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판별 방안 연구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hods of Identifying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황국환;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판별을 위해 영재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행하고,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수학 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절차와 그에 따른 내용을 정의하고, 6학년들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관찰 및 평가를 통해 영재판별을 실시한다. 셋째, 판별절차에 의해 정해진 영재집단과 타 초등학교의 수학 과학 학업우수자인 일반집단과의 과제 성취를 비교, 분석하여 타당도를 분석한다.

  • PDF

융복합 시대 유아 영재판별의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for Identification of Young Gifted Children in Convergence era)

  • 차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21-226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논란의 핵심인 영재교육 자체의 필요 여부와 영재성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 할 것인가, 과연 영재 판별은 어떤 근거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영재판별의 최근 경향을 중심으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융복합시대에 적합한 유아 영재 판별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할 것이다.

언어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Development of a Test for the Identification of Verbally Gifted Children)

  • 장영숙;구자억
    • 아동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9-152
    • /
    • 2002
  • The test for the identification of verbally gifted children was administered to 323 gifted and average primary school children. Listening, reading, writ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nd speaking was videotaped for analysis of the interview and discussion process. Cronbach's ${\alpha}$ confirmed reliability of th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tem scores and total scores. Concurrent validity was indicated by correlations between total scores and language arts scores. The tes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average children in reading and writing scores for the 2nd and the 3rd graders, and in listening and reading scores for the 4th, 5th, and 6th graders. Analysis of speaking ability showed that the gifted children expressed their ideas more logically and creatively than the average children.

  • PDF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A Comprehensive Model for Identification of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 박소영;이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51-27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영재 판별의 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다인수 학급에서의 미성취 영재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단계와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2006년 3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전교생 1980명을 대상으로 하여, 70명의 교사 추천(1단계)으로 시작하여 6단계 위원회 최종판별에서 4명의 미성취 영재(2 4 5 6학년 남학생)가 판별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다 다면적이고 적합한 미성취 영재 판별을 위하여 표준화 검사 도구, 체크리스트와 설문지, 학업 성취도 검사를 채택, 수정, 혹은 개발하였으며 판별 과정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미성취 영재의 복합판별 과정의 개발 및 적용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교사추천, 간편검사, 미성취 특성 체크리스트, 다차원검사, 관찰 면담, 위원회 최종판별이라는 복합판별 과정이 교육현장에서 미성취 영재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초등학교 시각예술영재의 판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Methods for Artistically Gill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 이용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203-220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각예술영재교육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시각예술영재의 판별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시각예술영재의 판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초등학교 시각예술영재의 판별방법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한 후, 형식적인 표준화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비형식적인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비검사 측정적인 방법으로 구분하고, 구체적인 특성과 한계를 논의하였으며 끝으로 초등학교 시각예술영재의 판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Usefulness of Convergent Education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T

  • Jun, Wooc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2호
    • /
    • pp.43-48
    • /
    • 2016
  • In the pres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an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very important for every citizen. Also, for national power of a nation, IT-related industries need to be supported since those industries can be re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unlike other industries. In this sens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in IT become a serious national issue. Since 2013, gifted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by government policy. However,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n convergent education for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convergent curriculum for gifted education in IT. For this purpose, gifted children in IT in a gifted education center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 entrance ranking and graduation ranking, it is concluded that the current convergent gifted curriculum may not be efficient.

정보영재의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ubject and Convergence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84-990
    • /
    • 2015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IT 소양과 활용은 개인의 경쟁력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 IT 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짐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IT 산업의 육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IT산업은 소수의 인재가 전체 산업을 이끌고 있어, 정보영재의 발굴과 육성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서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정보과목을 잘하면 융합과목도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융합과목의 비중, 교육내용의 구성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 최문경;박정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5-14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영재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영재의 특성,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영재 담당교사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으며, 영재의 지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그리고 영재의 조기판별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판별 기준에 대한 인식이나 판별 능력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접해본 경험 부족으로 인해 매우 낮았으며, 영재 담당 교사 연수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 담당 교사에 대한 의향은 매우 낮았다. 이로써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인식은 보통이나 긍정적인 수준이었지만 실천적 인식은 영재교육에 대한 열악한 재정적, 행정적 환경으로 인해 낮은 수준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 가 있다.

중등 수학 영재 판별 및 선발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on the middle school)

  • 최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107-126
    • /
    • 2001
  • 영재는 그 다양한 특성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판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판별절차에 관한 학자들의 이론도 다양하다. 특히 고도의 창의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수학 영재아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한 면이 심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학 영재교육센터에서 실행했던 중등 수학영재선발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더 발전된 수학 영재아의 판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뉴질랜드의 영재교육에 관한 소고 (A Remark on Gifted Education in New Zealand)

  • 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26
    • /
    • 2006
  • 이 연구는 영재의 개념과 정의, 영재성(giftedness)과 재능(talent)의 차이점, 뉴질랜드에서의 영재교육정책과 현안문제, 뉴질랜드에서의 영재의 판별원칙과 방법 등을 다룬다. 아울러 뉴질랜드에서의 영재교육에 대한 현안들이 부분적으로나마 우리와 어떻게 다른지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Brian Storey의 도움을 받아 우리나라의 6학년 정도의 영재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한 예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