVA와 independent t-test로 통계처리 하였다(${\alpha}=.05$). 결과: 각 군의 평균파절강도는 다음과 같다: INS군, 955.91 N; INA군, 933.65 N; EXS군, 1267.20 N; EXA군, 1405.93 N. 외부 연결형이 내부 연결형에 비해 파절강도가 높았다(P < .001). 내부연결형(P = .747)과 외부 연결형(P = .222)에서 지대주 각도에 따른 파절강도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내부 연결형 지대주는 육각 부위에서 수평 파절이 일어난 반면, 외부 연결형 지대주는 설측 치경부에서 파절되었다. 결론: 외부 연결형 지르코니아 지대주가 내부 연결형 지대주에 비해 파절 강도가 높았고, 직선형과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는 차이가 없었다.

하중 후 임프란트와 지르코니아 지대주 사이의 표면 변화 (Surface Changes between Implant and Zircoina Abutment after Loading)

  • 김문수;조영범;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85-195
    • /
    • 2011
  • 본 연구는 외부연결방식(external type)의 임프란트에서 기존의 타이타늄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각각의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하중을 가한 후 임플란트 외부육각기둥(external hexgon)부분 및 platform 표면변화를 FESEM 상으로 관찰하고, 임프란트와 타이타늄 지대주 및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Viker's 경도를 측정하였다. 1. 임프란트, 타이타늄 지대주 및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Viker's 경도는 각각 평균 $309.80{\pm}11.78$ HV, $318.40{\pm}11.82$ HV, $1495.30{\pm}16.21$ HV였다. 임프란트와 타이타늄 지대주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지만(P>0.05, Anova), 임프란트와 지르코니아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5, Anova). 2. 10,000번 하중을 가한 후 임플란트 표면변화 관찰에서 타이타늄 지대주 그룹과 지르코니아 지대주 그룹 모두에서 마모가 관찰 되었으며, 지르코니아 지대주에서 보다 현저한 마모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표면경도의 차이로 인하여 타이타늄 지대주를 사용할 때보다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 임플란트의 external hexagon부분 및 플랫폼의 마모도가 현저하였다.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fixed implant prosthesis)

  • 신희현;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21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은 통상적 총의치,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등 다양한 치료 옵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가철성 수복과 비교해 최종적인 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우식과 만성 치주염으로 전악 발거를 요하는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단계에서 최종 보철물 형태를 고려하여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였으며 고정성 임시 수복물 단계에서 수정 및 재제작을 통해 기능과 심미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임시 수복물을 바탕으로 금속 도재관의 최종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나사 풀림 및 도재 파절 등의 합병증에 대처하기 위해 구치부의 경우 나사 유지형 보철물, 전치부는 나사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최종 보철물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측면에서 개선된 예후를 보였다.

유니버설조인트 시험방식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피로시험 및 가속수명시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tigue Test and the Accelerated Life Test for Dental Implant using Universal-Joint Test Type)

  • 도경훈;이석진;김종미;김성민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7권1호
    • /
    • pp.50-57
    • /
    • 2017
  • Purpose :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fatigue test for dental implants and accelerated life test by using a static type loading device commonly used in Korea and a dynamic type loading device (universal-joint) recommended by FDA. Methods : Fatigue tests of dental implant is based on ISO 14801 and classified into static load test and dynamic load test. The tests were carried out on three test specimens by four load stress steps under each loading device. For analysis on failure mode such as crack, fracture and permanent deformation of test specimens, we used X-ray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on test specimens before and after the fatigue tests. The design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wa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atigue life data obtained from the dynamic load test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Minitab ver.15) was used to analyze the appropriate life distributi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fatigue tests and the accelerated life tests at same acceleration condition under each test method, the fatigue life under the dynamic type loading device (universal-joint) was shorter than when static type loading device was applied. Conclusion : This paper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the universal-joint type loading device for implants fatigue test is applied as ISO 14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