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or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4초

만화 이미지가 표현된 후기산업사회 복식의 해학 (Humor of Post-Industrial Society Costume Expressing Cartoon Image)

  • 류근영;이효진
    • 복식
    • /
    • 제52권8호
    • /
    • pp.55-7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basic meaning of humor from the costume expressing cartoon image, to grasp the status of contemporary costume, and also to supply people with a database related to the sphere of costume design. This was done by analyzing and examining humor of the costume expressing cartoon image in post-industrial society.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umor by parody of Pop Art is recognized as humorous expression that repulsed the main current culture and post-industrial society phenomenon. Second, humor by quotation tends to appear through cartoon character. Costume which quote cartoon character is against Kidult tastes and the pre-existing authoritative prejudices in post-industrial society. Third, humor by bricolage, making bricolage with silhouette, color, pattern item, is recognized as new creation of humor In other words, it is regarded as enlargement of new esthetic consciousness and humor about instrumented gender in post-industrial society. Lastly, humor by deformation expressed itself in deformation of body image of character and cloth silhouette by cartoon image. Deformation of cloth silhouette by cartoon image, being not conscious pre-existing concept of harmony of human and costume, is recognized as humor which have characteristic of play with introduction of new silhouette.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humor expressed in cartoon image of costume has been limited to the works of few designers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s who made use of popularity as subjects of the works and internal meanings which we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ost-industrial society.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 손민희;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91-20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To do this, five graders (n=42) at an elementary school and five graders (n=38)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ests for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then administered.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for som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or 'integrative creativity', especially for 'creative motivation (e.g., curiosity and playfulness)' and 'creative potency (e.g., knowledge, imagination, sensitivity, flexibility, and fluency)' more than 'creative attitude'. The subcategories of 'integrated creativity' tha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were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The scores for all subcategories of 'perception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for almost all subcategories of 'integrative creativity' and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런닝맨>에서 나타난 유머스타일 유형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Correlation of Humor Style Types Shown in )

  • 김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57-162
    • /
    • 2019
  • 본 논문은 긍정적인 유머 스타일과 부정적 유머스타일이 어떻게 매개하고 서로 상호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SBS에서 방영되는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Martin 과 동료들이 개발한 유머스타일 질문지(Humor Style Questionnaire: HSQ)를 선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런닝맨> 멤버들의 유머스타일 유형을 분류한 후,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부정적 유머스타일은 유머생성에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 지와 멤버들 유머스타일은 어떤 상호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런닝맨> 나타난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부정적 유머스타일 유형은 4대 4로 균형을 이루었으며, 나이와 경력, 그리고 권력에 따라 분류되었다. 유머생성 매개는 유머가 대립하는 지점에서 발생하였고, 유머스타일 상호 관련성은 반전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스토랑 종업원의 유머감각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Restaurant Employees' Sense of Hum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진양호;여경옥;배세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3
    • /
    • 2012
  •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산업에 종사하는 서울지역 레스토랑 종업원을 대상으로 유머감각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머감각은 메타메시지 감수성, 유머의 선호도, 정서의 표현성, 유머에 의한 대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머감각 요인 중 유머에 대한 선호도, 유머에 의한 대처, 메타메시지 감수성 순으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의 표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머에 대한 선호도, 정서의 표현성순으로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메시지 감수성, 유머에 의한 대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머감각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머감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종업원 선발시 유머감각에 대한 평가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진액(津液)의 유무(有無)에 따른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의 통증(痛症) 치법(治法)에 관하여(태양병편을 중심으로) (Pain management i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 according to sufficiency-deficiency of fluid and humor (mainly with greater yang disease part))

  • 이명철;강연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5-143
    • /
    • 2014
  • Human body fluid and humor include not only sweat, joint fluid but also every fluids, for example, blood, essence, kidney essence and marrow. Historically, in the oriental medicine, there are a lot of efforts in order to preserve fluid and humor. I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 (傷寒雜病論)", when treating cold damage, preservation of fluid and humor is put first. I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 about fluid and humor and pain treatment i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 So, I investigated sentences related to pains i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 "greater yang disease part" and commentaries of several chinese medical doctors. And I divide pain treatments into four categories. (fluid and humor sufficiency-exterior pattern, fluid and humor sufficiency-interior pattern, fluid and humor deficiency-exterior pattern, fluid and humor deficiency-interior pattern) At first, when treating pains of cold damage, there are many considerations about deficiency and sufficiency of fluid and humor through pulse condition and symptoms. Second, in pain-cases of fluid and humor sufficiency, purge methods is chosen. And in pain-cases of fluid and humor deficiency, tonifying methods is chosen. Finally, one of the main objects of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 is preservation and supply of fluid and humor.

유머러스한 기업 구성원: 유머, 문화, 그리고 인상관리 (A Joker's Image: Humor, Work Impressions, and Culture in Korean Workplaces)

  • 김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97-413
    • /
    • 2020
  • 한국 기업과 사회에서 변화하는 문화적 흐름에 따라 유머는 유용한 인상관리 기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머를 성공적인 인상관리 기법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해해야 되는 요소들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참여적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과 인터뷰(semi-structured interviews) 를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유머를 통한 인상관리가 대부분 유교문화에 기반을 둔 상대적 역할에 맞춰 사용되며, 상급자(superior) 가 더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사용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젊은 참여자들은 유머가 기업의 역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독창적인 인상관리 기법이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유머가 다양한 해석 및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인식이 참여자들에게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머를 사용할 때 환경과 소통하는 대상의 문화적 성향을 고려하고, 기업들은 효과적인 인상관리 기법에 대한 교육을 도입해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피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다.

<언더독>과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나타난 유머 장면 분석 (Analysis on the Humorous Scenes Shown in and )

  • 김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85-491
    • /
    • 2020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유머 장면을 유머 유형과 유머 빈도수, 유머 시간, 그리고 유머 주체와 조연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같은 오돌또기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작품이었지만 관객 수에서 10배의 차이를 기록한 <언더독>과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유머 장면을 추출하여 타당도 검사를 한 후 앙리 베르그송 웃음 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후반부보다 초 중반부에 유머 빈도수가 많아야 하며, 유머 유형의 다양성이 필요하였다. 주인공의 유머 빈도수가 높아야 하고, 조연들의 유형이 다양할수록 유머의 성향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머는 혼자보다 등장인물들의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유머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등장인물들의 상호작용은 행동으로 나타나는 슬랩스틱이나 언어코믹으로 다양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애니메이션 작품을 보다 독창적이고 재미있게 하며 다양한 유머 장면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2D 그래픽스를 활용한 유머 이미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Illustration of Humor Images Using 2D Graphics)

  • 김혜란;김수경
    • 복식
    • /
    • 제58권9호
    • /
    • pp.81-98
    • /
    • 2008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umorous images expressed in 2D graphics fashion illustrations and to propose application of 2D graphics in humorous images for fashion illustrations to suggest a more creative and relevant fashion illustration for contemporary cultu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ories on reaction of humor can be classified into Incongruity theory, Superiority theory and Arousal and Relief theory. Humor in visual arts are classified in Visual Parody, Visual Pun, Visual Paradox and Visual Satire. Second, Visual Pun, Visual Parody, and Visual Satire are used for visualizing fashion illustration, and the foundations for many humor images were simple-colored, imaginative, and unreal settings. And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physical proportion of the models generally was 1(head):7(entire body), 1:8, 1:15 and the models were usually laughing and smiling. Tone was usually pastel and vivid, and posture was usually standing-position or sitting-position. Third, based on such results, fashion illustration works of humor image using 2D graphics were created. To concretize the humor image, 'gift' as a concept was chosen. Humor alleviates the tension and stress. It also brings laughter and pleasure to people's lives. Therefore humor image will be an effective way of expanding creativity in modern fashion illustration.

Mechanisms of Verbal Humor

  • Yoon, Young-Eun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4권1호
    • /
    • pp.1.1-20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meaning of verbal humor that are responsible for eliciting laugh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perception of incongruity is involved in the experience of humor, but few clear definitions or explanations have been given of the nature of this incongruity. Among the few, Curc (1995, 1997, 1998), for example, tries to analyze verbal humor, specifically the relation between a stimulus and the hearer's interpretation of it,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relevance (Spreber and Wilson 1986, 1995). However, as he admits, his account covers only a limited amount of cases. This paper will delve into the meaning of humor with extensive data and present a set of individual mechanisms involved in humor. It will also propose a new conceptual theory of humor that persuasively accounts for the mechanisms of humor as a whole.

  • PDF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의 우울 및 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머양식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patients : Moderating effect of humor style)

  • 김근향;조영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5-132
    • /
    • 2016
  • 전통적으로 유머는 정신건강의 지표로 여겨졌으나 유머양식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기능을 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 유머의 양식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의 역할 중에서도 정신병리로 인한 정신적 웰빙 저하에 대한 완충효과에 주목했고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에게 흔한 증상인 우울과 불안이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데 어떤 양식의 유머가 완충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01명 환자들의 유머양식, 삶의 만족도, 우울, 불안 자료를 상관분석한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유머양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기고양적 유머가 우울과 불안 모두에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졌고 친화적 유머는 우울과만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에게 긍정적 유머가 우울과 불안 증상으로 인한 정신적 웰빙 저하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을 고양시키는 유머 사용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이 시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비록 정신병리를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라 할지라도 긍정적 유머를 사용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의미에서의 적응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