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factors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28초

패션 매장의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중요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rvice in fashion stores on behavior intention)

  • 김민경;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922-931
    • /
    • 2021
  •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can be applied in stores, and the number of fashion stores that have introduced and utilized ICT are increasing. By applying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e types of ICT service factors of fashion store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e effect of their importance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was analyzed. Next, using factor analysis on the ICT service factors,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follows: smart space services, smart payment services, virtual image services,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and smart access services. Th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was then analyzed.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detailed questions was rated above average.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ICT service on behavior intention, issues such as purchase inten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the importance factors of ICT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fashion stores in a situation where retail techniques become important and expand, and provides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according to detailed factors. With retail tech becoming more important and exp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onsumers value by utilizing ICT in fashion stor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CT technology and services of various fashion stor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nd retail tech utiliz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CT기반 융합기업의 성공 요인 및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olicy Direction of ICT-based Convergency Company)

  • 원상호;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9-50
    • /
    • 2015
  • ICT융합은 기업의 대표적인 혁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ICT기반의 융합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했다. ICT융합 기업의 성공요인은 ICT기술의 융합을 통한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화, R&D투자 강화를 통한 융합형 기술력 확보, 융합에 대한 CEO 강력한 리더십 및 국내외 협업관계의 강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ICT융합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을 위한 노력, 적극적인 R&D투자,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은 성공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복잡한 인허가 절차, 국산 제품 및 서비스의 나쁜 선입견, 해외진출 부담 등은 부정적인 효과를 준다. 이런 결과를 ICT융합 확산을 위한 정책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스마트 철도 통신기반 위험요인에 따른 정보보호 방안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by Risk Factors based on Smart Railway Communications)

  • 박은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95-702
    • /
    • 2022
  • 최근 들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 철도 시스템은 통신기술과 정보기술 등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으로 자동화 단계를 넘어 지능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스마트 철도에 사용되고 있는 ICT 기술은 일반적으로 정보침해에 취약한 특성을 보여 다양한 정보보호 기술의 지원을 받고 있다. 고속/대량 운송 수단으로서 철도 시스템의 스마트화에는 그 기반을 이루는 ICT 기술을 위한 정보보호 방안의 강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철도 통신기반의 잠재적 위험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보호 요소를 고찰하여 스마트 철도 통신을 위한 단계별 정보보호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ICT 매체특성과 개인혁신특성이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s of ICT Media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Innovativeness on Communication Interaction)

  • 윤중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193-21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으로 인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사용자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 및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매체활용이론 및 정보기술 수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들을 추출하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였고, 이를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통신처리속도, 처리용량, 셋업시간, 처리의 정확성, 제공매체의 다양성, 그리고 시 공간제약 여부를 중심으로 평가한 ICT 매체특성, 신기술에 대한 호기심, 충동적 반응과 즉각적 반응정도로 구분한 정보기술 개인혁신성은 ICT 매체활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ICT 매체특성, ICT 매체활용태도는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기술 개인혁신성은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혁신성이 클수록 정보전달, 정보접근, 정보공유 및 활용에 소극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로 제시된 결과는 ICT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를 해석하는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ICT 중소기업 기술지원 투입과 성과간의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Input and Performance of Technical Support for ICT SMEs)

  • 이형주;이용훈;박소라;이일진;김서균;박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59-46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운영 중인 ICT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수혜한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투입과 성과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2015년~2017년 사이에 기술지원을 수혜한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경로분석을 통하여 투입요인과 성과요인 사이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수준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원서비스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고, 비용절감 효과는 지원건수, 지원연차, 지원서비스 품질 모든 변수로 부터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기술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비용절감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여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요인은 지원건수이며, 지원연차와 지원 서비스품질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 경제적성과가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여매출액이 많이 발생할수록 고용창출효과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성취를 예측하는 학생과 학교 및 ICT 요인 :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Student-, School-, and ICT-Factors Predicting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cusing on Analyses of Multi-level Models)

  • 임효진;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7-47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142개 학교의 4863명)의 PISA 2015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에 미치는 학생, 학교 수준의 배경요소와 ICT 요인을 설정하여, 설명 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모형1)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최종모형(모형5)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이하 HL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협동지수는 CPS 점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불공평함은 CPS 점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목적의 ICT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오락 목적의 ICT 사용빈도와 학교에서의 ICT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PISA 2015에서 최초로 측정된 ICT 태도 중 ICT에 대한 흥미가 높고 ICT 기기 사용에 대한 자율성이 높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으며, ICT를 사회적 상호작용(SNS, 채팅)을 위한 도구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CPS 점수가 낮았다. 셋째, 학교 수준 변수에서는 학교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 행동이 적을수록, 교사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당 이용가능한 컴퓨터 수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ICT에 대한 흥미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의 ICT 기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ICT 활용이나 SW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Unveiling the Effects of ICT Adoption in the Apparel Sector of Bangladesh Based on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Framework

  • S.M. Shafiul Ala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4호
    • /
    • pp.977-998
    • /
    • 2023
  • The study is based on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model which,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re going to influence ICT adoptio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evaluates the interplay among technological context (IT infrastructure, system security, and user capacity), organizational context (top management commitment, and innovations strategies), environmental context (quick response to the external agencies, interactive network infrastructure, and competitive pressure) and ICT adoption (productivity growth, organizational change, and competit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senior executives of full member firms of the Bangladesh Garments and Manufacturers Association (BGMEA)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in the proposed framework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analysis of TOE factor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CT tools. The study also discusse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ractitioners.

COVID-19 대응 ICT 기술융합 스마트팜 활성화에 따른 기대요인 분석 (Analysis of Expectation Factors for the Activation of Smart Farms for ICT Technology Convergence in Response to COVID-19)

  • 박병권;최형림;강다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2호
    • /
    • pp.45-62
    • /
    • 2022
  • Purpose Smart farms play a leading role in changing the safety food culture for the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to covid 19-response in the case of ICT smart farm. To do so, we classified the factors as operating effect aspect and industrial wave effect aspect of the smart farm.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by visiting Geumsan County, which is attempting to perform a smart farm. Through interviewing farmers representatives based on their operational effect expectations on the smart farm, we derived the industrial crash effect factors and thereafter designed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applied AHP, which is an expert decision-making method cans be used to measure relative importance for determining priorities. After interviewing the experts with smart farm, we obtained the factors which are important to smart farm development. Findings According to analysis,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 was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operational effect item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ultimate goal of smart farms with ICT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is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agriculture. The second place is th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and the third and fifth positions were export expansio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agement, and job cre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effectiveness.

초등학생의 ICT소양교육 학업 성취도와 다중지능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Study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ICT Literacy Educ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도윤;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03-110
    • /
    • 2004
  • 최근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ICT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앞으로의 교육은 이미 정해진 틀에 학습자를 맞추기보다는 학습자의 개인적 자질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ICT소양교육도 다중지능을 바탕으로 개개인 학생의 능력과 소질을 잘 판단하여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도와 다중지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 우수아와 부진아를 대상으로 어떤 지능이 ICT소양교육의 성취도를 결정하는 요인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논리수학지능이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논리수학지능과 언어지능이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적의 우열 결정에 크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ICT 요인: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level ICT-related Factors on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Focusing on Korea and Japan)

  • 이영호;구덕회;임효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25-43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2 결과에 나타난 학생 및 학교수준의 ICT 요인이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면서, 추가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PISA 2012의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에는 한국에서는 156개 학교의 5,033명의 학생이, 일본에서는 191개 학교의 6,351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수준 위계선형모형(HLM)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국가의 공통점으로는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에 처음 접한 시기가 빠를수록, 사회경제적배경이 높을수록, 개방성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력 점수가 높아졌으며, 가정이나 학교에서 제공하는 ICT 기기에 대한 접근성은 문제해결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가 간의 차이점으로는 ICT의 사용 목적이나 태도, 교사-학생관계, 창의적 방과후 활동의 유무 등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