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융합

검색결과 13,529건 처리시간 0.039초

IT 융합 교육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 분석 (Analysis of Undergraduates' Creative Problem Solving with or without IT Convergence Education)

  • 김성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2-374
    • /
    • 2019
  • 제 4차 산업 혁명을 맞이하고 있는 최근 대학 교육은 전문적인 지식의 전수보다 문제해결력이나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융합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 융합 교육을 실시한 후와 일반 융합 교육을 실시한 후,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융합 교육보다 IT 융합 교육을 받은 수강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해 대학에서는 각종 강좌에 IT 융합 교육을 연계한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비쿼터스 하에서의 바이오 정보시스템 (BT+IT+NT) 융합기술의 조화와 산업화 접근체계 연구 (A study on the Bio Information System(BT+IT+NT) about Accordance of Fusion Technology an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Ubiquitous Society)

  • 성호준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7-402
    • /
    • 2007
  •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IT-BT-NT 융합기술에 대해 융합기술 개발이 미래의 성장동력 창출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융합기술 개발면에서 IT - BT 는 선진국에 비해 $65{\sim}80%$, NT-BT는 $65{\sim}65%$, IT-NT는 $50{\sim}80%$로 열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융합기술개발에 기반한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먼저 정부측에서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와 자금지원, 종합적인 융합기술개발전략의 수립, 관련부처간 역할분담과 조정, 법 제도 정비 및 역기능 방지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 PDF

IT기반 융합촉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 황규희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11호
    • /
    • pp.42-47
    • /
    • 2008
  •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바이오 기술 등을 중심으로 기술융합이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의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지식형성측면을 중심으로, 이러한 융합기술의 확산에 대응한 융합인력양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합기술에 대응한 인력양성 및 활용을 위해서는, 융합기술의 진행에서 지식의 속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지는지, 또한 특정한 속성의 변화가 존재한다면 새로운 속성을 포함한 지식의 생성과 습득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지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IT기반 의공학부문과 양자암호체계에서의 융합연구 사례를 통해, 기술 성격과 지식 습득 전략을 검토하고, 이들 융합기술 수행과정상의 특징으로 부터 인력양성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융합디자인 가구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Design Furniture)

  • 김미숙;강화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143
    • /
    • 2018
  • 융합을 기반으로 4차 산업 혁명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가구산업에도 IT기술과 융합한 스마트가구가 출시되면서 우리 생활에 편리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을 기반으로 가구디자인 특성을 시대 변천에 따라 분석 하였다. 20세기 전 후의 융합 가구는 동양의 건축양식이나 캔틸레버와 같은 건축구조 및 재료를 융합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인 반면, 21세기의 융합 가구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는 융합가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 추세로 인해 소형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의 가구, 기능의 융합이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가구 디자인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이제까지 낙후산업이라 인식되었던 가구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논문이 가구산업의 발전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봉변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법에 의한 봉군 내 꿀벌가시응애류 (Tropilaelaps)의 정량적 검출 (Quantitative Detection of Tropilaelaps in Hive by Specific Gene Detection from Hive Debris)

  • 김병희;김소민;김문정;김정민;;김선미;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37
    • /
    • 2019
  • Rapid detection of Tropilaelaps, an external parasite of honeybees that lead to malformation of honeybee or colony collapse disorder, is becoming important. Bu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with the naked eye of Tropilaelap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method to detect the specific gene of Tropilaelaps from the hive debris and to know the number of Tropilaelaps in the hive through Tropilaelaps-specific quantitative detection. Tropilaelaps-specific gene amplified in DNA extracted from hive debris by consecutive PCR (1st detection, 2nd nested PCR). It could detect 101 molecules level of Tropilaelaps-specific gene and confirm the amplification of the Tropilaelaps-specific gene. It wa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the number of Tropilaelaps from the hive debris sample, which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presence of Tropilaelaps visually, through Tropilaelaps-specific detection. Under the microscope, Tropilaelaps was collected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Tropilaelaps-specific genes was performed. It was possible to quantify the number of Tropilaelaps present in the hive through the molecules of the quantified Tropilaelaps-specific genes. We suggest that hive debris can represent as a micro-environment to hive and show that it can be a simpler and more accurate sample than using a parasitic host honeybee. We expect that hive debris should facilitate the monitoring of Tropilaelaps in hive.

IT융합 헬스케어기술

  • 박정훈;황보택근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5호
    • /
    • pp.21-27
    • /
    • 2011
  • 본고에서는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미래의 의료형태인 유헬스케어에 필요한 IT융합 헬스케어기술을 소개하였다. IT융합 헬스케어기술이 성공적으로 실시되면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와 웰빙을 필요로 하는 많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헬스케어는 환자 중심의 질병 및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는 개념에서 점차 일반인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개념으로 변화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IT 기술과 의료서비스를 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료, 치료 그리고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는 유헬스케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과 선진국 간 고분자 소재 기술의 융합 형태와 기술수준 비교 분석: 특허 정보의 활용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rgence Types and Technology Levels of Polymer Technologies in Korea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 노지숙;지일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2
    • /
    • 2019
  • 고분자 소재는 생활용품 등은 물론 자동차, 우주항공, 에너지, IT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고분자 소재의 지속적 혁신을 위해 고분자 기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융합 동향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허 정보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별 고분자 소재의 기술융합 형태와 기술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개 등록 기준으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PCT를 수집하여 동시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과 한국은 기술의 분야를 넘어서는 대분류(섹션) 수준의 융합이 더 많은 반면, 미국과 유럽은 화학분야 내에서 중분류(Field) 수준의 융합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특허활동력, 특허경쟁력, 특허영향력으로 살펴본 질적 측면에서는 한국 융합기술이 다른 나라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영향분석을 활용한 건설 업무기능 및 공종 별 주요 IT기술 도출 (Elicitation of Poten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Process and Tasks - Using Cross-Impact Analysis)

  • 박성훈;권순욱;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60-169
    • /
    • 2012
  • 최근 국내 건설 시장은 포화 및 성장률 둔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에 맞춰 IT기술을 융합함으로써 당면한 상황을 타개하려는 움직임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건설산업은 IT융합의 여지가 매우 적었으며 단순히 IT기술을 필요에 따라 사용해 왔다. 다시 말해 건설 프로세스 전체가 아닌 일부 공정 공종으로 한정적으로 적용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 전(全)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포괄적 관점에서 융합기술을 분석하여, 건설 IT융합 모델 개발 및 활용방향의 지표가 될 수 있는 프로세스 단계 별 적합한 유망 IT기술을 도출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건설 IT융합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진화현상으로서의 융합의 전개 및 방향성

  • 정재용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11호
    • /
    • pp.3-6
    • /
    • 2008
  •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의 융합현상은 여러 학문분과와 기술간 융합이 동시다발적으로 집적화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하나의 패러다임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IT, BT, 나노 분야간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IT기술은 기술간 융합을 매개하는 인프라로서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래하는 융합기술경제패러다임에서 국가경쟁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교육, 연구조직 및 관리, 금융, 정책 등의 차원에서 개방형의 융합친화적인 사회제도적 틀의 구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IT 기반 선박 토탈 솔류션 기술 현황과 추진 방향

  • 김재명
    • IT SoC Magazine
    • /
    • 통권27호
    • /
    • pp.40-47
    • /
    • 2008
  • 조선산업은 노동집약형이면서도 기술집약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는 전통산업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IT융합 기술을 접목시켜야 한다. 특히 조선 기자재 산업 중 IT 융합 기술을 접목시켜야 한다. 특히 조선 기자재 산업 중 IT 융합 시스템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해야만 조선사업의 초일류화를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세계적으로 추진중인 e-Navigation 정책의 중요성을 IT기반 시스템 관점에서 기술하고, 조선 산업에 IT기술을 도입하여 생산 공정 혁신, 핵심기술 개발 등으로 원가절감, 안전한 고품질의 선박 개발, 환경 개선 등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조선산업에 IT기술을 융합하기 위한 IT 기반 선박 토탈 솔류션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조선산업의 초일류화를 지속하기 위해서 추진해야 할 조선-IT융합분야에서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