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e Response

검색결과 2,264건 처리시간 0.042초

백부근(百部根) 약침(藥鍼)의 천식억제(喘息抑制) 및 면역조절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uppression Effect of Asthma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of Stemonae Radix Herbal-acupuncture)

  • 허민;오영선;조현경;유호룡;김윤식;설인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09-616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R-HA(Stemonae Radix-herbal acupuncture) at Joksamni(ST36) on ovalbumin-induced asthma in mice. C57BL/6 mice were sensitized and challenged with OVA(ovalbumin) for 12 weeks(once a week). One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as just treated with needle-prick on Joksamni(ST36) and the other group was treated with 1% concentrations of SR-HA at Joksamni(ST36) for the later 8 weeks (3times/week). The weight of lung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group. The total cells of lung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Total leukocytes and eosinophils in BALF of the mice group treated wti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Eosinophils in BALF of the mice group treated wtih SR-HA in Photomicrograph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histological analysis of lung sections, adhesion of collagen in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 of IgE, IL-4, IL-5 in BALF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group. The concentration of IL-4, IL-5, IL-13 in serum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group. The number of Gr-1+/CDl1b+, CO3-/CCR3+, CD4+, CD8+, CD3e+/CD69+ cells in the lungs of the mice group treated with SR-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monae Radix Herbal-acupuncture at Joksamni(ST36) in 057B146mice may be an effective part to OVA-induced asthma in C57BL/6 mice.

황약자(黃藥子)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ioscorea Bulbifera MeOH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In Vitro and In Vivo)

  • 정지윤;이종록;변성희;정지욱;김용한;김상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0-318
    • /
    • 2010
  • Dioscorea bulbifera is one of the traditional medicinal herb. It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hematemesis, epistaxis,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laryngitis, acute infectious disease in East Asia.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bulbifera MeOH extract (DBME) in macrophage cell line. To investigate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lipopolysaccaride (LPS)-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p-inhibitory ${\kappa}B{\alpha}$ (p-$I{\kappa}B{\alpha}$), an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in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he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DMEM + serum medium for 24 hrs. After serum starvation for 24 h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BME 0.03, 0.10, 0.30 mg/$m{\ell}$ for 1 h,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LPS (1 ${\mu}g/m{\ell}$) for activation of immune response. After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NO production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nitrite content in culture medium. The protein band of iNOS, COX-2, p-$I{\kappa}B{\alpha}$, and NF-${\kappa}B$ was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is and levels of cytokine were analyzed by sandwich immunoassays. There were three experimental groups: carrageenan, DBME 0.3, 1.0 g/kg. Rats were administrated either carrageenan (40% PEG) or carrageenan + DBME (0.3, 1.0 g/kg body weight) for 4 days (p.o.). To induce acute paw edema, rats were injected 1% carrageenan (100 ${\mu}{\ell}$/rat, dissolved in sterilized saline). The effect of DBME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As results, DBM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O, PGE2, TNF-${\alpha}$, IL-$1{\beta}$ and IL-6 and on the expression of iNOS, COX-2, p-$I{\kappa}B{\alpha}$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to nuclear from cytosol. In addition, DBME effectively inhibited the increases of paw edema induced by carrageenan treatment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DBME can inhibit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might be a useful source for treatment of acute inflammatory disease.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Rotaviral Gastroenteritis between Neonates and Infants)

  • 박민경;박재옥;김창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53-161
    • /
    • 2006
  • 목 적: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급성 설사증의 대표적인 원인 병원체로써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한다.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1975년에 Chrysite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후 원내 장염의 중요한 원인체로 알려졌으며, 신생아는 영유아와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저자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신생아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2월 1일부터 2003년 1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 장염으로 입원하여 시행한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사 양성인 신생아 104명, 영유아 250명을 대상으로 성별, 계절별 분포, 임상 증상, 동반된 질환, 수유 방법에 따른 발생 빈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계절별로 보면 영유아에서는 2~6월 사이에, 신생아는 10~12월 사이에 발생률이 높았다. 임상 증상은 영유아에서는 설사, 구토, 발열이 가장 흔했고, 경련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으며, 신생아에서는 발열과 설사 증상 외에 탈수와 동반된 대사성 산증,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끙끙거림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밖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으나 수유량 감소, 기면, 구토 등의 증상도 보였다. 동반된 질환으로 영유아는 상기도 감염, 폐렴,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 많았으며, 그밖에 요로감염, 장중첩증, 출혈성 위염, 간염, 가와사키병이 동반되었다. 신생아에서는 괴사성 장염이 의미 있게 동반되었고, 그밖에 상기도 감염, 폐렴, 요로감염이 있었다. 수유 방법에 있어서는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아 중 신생아와 영아 모두 분유 수유아가 모유 수유아보다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영유아와 달리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수유량 감소, 기면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염두에 두고 진단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는 물론 신생아에서도 중요한 원인체로 밝혀지고 있으므로 향후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보다 쉽고 간편한 진단 방법, 병원체 분리, 감염 경로, 면역 반응 및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틸리피아에서 분리(分離)한 Edwardsie tarda의 성상(性狀)과 항원성(抗原性)에 대하여 (Characteristics and Antigenicity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Tilapia (Oreochramis niloticus))

  • 오명주;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7-85
    • /
    • 1988
  • 1987년(年) 3(월)月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 어병학(魚病學) 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중(飼育中)이던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에 세균성(細菌性) 질병(疾病)이 발생(發生)하여 만성적(慢性的)으로 몇마리씩 폐사(斃死)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이러한 질병(疾病)의 원인(原因)을 밝히기 위하여 원인균(原因菌)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형태적(型態的),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을 관찰(觀察)하고 병원성(病原性),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 실험(實驗)을 하였으며 시험항원(試驗抗原)을 제작(制作)하여 그 항원성(抗原性)을 조사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병어(病魚)에서 분리(分離)된 원인균(原因菌)은 Edwardsiella tarda로 동정(同定)되었다. 2. 분리균(分離菌)을 틸라피아에 접종하여 재현성실험(再現性實驗)을 한 결과(結果) 전형적인 E. tarda의 감염증상을 나타내고 사망(死亡)했으며, 어류(魚類)로부터 동일균(同一菌)을 얻을 수 있었다. 3. 분리균(分離菌)은 oxytetracycline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고, MIC는 6.9로 나타났다. 4. 분리균(分離菌)은 병원성(病原性)이 강한 균(菌)이었으며, 48-LD50은 $10^{6.4}cell$/fish 이었다. 5. 시험항균(試驗抗原)으로, 포르말린사균항원, 초음파처리항원, 균여과액항원을 사용하였으며, 이 세가지를 사용한 항원성시험(抗原性試驗) 결과 포르말린사균항원의 시험구에서 높은 응집가와 방어력을 나타내었다.

  • PDF

구강편평태선 환자에서 발생한 암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 고찰 (Case Report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n Oral Lichen Planu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49-54
    • /
    • 2009
  • 편평태선은 작고 편평한 다각형의 구진을 피부나 점막에 보이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편평태선을 유발하는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피부나 점막에서의 항원변화가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구강편평태선은 초기에는 양성 병소로 생각되었으나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전암 병소로 분류되었다. 구강편평태선이 악성화되는 단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편평태선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은 구강암 발생에 있어 일반적인 위험 요인(예: 흡연, 음주)과 관계없이 악성 발현을 보인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전이는 여러 문헌에서 논란을 보이나, 0.5%에서 5%까지 보고되었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전이는 특정 임상적 양상, 과각화나 미란성에서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전이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예후의 개선과 조기 진단을 위하여 임상가는 일년에 최소 일회에서 2회까지 추적 조사를 해야 한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중년의 여성에게서 십수년간 지속된 구강편평태선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암종을 살펴봄으로써, 임상가가 유념해야 할 구강편평태선의 악성 변이에 대한 고찰 및 진단시와 추적 조사시에 고려사항을 고찰하자고 한다.

치아 우식증에 따른 치수내 유전자 발현 변화에 관한 분석 (GENE EXPRESSION ANALYSIS OF THE DENTAL PULP IN HEALTHY AND CARIES TEETH)

  • 오소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287
    • /
    • 2010
  • 치아 우식증은 범발성 질환이고 이에 대한 생체반응은 단순하지 않으며 질병 과정과 숙주의 활성 모두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세포학적, 분자학적인 면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치아와 우식이 진행된 치아로부터 얻어진 치수 안의 유전자 발현을 규명하고 우식 병소에서 일어나는 치유 및 재생에 관계되는 분자와 면역 세포들 사이의 분자 생화학적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우식치아와 건전치아의 치수를 이용하여 cDNA 미세배열(microarray) 분석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분석, 그리고 면역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DNA 미세배열 분석 결과, 건전치아군인 대조군에서는 143개의 유전자가, 우식치아군인 실험군에서는 377개의 유전자가 1.6배이상 발현되었다. 2.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에서 14개의 유전자를 선택하였고 cDNA 미세배열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3. TGF-${\beta}1$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건전치에 비해 우식치의 상아모세포와 치수에서 특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Effects of Tumor Microenvironmental Factors on DNA Methylation and Radiation Sensitivity in A549 Human Lung Adenocarcinoma

  • Oh, Jung-Min;Kim, Young-Eun;Hong, Beom-Ju;Bok, Seoyeon;Jeon, Seong-Uk;Lee, Chan-Ju;Park, Dong-Young;Kim, Il Han;Kim, Hak Jae;Ahn, G-On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66-74
    • /
    • 2018
  • Background: Tumor response to anticancer therapies can much be influenced by micro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hese microenvironmental factors on DNA methylation using A549 human lung adenocarcinoma cell line. Materials and Methods: We subjected A549 cells to various conditions mimicking tumor microenvironment including hypoxia, acidosis (sodium lactate), oxidative stress ($H_2O_2$), bystander effect (supernatant from doxorubicin (Dox)-treated or irradiated cells), and immune cell infiltration (supernatant from THP-1 or Jurkat T cells).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these cells and analyzed for DNA methylation. Clonogenic cell survival, gene expression, and metabolism were analyzed in cells treated with some of these conditions. Results and Discussion: We found that DNA methyl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549 cells treated with conditioned media from Dox-treated cells or Jurkat T cells, or sodium lactate, indicating an active transcrip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ecreased DNA methylation affects radiation sensitivity, we exposed cells to these conditions followed by 6 Gy irradiation and found that cell surviva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sodium lactate while it was decreased by conditioned media from Dox-treated cells. We further observed that cells treated with conditioned media from Dox-treated cells exhibited significant changes in expression of genes including BAX and FAS (involved in apoptosis), NADPH dehydrogenase (mitochondria), EGFR (cellular survival) and RAD51 (DNA damage repair) while sodium lactate increased cellular metabolism rather than changing the gene expressio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tumor microenvironmental factors can differentially influence DNA methylation and hence radiosensitivity and gene expression in A549 cancer cells.

Genetic signature of strong recent positive selection at interleukin-32 gene in goat

  • Asif, Akhtar Rasool;Qadri, Sumayyah;Ijaz, Nabeel;Javed, Ruheena;Ansari, Abdur Rahman;Awais, Muhammd;Younus, Muhammad;Riaz, Hasan;Du, Xiao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12-919
    • /
    • 2017
  • Objective: Identification of the candidate genes that play key roles in phenotypic variations can provide new information about evolution and positive selection. Interleukin (IL)-32 is involved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its role for the immune response against various diseases in mammals is poorly understood. Therefore,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evolution and the positive selec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IL-32 gene. Methods: By using fixation index ($F_{ST}$) based method, IL-32 (9375) gene was found to be outlier and under significant positive selection with the provisional combined allocation of mean heterozygosity and $F_{ST}$. Using nucleotide sequences of 11 mammalian species fro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database, the evolutionary selection of IL-32 gene was determined using Maximum likelihood model method, through four models (M1a, M2a, M7, and M8) in Codeml program of phylogenetic analysis by maximum liklihood. Results: IL-32 is detected under positive selection using the $F_{ST}$ simulations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revealed that goat IL-32 was in close resemblance with sheep IL-32. The coding nucleotide sequences were compared among 11 species and it was found that the goat IL-32 gene shared identity with sheep (96.54%), bison (91.97%), camel (58.39%), cat (56.59%), buffalo (56.50%), human (56.13%), dog (50.97%), horse (54.04%), and rabbit (53.41%)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IL-32 gene as under significant positive selection in goat.

완충 용액의 종류, pH 그리고 침지 시간에 따른 소장점막하조직 쉬트의 물 흡수 효과 (Effect of Types of Buffer Solution, pH and Soaking Time on the Water Uptake of Small Intestinal Submucosa Sheets)

  • 김선화;신혜원;장지욱;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478-486
    • /
    • 2004
  • 소장점막하조직은 콜라젠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및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종이식의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생체물질로서 응용되고 있고 SIS에 함유되어 있는 성장인자는 전층 피부손상층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본래의 SIS 쉬트와 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팽윤시킨 SIS 쉬트를 제조하였고, 각각에 대해 1겹과 5겹의 SIS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를 SEM을 통해 표면 및 단면의 형태를 확인하였고, 증류수, 인산염 완충액,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HEPES (N-[2-hydroxyethyl) 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완충액에서의 물 흡수성, pH에 따른 물 흡수성 그리고 시간에 따른 물 흡수성을 비교 실험하였다. 본래의 SIS 쉬트보다 산 처리된 SIS 쉬트가, 증류수보다는 완충액에서의 물 흡수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중성 용액보다 산성과 염기성 용액에서 SIS 쉬트는 팽윤되어 더 많은 물을 흡수하였다. 또한, 증류수와 HEPES 완충액에서 시간에 따른 물 흡수성 실험을 한 결과 1일 이후부터 10일 동안 약 200%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였다. 이로써 SIS 쉬트와 산 처리된 SIS 쉬트가 창상 치료를 위한 드레싱제와 생분해성이식 재료로서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닭에서 계두 예방 접종에 관한 연구 (Vaccination Studies against Fowl Pox in Chickens)

  • ;;;차세연;장형관;송희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3-257
    • /
    • 2007
  • 파유미 종 닭에 계두 및 구두 백신을 접종하고 2종의 백신에 대한 방어 능력을 방글라대쉬의 야외의 닭 사육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Take reaction'의 수율을 평가하여 이것을 더 나은 면역 반응과 관련지어 해석하였으며, 그룹 B와 그룹 C의 닭은 각각 93.33%와 100%의 면역 반응을 보여주었다. 1차 예방접종에 따른 평균 PHA 항체가는 B와 C 그룹에서 각각 $32{\pm}14.81$$33{\pm}13.66$으로 나타났다. 보강 접종 후 평균 PHA 항체가는 B 및 C 그룹의 전 처리군에서는 $46.93{\pm}16.52$$55.46{\pm}14.64$이었으며, 공격접종 2주 후 시점에서 향체가는 각각 $93.86{\pm}33.04$$110.93{\pm}29.29$로 나타났다. PHA 항체가는 백신 접종 후와 접종 후 처치군들에서 백신접종 전 항체가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현저한 PHA 항체가의 차이는 사용한 백신의 종류가 다양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기도 하였으나, 백신 접종을 받은 모든 닭들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