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소양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효율적인 e-PBL 교수학습을 위한 e-PAS 시스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PAS System for an Efficient e-PBL Teaching and Learning)

  • 주길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1-459
    • /
    • 2009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양을 급속하게 증가시켜 지식기반사회로의 체제를 굳건히 만들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은 더 이상 학습자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의 적합한 수업모형인 문제중심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과 PBL(문제기반학습)을 결합시킨 수업모형인 온라인 기반의 e-PBL을 제안한다. 이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소양교육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e-PBL 수업모형, 수업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e-PBL을 지원하기 위한 e-PAS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만족도를 신장시켰다.

  • PDF

캄보디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llege Life Experi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Cambodia)

  • 스베이사우마;정제영;정예화;장선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309-33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대학생활 경험 수준을 살펴보고,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프놈펜에 소재한 대학(5개교)의 재학생 5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경험 척도(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SEQ)' 문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에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교과목학습(Course Learning)', '동아리 및 학생모임(Club and Organization)' 경험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의 구축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대학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아리 및 학생모임에의 참여가 학업성취의 향상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원을 위한 단계별 AI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Steps AI Digital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 신수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97-603
    • /
    • 2023
  • 본 연구는 교원의 AI디지털역량을 평가하고 연수에 활용할 수 있는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단계별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AI디지털역량에 대해 활용과 소양의 관점을 테크놀로지컬교수내용지식(TPACK)의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계별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선행연구 사례로 영국교육훈련재단의 3단계 역량, 유네스코 ICT 교사 역량 프레임워크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국내의 여건을 고려하여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을 진입, 적응, 선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최초 진입단계는 2차에 델파이 조사를 통과하였으며 그 외 2개 단계는 1차에서 통과하였다. 최종 진입단계는 AI디지털에 대해 이해는 하였지만, 실천에 어려움을 겪는 단계, 적응단계는 표준교육과정에 적용하는 수준, 선도단계는 심화과정에 AI디지털 적용과 타 교사에게 모델이 되는 수준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총괄 AI디지털 역량을 통하여 세부적인 역량 개발이 가능하며 평가문항개발의 참고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 이승철;이샛별;김태영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34
    • /
    • 2017
  •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다양하다. 첫째,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이다. 빅 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등이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고 그 중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고 강화되어야 할 이유다. 둘째,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다는 것이다. 즉, 더 이상 소비자가 수동적인 소비자로만 남지 않으며, 획일화된 제품과 서비스에 흥미를 느끼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구매할 제품 생산과 판매에 관여하는 '프로슈머(prosumer)' 필요한 물건을 직접 만드는 D.I.Y.(Do It Yourself), 3D 프린팅 등이 새로운 소비 방식을 대표한다[3]. 이에 메이커 운동이 떠오르고 있고, 메이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했다. 초등학교에서는 5~6학년 실과 교과의 정보 관련 단원이 ICT활용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내용 중심으로 개편되었다[1]. 아직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전이지만 선도학교나 연구학교를 통해 진행된 소프트웨어 교육을 보면 기능을 익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래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사고를 도입할 수 있다. 디자인 사고는 인간을 관찰하고 공감하여 소비자를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와 주어진 상황에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하여 혁신적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이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자기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Self-Evaluation Tool for Teachers'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eaching.Learning)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83-593
    • /
    • 2005
  •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주도해 나가는데 가장 중심이 되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신장에 관한 대부분의 노력들은 정보통신기술을 교육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기술 소양 능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관한 국내 외의 평가 도구를 비교 분석하고 각 도구의 장점을 바탕으로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자기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평가 도구를 통해 실제 교수-학습 활동 지도 능력과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총체적으로 통합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문제 해결' 영역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Field in the Computer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 정인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26
    • /
    • 2007
  • 21세기 IT 선진국을 꿈꾸며 우리나라는 2001년도부터 초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과학을 도외시한 컴퓨터 기능 위주의 정보 소양 교육은 내용 부실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고, 이에 2005년도에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윤영지침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컴퓨터과학의 내용이 추가되어 보다 체계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정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인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은 아직 불완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제 해결" 영역을 중심으로 각국의 초등학교 수준의 컴퓨터 및 수학 교과에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문제 해결" 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 PDF

정보처리 이해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이해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the "Comprehens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Field)

  • 최미선;정인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
    • /
    • 2008
  •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에 있어서 컴퓨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제 7차 교용과정에서 매주 1시간씩 정보통신 기술교육을 함으로써 지금까지 컴퓨터 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아직도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법에만 초점을 맞춘 정보 소양 교육을 주로 하고 있다. 현대의 학생들에게 유용한 지식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작동법보다는 정보의 논리적 사고력에 중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장의 교사들은 "정보처리의 이해" 영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정보처리의 이해" 영역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설문 조사하여 문제점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컴퓨터 재량 활동 교재 개발 - 3, 4학년을 중심으로 - (The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for the Advance of the Creativity through the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 In priority of third & fourth year students -)

  • 김종훈;오정철;김종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31
    • /
    • 2007
  • 교육부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2000. 8 .1)"에 따라 2001학년도부터 초 중등학교에서는 필수적으로 정보통신기술 소양 및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운영지침만 나와 있을 뿐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나와 있지 않아서 일선학교에서는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정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2005.12)"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컴퓨터 재량 활동 교재(2단계)를 개발하였다.

  • PDF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3년간의 초·중등 관리자 연수 프로그램 운영 (Operation of a 3-Yea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Administrator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 정유진;박남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7-186
    • /
    • 2021
  •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교육의 변화는 단일 과목보다는 융합 교과목 개발하여 미래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ICT소양과 컴퓨팅 사고력등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초·중등생들에게 다양한 창의 교수·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래 실천적 선도 모형 연구하였다. 본 실천적 선도모형이 안정적으로 학교 현장에 착근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직무연수를 통해 단위학교 현장 교원이 필요로 하는 창의융합교육 역량을 강화 연수를 기획 운영하고, 특히 미래 융합 인재 양성 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등을 반영한 전국단위의 관리자 연수를 3년간 운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자가 학교 현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창의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한 연수의 3년간의 운영 결과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직면한 사회문제에 따른 미래 창의 융합 교육의 안정적 착근을 위한 새로운 연수의 방법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과학교과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적용 가능성 탐색: 과학 교과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o Science Subjects: Analysi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297-317
    • /
    • 2017
  • 본 논문은 과학과에서 사회정서학습(Scienc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SEL)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과 사회정학습 요소를 제안하고, 그에 따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분야 및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과 과학의 본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요소는 '수리(Numeracy),' '정보통신활용(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사회적 기술(Personal and Social Capability),' '윤리적 이해(Ethical Understanding),' '문화적 이해(Intercultural Understanding)'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그에 따라 과학 교과서 중 물질의 분야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물질분야의 교과서 내용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에 수리, 정보통신활용,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가 60~70% 이상 포함되어 있으나, 사회적 기술능력, 윤리적 이해 능력, 문화적 이해 능력 등은 제한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부족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추후 교과서의 내용의 수정 또는 교사의 수업을 통한 보완 등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교과에서 얻고자 하는 과학적 탐구 능력과 사회정서적 역량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과학과 활동이나 실험 활동 등 구체적인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