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9/KAIS.2022.31.2.45

Analysis of Expectation Factors for the Activation of Smart Farms for ICT Technology Convergence in Response to COVID-19  

Park, Byung Kwon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Choi, Hyung Rim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Kang, Da Yeon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v.31, no.2, 2022 , pp. 45-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Smart farms play a leading role in changing the safety food culture for the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to covid 19-response in the case of ICT smart farm. To do so, we classified the factors as operating effect aspect and industrial wave effect aspect of the smart farm.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by visiting Geumsan County, which is attempting to perform a smart farm. Through interviewing farmers representatives based on their operational effect expectations on the smart farm, we derived the industrial crash effect factors and thereafter designed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applied AHP, which is an expert decision-making method cans be used to measure relative importance for determining priorities. After interviewing the experts with smart farm, we obtained the factors which are important to smart farm development. Findings According to analysis,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 was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operational effect item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ultimate goal of smart farms with ICT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is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agriculture. The second place is th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and the third and fifth positions were export expansio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agement, and job cre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effectiveness.
Keywords
Smart Farm; ICT Convergence; AHP; Expert Decision-Mak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가 짓는 농업, 미래 스마트팜," 2018. 06. 04. 보도자료.
2 김규남, "개방형 혁신전략이 ICT 기업의 기술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제14권, 제3호, 2019, pp. 211-235.
3 이철원, 안수용, 김재영, 안형태, "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온실형 스마트팜에서 센서이상 탐지 시스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32권, 제6호, 2021, pp. 1237-1248.
4 정병규, 강덕봉, "스마트팜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귀농인과 원주민의 차이를 중심으로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2020. pp. 54-80.
5 정윤용, 홍승지,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한 스마트팜 확산 정책형성과정 분석," 농촌계획, 제25권, 제1호, 2019, pp. 21-38.   DOI
6 최영찬, 장익훈,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팜," 정보와 통신, 제36권, 제3호, 2019, pp. 9-16.
7 Chesbrough, H. W., "The Era of Open Innovation", Managing Innovation and Change, Vol. 127, No. 3, 2006, pp. 34-41.
8 황윤재, 김경필, 최재현. "국가 푸드플랜 수립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보고서 R839, 2018, pp. 1-196.
9 Becker, W., and Dietz, J.,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Evidence for the German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 Policy, Vol. 33, No. 2, 2004, pp.209-223.   DOI
10 Chanm, F. T. S., and Kumar, N., "Global Supplier Development Considering Risk Factors using Fuzzy Extended AHP-Based Approach", Omega, Vol. 35, No. 4, 2007, pp. 417-431.   DOI
11 Harker, D. T., and Vargas, L. G., "The Theory of Ratio Scale Estimation: Satty's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Vol. 33, No.11, 1987, pp. 1383-1403.   DOI
12 Satty, T. L.,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l. 48, No. 1, 1990, pp. 9-26.   DOI
13 서대석, 김연중, "스마트팜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결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2016, pp. 348-354.   DOI
14 김연중, 박지연, 박영구, "스마트팜 실태 및 성공요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pp. 1-76.
15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스마트팜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 S&T Market Report, 제69권, 2019, pp. 1-16.
16 김한종, 안상돈, "농업.농촌 분야 ICT융복합 확산을 위한 농업인의 기술수용 요인 분석과 농협의 역할-스마트팜 참여 농가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 제36권, 제2호, 2018, pp. 115-135.   DOI
17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9년 농업법인 정보화 수준 및 활용도 조사 보고서," 2020.
18 문애경, 이은령, 김승한, "지능형 농업 서비스를 위한 미기상기반 스마트팜 예측 플랫폼 개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6권, 제1호, 2021, pp. 21-29.   DOI
19 박성진, 김종진, 박지원, "해외 곡물 도입 정책 진단과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보고서 R887, 2019, pp. 1-178,
20 박소진, 오창규,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통신기술(ICT)이 가져온 네트워크 마케팅의 현재와 미래-한국암웨이 사례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6권, 제4호, 2017, pp. 379-400.
21 서판종, 김동희, 문태수,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조직역량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31권, 제1호, 2022, pp. 197-218.
22 이웅규, "정보기술 비사용의 결정요인과 동태적 성격의 규명: 근거이론방법론에 의한 질적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1호, 2018, pp. 1-20.
23 여현, 김성진, "국내 스마트팜 기술 및 표준화 현황," 정보와통신, 제36권, 제3호, 2019, pp. 25-31.
24 윤재곤, "AHP 기법의 적용효과 및 한계점에 관한 연구-MIS 성공요인평가를 위한 3가지 통계기법 비교중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1996, pp. 109-125.
25 윤지혜, 오창규, 이종화, "TLS 마이닝을 이용한 '정보시스템연구' 동향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제31권, 제1호, 2022, pp. 289-304.
26 이재건, 이순흠, 한재용,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2021, pp. 35-42.
27 박성근, 허철무, "농산업 ICT 기술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스마트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팜의 노력기대와 수용의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5권, 제3호, 2020, pp. 19-32.   DOI
28 안문형, 허철무, "스마트팜의 기술적 특성이 노력기대를 매개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6호, 2019, pp. 145-157.   DOI
29 권기덕, "빅데이터와 ICT융복합을 활용한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산업연구, 제44권, 제3호, 2020, pp. 69-88.   DOI
30 권경석, "ICT 융복합 기술을 이용한 축산 스마트팜 연구 개발 및 추진 현황," 한국농공학회: 전원과 자원, 제59권, 제2호, 2017, pp. 38-45.
31 김관중, 허재두, "스마트팜 기술동향 및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0권, 제5호, 2015, pp. 1-1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